[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복통(배땡김,배불편함),소화장애,요통(허리통증),사타구니,천장관절(엉덩이,엉치,골반내측)통증(증후군,관절염)의 근막적..
엉덩이/고관절/골반통증 2013. 6. 25. 11:57복통(배땡김,배불편함),소화장애,요통(허리통증),사타구니,천장관절(엉덩이, 엉치,
골반내측)통증(증후군,관절염)의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우리는 생활을 하면서 아래와 같은 통합적(유기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을 경험하게 됩니다.
배가 땡기면서 뻣뻣하게 뭉치고(굳어지고)불편하며 아픈복통(Abdominal Pain)이 일어나면서,
허리(고관절)를 굽히거나 펼시에
흉추부위(T10 - T12)와 흉요추 연접부(T12 - L1) / 요천추 연접부
(T12 - L1)에
허리통증인 요통(Lumbago)이 나타나며 소화장애(Indigestion)와 사타구니통증
(Groin Pain) - 천장관절통증(sacroiliac joint pain, 엉덩이, 엉치내측 /
천골, 엉치등뼈부위 통증)- 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위의 5가지 증상은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에 의한 同一한
범주(category)로서 유발되는 증상들입니다.
통상적으로 해설될 수 있는 근막적 병기(病機, pathogenesis)는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가 생활을 하면서 직립자세로 서있는 동작을 하게 됨에 따라
인체 역학상 대퇴골이 전방경사
(anterior tilt)지게 되며, 습관적으로 고관절을 굽히는 굴곡자세를 많이 하게됨(overuse, 과사용)으로 인하여
체간(trunk)의 외측 심부근(lateral deep muscle)이며 소장(small intestine) 밑(deep)에 위치한
요근(psoas muscle)근막(myofascia)의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short contracture)을 초래하여,
체형상 상부요추의 과다신전 자세이며, 천골下端의 후방경사 자세인 요추전만증(Lumbar Lordosis)과
골반의 전방경사(anterior tilt of pelvis, 천골下端의
전방경사)를 일으키며 또한, 요근근막(psoas fascia)은
소장간막(mesentery of small intestine)과 연결(join)되어
상호적인 압박(력)
(compression, 역학적 stress)을 加(가)하게 되므로 복통과 소화장애가 함께 일어나게 되며,
요통(허리통증, Lumbago)은 체간의 앞쪽(前部)에 있는 요근근막이 단축구축, 고정(fixation)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고관절)를 굽히거나 펼시에 12번 흉추와 요추의 추체측면, 이와 상응하는 추간판(Disc)과 요추
횡돌기 전면과 하연에 부착하는 요근근막과 건(힘줄, tendon)에 부담과 자극으로 작용된 결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어지는 병기(病機)로서 요근 구성체 中의 하나인 소요근(psoas minor muscle, 대요근 위에 위치함)은
장치융기(iliopubic eminence)와 치골즐(pecten pubis, 치골상지의 上部)에 부착하여서, 치골근
(pectineus muscle) 부착부와 유합(conjoined)되어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을 이루고,
또 치골근이 부착하는 또다른 부위인 폐쇄능(obturator crest, 치골상지의 下部)과 치골대퇴인대
(pubofemoral ligament)의 부착되는 부위가 유합하여 근막적 연결(join)을 이루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치골근 tendon(건, 힘줄)과 치골대퇴인대 부착부(bony station/ 장치융기의 외(내)측면 ~
폐쇄능의 외측면)가 요근근막(psoas fascia)과 건(힘줄, tendon)의 구축압력 (굳어져서 확산시키는 압력,
contracture pressure/ 역학적 과부하,
dynamic overload)을 받게되어 보상적(방어적, 이차성) 구축
(굳어짐, compensatory contracture)이 일어남에 따라 사타구니통증(Groin Pain)이 나타나고, 또한
천장관절부위는 사타구니(서혜부)와 구조적(역학적)으로 길항관계에 있으므로 사타구니 통증이
만성화되면 천장관절을 연결(join)해주는 후천장인대의 보상적 구축도 유발되어 천장관절통증
(sacroiliac joint pain, 천골부위. 엉덩이내측통증, 천장관절증후군)도 동반하게 됩니다.
[* 주로 (오래) 앉아 있을때 구축된 후천장인대가 압박,자극되어 천장관절통증이 나타남 ]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장골대퇴인대의 上部(상부)와 그 밑(deep)에 위치한 前部(전부)고관절낭(joint capsule)은
A.I.I.S(전하장골극) 아래(직하방,直下方)의 관골구 전연(장치융기외측면, 관골구 전면)에서
치골대퇴인대와 유합(conjoined)되어있으므로,장골대퇴인대의 상부부착부와 前部고관절낭이 구축되면,
치골대퇴인대에 역학적인 힘(긴장,장력)을 전달하여 보상적(이차성)구축을 일으키거나
그 구축압력
(contracture pressure)이 사타구니(서혜부)로 방사,확산되어
(퍼져서,뻗쳐서)
사타구니(서혜부)통증이 유발됨 ]
[*구축이 심해져서 bulging(팽윤)된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가 부담을 느끼게되면,조직을 보호
하려는
인체 방어기전(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허리와 등/ 뒷다리, 무릎후부로 장력(힘)을
분배(분산)시켜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
구축을 유발시킨결과로,요통(허리통증)과 배통(등통증),좌골신경통
(방광경 line),
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이 나타나게 됨],(*블로그 內 좌골신경통문건 참조)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의 구축(굳어짐)이 만성화되면,허리(등),옆구리,배(복부),다리(무릎, 발목)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걸어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동반되어 이부위들의
땡김(뻣뻣함)과 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블로그 內 고관절통증, 좌골신경통 문건들 참조)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습관적으로 허리를 굽히는(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
(과사용,overuse)
사람들은, 허리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이 나타나서, 상부요추(체간)는 과다신전된
요추전만증(lumbar lorsis), 하부요추는 一字형태(일자허리,straight), 골반(천골상단)은 전방경사,
천골하단은 후방경사[*오리 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서 요근(psoas muscle)이
손상(injury)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지고/
상,하 요추부위의 다열근,회선근 tendon(건,힘줄)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
(단축,신장)구축됨으로 복통(배땡김,배불편함),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고,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단축,신장)구축됨으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사타구니통증(*치골대퇴인대 단축구축)이
유발되며,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천극인대가 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됨으로 요통과 엉덩이(엉치)내측통증
(천장관절증후군), 꼬리뼈통증(미골통)이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장력(긴장)의 분배선- 역학적 연계선(dynamic connection line)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보상적 구축)
: 고관절 ↔ 허리관절,무릎관절,천장관절/ 천장관절 ↔ 허리관절,미골,무릎관절후부(오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