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골신경통'에 해당되는 글 32건

  1. 2013.06.27 [염기룡 한의원/ 근막통증증후군/ 만성통증(관절) 치료]- 통증치료의 핵심(核心)
  2. 2013.06.27 통증치료에 臨(임)하는 환자와 치료자의 마음가짐(자세)
  3. 2013.06.26 [염기룡한의원/ 오금통증/ 무릎통증치료]오금(무릎후부,뒷다리/ 슬괵)통증, 땡김, 저림의 원인과 연관된 연부조직(Soft Tissue)
  4. 2013.06.26 [염기룡한의원/ 오금통증/ 무릎통증치료]만성 오금(무릎후부,뒷다리)통증,종아리(장딴지)통증(땡김)과 무릎(슬)관절염(통증)의 연계성(Connection)
  5. 2013.06.26 [다리,허벅지통증/ 무릎통증 치료]대퇴내측(허벅지), 무릎내측(안쪽)통증의 근막이론적 해석(fascial interpretation) 1
  6.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사타구니통증(서혜부통증/ Groin Pain)의 원인과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
  7.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좌골신경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뻣뻣함),요각통(腰脚痛/ sciatica)의 정의와 원인
  8.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허벅지 뒷부위(뒤쪽/ 대퇴후부/ 뒷다리/ 햄스트링)통증(땡김,뻣뻣함,경직,저림)과 종아리땡김(통증,뻣뻣함,경직)의 원인들..
  9.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좌골신경통(요각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뻣뻣함,무거움)의 정의,유주경로의 부..
  10.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통증(염),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고관절(골반)통증(염),사타구니,좌골조면통증(엉덩이,엉치 하부통증/ 좌골점액낭염),천장관절통증(증후군),요통(..

 

통증치료의 핵심(核心)

 

 

 

 

 

 

 

자침이나 수기요법 으로써 조직을 이완시켜 통증질환을 치료하는 데에는 일정한 메커니즘이 작용합니다.

 

 

의사가 조직을 이완 시키려고 최대의 집중력을 가지고 최선의 정성과 노력을 다하여 애를 쓰는 것이 치료의

 

필수요건이 되겠지만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궁극적, 최종적으로는 환자의 조직이 자침이나 수기(手技)의

 

자극에 반응을 하여(움직여서) 스스로 풀어져 나가야 치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통증치료에서 핵심이 되는 관건은 환자의 자가치유(교정)력이 유도되어 지느냐에 있고,

 

자가치유력은 환자의 조직상태(유착과 변형의 정도/ 조직의 質)에 의해 좌우됩니다.

 

 

그리고 병증의 치유에 부가되는 조건으로

 

의사와 환자 간의 라포(신뢰)형성-交感-이 필요하며[*치료시 심리적 긴장감이 없는 편안한 상태라야, 조직의

 

역반응(저항반응)인 반동효과도 나타나지 않고 조직이 원만하게 풀리기(이완되기) 때문] 

 

 

또한, 치료후에 조직이 이완된(풀린) 상태로 몸에서 적응(익숙)하여서 인체의 복원력이 생기지 고 자리를

 

잡아야(자리매김/ 조직의 재배열) 치료효과의 지속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를 위해서 치료후 운동(스트레칭)과 풀린조직에 온찜질(hot pack)등 환자 스스로의 몸관리  필요로

 

합니다.

 

[*치료하여 조직이 풀어졌다 하더라도,그 이후에 예전의 경직되고 굳어 있었던 조직상태가 정상적인

 

     상태라고 인지하고 있는 신경계의 방어(보호)기전이 민감하게 작용을 하면, 원래의  조직상태로 되돌려

 

     놓으려는 신체의 복원력이 발휘되어 치료전의 상태로 복원됨/ 주로 만성 질환에서]


 

 

이상과 같은 조건들에 의해 치료효과가 결정되는데, 우리 한의원은 우선적으로 3회 정도를 시술하여서,

 

병증이 경감되는 정도와 치료의 지속여부, 예후를 가늠하고 평가합니다.

 

 

저의 임상경험에 비추어 판단해 보건데, 3회 치료를 받는다는 전제에서 70%~80% 정도의 환자에서 증상이

 

완화되고, 그 이외의 환자는 조직이 풀어지고는 있으나 조직이완의 속도가  늦어서 몸으로 느끼지는 못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3회의 치료에서는 증상의 경감을 못 느끼다가도 그다음 치료부터  증상의 호전을 확연하게 느끼는 환자도

 

    종종 경험하게 됨]

 

 

우리 한의원은 통증치료핵심이 되는 목표인 빠르고,확실한 치료효과를 위해 환자 곁에서 1시간 30분 

 

(2시간) 정도로 장시간을 할애하여 시술하는 치료방식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장시간을 통해 환자의 통증치료에 최선의 노력을 함에도 불구하고 치료의 유효확률인 치료율을

 

생각함에 있어서는, 내원하는 환자층이 장기간 잘 낫지 않는 만성,난치성 질환이 대부분 이라는 것에 비추어

 

최소 5회 정도의 시술을 한 결과로서 만이, 치료율 판단의 근거자료(data/ 통계)로 신뢰될 수 있다는 것이

 

저의 임상경험적 판단입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통증치료에 臨(임)하는 환자와 치료자의 마음가짐(자세)

 

 

 

 

만약 사람이 느낌(feeling)이나 감성(emotion)이 없는 기계나 컴퓨터와 같다면 통증치료에 있어서 치료자의

 

능력의 편차 즉, 기능적인(기술적인)실력의 편차에 의해 가시적인 치료효과의 차이가 날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느낌이나 감성이 존재하고 통증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ponit)되는 자가치유

 

(Self Healing)라는 생명의 역동성(dynamics), 즉 인간 본연의 역동적인 삶의 의지(will)와 능력(Ability)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자가치유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치료자와의 Rapport(라포, 마음의 유대)형성의한 신뢰

 

(믿음)의 구축이 필요하며 또한 이것이 치료의 根幹이 될 것입니다.

 

환자가 치료자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면 자가치유능력(Self Healing Ability)을 저하시켜

 

통증치료를 방해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그 어떤 기능적으로(기술적으로) 훌륭한 치료에도

 

반응(response)하지 않고 치료효과가 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환자 자신이 스스로를 위해서라도,

 

통증치료를 위해서라도 긍정적이고 편안한 마음가짐(자세)위한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치료자에 대한 불신은 90% 치료된 것 보다는 10%의 치료 안된 것에 대해 불안해 할것이며 신뢰(믿음)는

 

10%의 치료만 되도 치료에 대한 vision(희망)을 갖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치료결과에 대한 치료자의 만족도와 환자의 만족도와는 서로 괴리(서로 어그려져 동 떨어짐)

 

있을 수 있으므로 환자와의 Rapport(라포)형성신뢰(믿음)의 구축을 통한 환자 마음(mind)의 안정

 

(relaxation), 치료효과의 극대화와 환자 관리(management)라는 측면에서 치료자의 정성스런 마음가짐

 

(자세)을 위한 노력 또한 절실히 요구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오금(무릎후부,뒷다리/ 슬괵)통증, 땡김, 저림의 원인과 연관된 연부조직(Soft  Tissue)

 

 

 

 

 

우리가 생활을 하면서 쪼그려 앉거나(무릎을 굽히는 동작의 장애, Bent knee trouble) 계단, 내리막길

 

내려갈때, 앉았다 일어날때등  무릎 뒷부위(오금)에 힘이 加(가)해지는 동작을 할때에, 오금(무릎후부)

 

땡기면서, 저리고, 아픈 통증나타나고, 甚(심)해지무릎 뒷부위(오금)가 땡기고 아파서 절뚝거리며 걷게

 

되는 跛行(파행,보행장애)까지 유발되오금통증(땡김,저림)의 원 되는 연부조직구축

 

(굳어짐)을 정리합니다.

 

 

① 평소 습관적인 생활자세 불균형(불량)이나 과사용(overuse/ 쪼그려 앉는 자세등)으로 인한 슬관절후부

 

    (오금/ 무릎후부,뒷다리)인대(힘줄)이 손상을받아 경직과 구축(굳어짐) 이 일어남에 의한 경우

 

    (* 슬와근 건염)

 

 

근막통증증후군방사통(Referred Pain)으로서  슬와근(Popliteus Muscle), 족저근(Plantaris 

 

     Muscle), 대퇴이두근, 외측광근, 비복근(Trp3)의 구축(굳어짐,근막유착)으로 인한 경우

 

 

③ 인체골격인 골반이나 발목관절의 비틀림(변형, strain)이 있는 경우에는, 신체의 안정성(stability)을

 

    유지하고, 상쇄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한  무릎(슬)관절의  보상적(방어적)비틀림일어나고,

 

    그로인해 슬관절 주위 연부조직인 근육(근막),건(힘줄), 인대(사슬와 인대,궁상슬와인대), 슬관절

 

   후부의 관절낭(joint capsule)들도 손상(injury)을 받고 비틀림과 구축(굳어짐)으로 이어진 결과로서,

 

   무릎통증(슬관절염)과 동반하여 오금(뒷다리, 슬관절후부 / 슬괵)땡기면서 아픈 통증이 유발 됩니다.

 

 

[* 오금 중앙의 통증은 경골의 후과간와에 부착하고 있으며, 후부 무릎(슬)관절낭에 감싸여져 있는

 

    후십자인대구축으로도 유발될 수 있음 ]

 

 

 [* 무릎관절낭의 구축압력은 대내전근(내측)과 대퇴이두근,외측광근(외측)이 위치한 대퇴후부

 

     (넓적다리 뒷부위)下部(하부,아랫부위)까지 방사,확산되어(퍼져서,뻗쳐서)다리통증(땡김,저림)

 

    동반될 수 있음 ],(* 좌골신경통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고관절낭(joint capsule)이나 대내전근 tendon구축장기적으로 지속(만성화)되면, 역학적인 힘

 

    (장력,긴장)이 무릎관절로 전달 -장력의 분배(분산)- 된 결과, 무릎관절낭보상적(속발성)구축유발

 

    시켜서, 고관절(골반,엉치)통증좌골조면(엉덩이 아랫부위) 통증(*좌골점액낭염), 다리(대퇴부)통증

 

    (땡김,저림)(*좌골신경통,요각통)과 동반하여, 무릎이 부드럽지않고 뻣뻣(뻐근)하며, 무겁고무릎관절

 

    에서 소리가 나며, 무릎통증무릎후부(오금)통증 또한 나타나게 됨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천장관절통증(엉덩이내측통증)과 하부요통을 일으키는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구축(굳어짐)이

 

     甚(심)해져서 bulging(팽윤)되어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 (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허리(허리윗부위)와  등, 뒷다리, 무릎관절후부(오금) 장력(힘)을 분배

 

    (분산)시켜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구축을

 

    유발시킨 결과로, 엉덩이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동반하여  요통(허리통증), 등통증(背痛)이  유발될 수 

 

    있으며, 아래로는 좌골신경통(요각통/ 방광경 line- 다리통증), 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 또한  합병

 

    수 있음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장력(긴장)의 분배선- 역학적 연계선(dynamic connection line)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보상적 구축)

 

  : 고관절 ↔ 허리관절,무릎관절,천장관절/ 천장관절 ↔ 허리관절,미골,무릎관절후부(오금)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오금(무릎후부,뒷다리)통증,종아리(장딴지)통증(땡김)과 무릎(슬) 관절염(통증)
 
연계성(Connection)





오래 서 있거나  쪼그려 앉거나, 앉았다 일어날때, 걸을때등 무릎 뒷부위(오금)와 종아리에
힘이

加(가)해지는 동작을 할때에
통증이 나타나며  甚(심)해지면,
오금(뒷다리)과
종아리가 땡기고 아파서 

절뚝거리며 걷게되는 跛行(파행,보행장애)까지 유발되는 무릎후부(뒷부위,오금)종아리 통증(땡김)


통증부위 주변
연부조직(soft tissue)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 블로그 內 오금통증문건 참조)

 

(* 통상적으로는, 쪼그려 앉는 자세등을 많이하는 오금과 종아리의 과사용으로 기인됨)


잘 낫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는
 만성 무릎후부(뒷부위,오금) 종아리통증(땡김)
아래와 같은

병기(病機)
로 유발되어 집니다.


무릎후부(뒷부위)의 관절 주위를 감싸서 보호하고 있는 특수한 심부(深部)인대인 무릎 후부 관절낭

(joint capsule, 대퇴골顆 위로는 관절낭이 비후하여 과상판인
condylar plates를 형성하고 있음)의 유착

(섬유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음)과
구축(굳어짐)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 이 일어나면,

활동시에 무릎의 후부 관절낭이
압박,자극되어 만성 무릎후부(뒷부위,오금)통증나타나게 됩니다.

 
[* 오금 중앙의 통증은 경골의 후과간와에 부착하고 있으며, 후부 무릎(슬)관절낭에 감싸여져 있는

   
후십자인대구축으로도 유발될 수 있음 ]

 
무릎 후부 관절낭구축으로 무릎관절이 아탈구(subluxation),고정(fixation) 되어지면 무릎을 굽히거나
 
펼시에 부드럽지 않고 툭툭 걸리면서,뻣뻣(뻑뻑)하고(슬개골 가동성의 제한) 무겁게 느껴지며,
관절운동

(활동)시
무릎에서 소리가 나며
무릎의 굴곡과 신전이 안되는 장애까지 유발되어
앉거나 일어설때나,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걷는 것이 힘들어지는 만성 무릎(슬)관절통증(관절염)
동반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또한, 무릎후부 관절낭의 구축압력 (contracture pressure)
으로 인해 오금부위와 인접해
있으며, 무릎후부

(뒷부위
)근막적으로 연계(fascial connection)되어 그 연장선상에 있는
종아리(장딴지)부위

(후십자인대, 상경비관절 후부인대의 구축압력도 영향을 줌) 
역학적인 힘
(장력,긴장)이
전달되어

(뻗쳐서,퍼져서,확장되서) 나타나는 
방사통(referred pain)에 의해서
잘 낫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는 

만성
종아리(장딴지)통증(땡김 / chronic calf  pain)이
유발됩니다.

 
(* 무릎관절낭의 구축압력은 대내전근(내측)과 대퇴이두근,외측광근(외측)이 위치한
대퇴후부

   
(넓적다리 뒷부위)下部(하부,아랫부위)까지
방사,확산되어(퍼져서,뻗쳐서) 다리통증(땡김,저림)

   
동반될 수 있음 ),(* 좌골신경통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종아리에 무리가 가는 생활을 많이 하는 사람들은(과사용, overuse) 종아리의 가장 深部에 위치하고

    경골 후외측면과 비골 내측면에 부착하고 있는
후경골근(가자미근,장지굴근, 장모 지굴근)
tendon

  
(건,힘줄)이
과부하
(overload)로 손상(injury)된 결과
구축이 일어나 만성 종아리통증(땡김)을 
유발할 수

    있음
- 밤에 잘때 종아리(다리)에 쥐가 잘 나는 야간 장딴지 경 (calf  cramps)의  원인
으로도

    작용함 - )


(* 종아리 근육(근막)의 구축은 아킬레스건염과 발바닥(발뒤꿈치)통증 - 족저근막(건막)염 -도
동반시킬 수

    있음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


(* 좌골신경통(요각통,sciatica)의 주행 line(경로)도 됨 )


[* 고관절낭(joint capsule)이나 대내전근 tendon구축장기적으로 지속(만성화)되면
,
역학적인 힘

    (장력,긴장)이
무릎관절로 전달 -장력의 분배(분산)- 된 결과, 무릎관절낭보상적(속발성)구축


   
유발 시켜서, 고관절(골반,엉치)통증좌골조면(엉덩이 아랫부위)
통증(*좌골점액낭염), 다리(대퇴부)통증

    (땡김,저림)(*좌골신경통,요각통)과 동반하여,
무릎이 부드럽지않고 뻣뻣(뻐근)하며, 무겁고

    무릎관절에서 소리가 나며, 무릎통증
무릎후부(오금)통증 또한 나타나게 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천장관절통증(엉덩이내측통증)과 하부요통을 일으키는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구축(굳어짐)이 

    甚(심)해져서 bulging(팽윤)되어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
 

    (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
허리(허리윗부위)와  등,
뒷다리, 무릎관절후부(오금) 
장력(힘)을

   분배
(분산)시켜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

   구축을 유발시킨 결과로,
엉덩이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동반하여  요통(허리통증), 등통증(背痛)이  

   유발될 수
있으며, 아래로는 좌골신경통(요각통/ 방광경 line- 다리통증), 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

 

   또한  합병될 수 있음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장력(긴장)의 분배선- 역학적 연계선(dynamic connection line)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보상적 구축)

 

: 고관절 ↔ 허리관절,무릎관절,천장관절/ 천장관절 ↔ 허리관절,미골,무릎관절후부(오금)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대퇴내측(허벅지), 무릎내측(안쪽)통증의 근막이론적 해석(fascial interpretation)

 

 

 

 

 

골반과 대퇴의 내측(안쪽)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대퇴내측(허벅지)통증과 무릎내측(안쪽) 통증

 

위치상 역학적 힘의 연결선상에 있으므로 합병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또한 고관절이 내회전(외번고)된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나며 허리, 엉덩이(엉치)와 사타구니(서혜부) 통증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원인은 아래와 같이 정리됩니다.

 

 

ⅰ) 고관절 내전근(장 / 단내전근, 대내전근, 박근, 치골근)들의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근막유착)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 다리(대퇴)를 벌리는 외전 자세를 하면 허벅지 부위가 땡기는 통증이 나타남)

 

 

ⅱ) 고관절 내전근 건(힘줄)들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한 경우(역학적인 힘의 전달)

 

     [* 누워있으면 다리(대퇴)가 힘이 없어(내전하는 힘의 약화로 인함) 몸 바깥으로 외회전 됨(돌아감)]

 

 

ⅲ) 장. 단 내전근 구축으로 인한 폐쇄신경과 음부대퇴신경 entrapment(폐색)으로 서혜부(사타구니)통증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

 

 

ⅳ) 장요근(iliopsoas muscle)의 단축구축으로 인한 방사통[체간의 과다신전(요추전만증, Lumbar

 

     Lordosis, 골반의 전방경사도 일으킬수 있음]과 그 건(힘줄)의 구축으로 인한 경우

 

 

 ⅴ) 고관절 내전근(특히 대내전근)들의 기능적 연결선상에는 스트링(무릎의 굴곡근, 슬굴근) Semi

 

      (반막양근, 반건양근)의 구축으로 인한 방사통

 

 

ⅵ) 대퇴사두근(무릎의 신전근) 中에 무릎내측에 위치한 내측광근의 단축구축에 의한 방사통과 그 건(힘줄의

 

     구축으로 인한 경우

 

 

ⅶ) 경골 내측에 부착하는 아족구(pes anserinus region) 건(반건양근, 박근, 봉공근의 건)들의 구축과

 

     슬와근(popliteus muscle), 무릎의 내측측부인대의 구축으로 인한 역학적인 힘의 전달에 의한 경우

 

 

ⅷ) 인체 근막계의 연결경로(line)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 따라서 요방형근, 장요근으로 부터 

 

     고관절 내전근 ~ 대퇴의 전방근간중격(anterior intermuscular septum) 따라서 무릎내측으로 이어지는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의 전달에 의한 경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사타구니통증(서혜부통증/ Groin Pain)의 원인과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

 

 

 

 

 

앉아 있는 자세의 불균형(불량), 골반주위(사타구니, 허벅지 안쪽) 연부조직(soft tissue)의 과사용(overuse),

 

정신적 스트레스, 골반의 변형(비틀림, strain)등에 의해 유발되고, 通常(통상)고관절의 운동[* 굴곡(다리를

 

굽히는자세/ 앉을때),신전(다리를 펴는자세/ 일어날때),수평내전(다리를 모으는자세),수평외전(양반다리

 

자세)]장애와  동반되어 나타나며, 甚(심)하면 걸을때 시큰시큰 하거나 뜨끔뜨끔 하게 맞치는 통증이 있어

 

절뚝거리며 걷게 되는 跛行(파행,보행장애)까지도 유발할수 있는 사타구니(서혜부)통증 병증의 형성

 

과정상,고관절(엉덩이,골반),좌골조면(결절,엉덩이아랫부위/ 좌골점액낭염),허벅지(대퇴후내측),

 

천장관절(증후군/엉덩이내측)통증,허리통증(요통),무릎통증(슬통),좌골신경통(요각통)과 유기적으로

 

연계(connection)되고 동반하여 자주 나타납니다.

 

[* 블로그 內 고관절(엉덩이,골반)통증문건들 참조]

 

 

아래와 같이 정리됩니다.

 

 

1. 고관절 질환을 유발하는 고관절 충돌증후군과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에 의해 고관절 통증(염)과 

 

    합병되어 사타구니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 내상으로는 脫腸)

 

 

2. 장요근, 장.단 내전근의 경직과 구축(굳어짐, 근막유착)에  의해 음부대퇴신경(genitofemoral nerve)이

 

    압박(폐색, entrapment)되어 나타나는 경우

 

 

3. 고관절 굴곡, 내전시(의자에 앉아 있을때 / 다리를 꼬고 앉아 있을때)에 작용하는 장요근, 대퇴직근, 고관절

 

    내전근들의 건(힘줄)에 압박,자극이 加(가)해져서 오는 경우

 

 

4. 고관절 굴곡근인 장요근(체간의 과다신전, 요추전만증 / Lordosis를 일으킬수 있음)과 고관절 내전근들,

 

    이상근의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근막유착)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오는 경우

 

   (* 근막통증증후군)

 

 

5. 고관절 외전시(양반다리자세)에 내전근(장.단내전근, 대내전근, 박근, 치골근)들이 단축구축되어있어,

 

    신장(이완)되지 않아서 근육이 땡기면서 통증이 오는 경우

 

 

6. 골반의 비틀림(변형)이 골반주위 근육(근막)들의 보상적(방어적) 비틀림을 유발시켜서 오는 경우

 

   (*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비틀림이 상쇄적인 균형(안정성유지)을 위한 골반 비틀림을  유발시킬 수도 있음 )

 

 

7. 고관절(hip joint) 주위를 감싸고 있는 장골대퇴인대의 상부 부착부, 사타구니 부위에 위치한 

 

   장골치골활액낭(bursa),치골대퇴인대 /그 밑(deep)에 위치한 고관절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으로 인하여 사타구니에 힘(역학적 스트레스)이 들어가는 동작시에이 조직들이 압박, 자극되어 

 

   오는 경우

 

[* 장골대퇴인대의 上部(상부)와 그 밑(deep)에 위치한 前部(전부)고관절낭(joint capsule)은 A.I.I.S

 

    (전하장골극) 아래(직하방,直下方)의 관골구 전연(장치융기 외측면,관골구 전면)에서 치골대퇴인대와

 

    유합(conjoined)되어있으므로,장골대퇴인대의 상부부착부와 前部고관절구축되면, 치골대퇴인대에

 

    역학적인 힘(긴장,장력)을 전달하여 보상적(이차성)구축을 일으키거나 그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이 사타구니(서혜부)로 방사,확산되어 (퍼져서,뻗쳐서) 사타구니(서혜부)통증 유발됨 ]

 

 

 

[* A.I.I.S 직하방의 관골구 테두리(연, margin)에 부착하는 장골대퇴인대, 그 밑(deep)의 前部 고관절낭과 

 

    장치융기의 외(내)측면 ~ 폐쇄능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치골대퇴인대구축  대퇴 (전면)과

 

    內側面(내측면)통증을  유발시킬 수도 있음 (방사통) ]

 

(* 블로그 內 사타구니통증의 다른 문건과 고관절통증,천장관절통증,좌골신경통문건 검색참조)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습관적으로 허리를 굽히는(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과사용,overuse)

 

사람들은, 허리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이 나타나서, 상부요추(체간)과다신전된 요추전만증(lumbar

 

lorsis), 하부요추는 一字형태(일자허리,straight), 골반(천골상단)전방경사, 천골하단은 후방경사[*오리

 

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서 요근(psoas muscle)손상(injury)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지고/ 상,하

 

요추부위의 다열근,회선근 tendon(건,힘줄)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손상을 받고 (단축,신장)구축으로 

 

복통(배땡김,배불편함),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고,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단축,신장)구축

 

됨으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사타구니통증(*치골대퇴인대 단축구축)유발되며,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천극인대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됨으로 요통과 엉덩이(엉치)내측통증(천장관절증후군),

 

꼬리뼈통증(미골통)이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 그림 출처: Ciba Collection >

 

 

 

 

< * 그림 출처 : Sobotta Atlas of Human Anatomy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좌골신경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뻣뻣함),

 

요각통(/ sciatica)의 정의와 원인





인체의 엉덩이(엉치, 골반, 좌골) 밑(deep)부위를 지나가는 큰 신경인 좌골신경(sciatic nerve)주행경로

(line)
따라서 엉덩이(엉치), 고관절,
대퇴후부(햄스트링부위, 허벅지 뒷부위), 오금(슬괵, 슬관절후부), 

종아리(정강이),
아킬레스건, 발뒷꿈치,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땡기거나 저리고 아픈 증상 형태를 

좌골신경통(요각통- )/ sciatica)이라고 합니다.

 

[* 병명(질환명)이 아니고  증상명(형태)을 의미함 ]

 

 

[* 허리/ 엉덩이와 다리통증 (lumbago/ buttock and leg pain- 허리/ 엉덩이(엉치), 허벅지, 다리

 

    (대퇴부,하퇴부)가 무겁고, 저리고, 찌릿하고, 시큰거리며, 땡기며, 뻐근한 통증) 통합적인 명칭

 

   으로서 通用(통용)됨 ]

 


(* 좌골신경(sciatic nerve)은 오금 (上部)윗부위에서 (下部)발바닥까지 가는 경골신경(tibial nerve)과

    발등까지 가는 비골신경(peroneal nerve)으로 갈라짐 )

 

 
이 증상(*좌골신경통)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경근(nerve root) 자극증상

 

- 척추질환(*허리(요추) 디스크)에 의해 좌골신경의 상위 신경인 L3 ~ S1 신경이

눌려서(압박되어) 나타

 

   나는  경우

 

 

2. 이상근에 의한 좌골신경 압박(compression), 폐색(entrapment)

 

- 엉덩이(엉치)근육인 이상근의 구축(굳어짐, 근막유착)으로 인해 이 근육의 밑(deep)을

지나가는

  
좌골신경의 압박과 폐색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

 

 

3. 근막통증 증후군[*소둔근(이상근)증후군]

 

- 엉치근육인 소둔근과 이상근의 구축(근막유착)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에 의한 경우

 

 

* 요근 증후군(Psoas Muscle  Syndrome)

   

  요근(psoas muscle)의 경직과 구축(굳어짐)으로 인한 디스크(Disc)의 압박과 폐색 의한 경우에도

 

  허리통증(요통)을 동반하면서 신경근 자극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4. 골반의 비틀림(변형, strain)

- 엉치(골반)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골반이 비틀어지고(* 발목관절, 슬관절의 비틀림에서도 보상적

  (방어적)
골반 비틀림이 올 수 있음)이로인해 인체 근막의 주행경로(근막경선) 따라서
역학적인 힘[방어적/ 


  보상적 근육(근막)구축]이 전달되어

좌골신경통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허리와 사타구니(서혜부), 무릎에도 영향을 주어서 요통, 사타구니(서혜부)통증,

무릎통증을 합병하는

    경우도 종종 유발됨)

 

 

 5. 골반주위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 대퇴방형근, 햄스트링, 대내전근 tendon(건,힘줄)/ 천골결절인대, 후천장인대,

 

    장요인대의 구축압력(굳어진압력)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좌골신경통이  나타나는 경우

 

    

 

좌골신경통(요각통)증상의 주행경로는 "2가지" line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번째로, 엉덩이(엉치,고관절,골반)가운데 부위부터 시작하여 신체의 뒷부위를 따라서

대퇴후부

(햄스트링 semi, 허벅지부위
) → 오금(슬괵, 슬관절후부) → 종아리(장딴지) → 아킬레스건 → 발뒤꿈치

발바닥까지 통증이

이어지는 line(경로)이 있고

[* 대내전근 → 햄스트링의 semi → 슬와근 → 비복근 → 가자미근 → 후경골근 구축에 의한 방사통 경로를

     공유함 ]

 

 


두번째로, 엉덩이(엉치,고관절,골반)측면부위부터 시작하여

신체의(후)외측을 따라서 고관절



대퇴(후)외측 → 무릎(후)외측 → 하퇴(종아리)(후)외측 → 정강이 → 발목 → 발등까지통증이 이어지는 line

(경
로)이 있습니다.

 

[* 대퇴근막장근(장골,좌골 대퇴인대/ 고관절낭) → 대퇴이두근, 외측광근→  비골근, 장지신근 전경골근

    구축
에 의한 방사통 경로를
공유함 ]

(* 블로그 內 좌골신경통, 고관절통증 他문건들 참조)

 

 

(* 위에 열거한 2가지 경로(line)들은 인체근막계의 연결 line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의 

   
역학적인 힘의 전달로도 해석될 수 있음)

 

 
[* 천장관절통증(엉덩이내측통증)과 하부요통을 일으키는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구축(굳어짐)이

    甚(심)해져서 bulging(팽윤)되어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
 (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
허리(허리윗부위)와  등,
뒷다리, 무릎관절후부 장력(힘)을 분배(분산)시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구축을 유발시킨

    결과로,
엉덩이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동반하여  요통(허리통증), 등통증(背痛)이 유발될 수 있으며,

   
좌골신경통(요각통/ 방광경 line), 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 또한 합병될 수 있음 ]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의 구축(굳어짐)이 만성화되면,허리(등),옆구리,배(복부),다리(무릎,

발목)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걸어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동반되어
이부위들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고관절통증, 좌골신경통 문건들 참조)

 

[* 고관절낭 부착부(bony station): 관골구연(비구연/ 테두리)과 대퇴골두,대퇴골경 ]

 

 

[* 블로그 內 좌골신경통(요각통/ 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 통증,땡김,저림)의

 

     정의, 유주경로의 부위별 분류와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문건 검색참조 ]

 

 

 

 

< * 그림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허벅지 뒷부위(뒤쪽/ 대퇴후부/ 뒷다리/ 햄스트링)통증(땡김,뻣뻣함,경직,저림)과

 

종아리땡김(통증,뻣뻣함,경직)원인들- 근막이론적 해석(*좌골신경통,요각통)

 

 

 

 

 

 

 

우리가 매스컴이나 신문등에서 운동선수들 이야기를 통해 흔히 들어왔던 근육인 햄스트링

 

(hamstring muscle, 슬굴근)은  무릎을 굴곡 시켜주며(굽혀줌), 고관절신전 시켜주는

 

(펴주는) 근육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햄스트링 근육이 위치하고 있는 대퇴후부(허벅지

 

뒷부위/ 뒷다리)가 땡기거나 저리고 뻣뻣하며 경직되어 아픈 통증은 척추질환(디스크 등)에

 

의한 신경근(L3~S1, nerve root)의 압박과 자극증상으로서 나타날 수도 있지만, 

 

근막(근육)이론적인 연부조직(soft tissue)의 측면으로서  살펴보면은...

 

 

 

ⅰ. 햄스트링 근육 자체의 손상(injury)으로 인한 구축(굳어짐,근막유착),(*대내전근, 대퇴

 

      방형근 구축에 의해서도 활성화 될 수 있음)에 의해 종아리(장딴지)부위까지도 확장되어서

 

      (퍼져서) 종아통증(shin pain)과 함께 동반되어 나타나는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으로서의 방사통(referred pain)인 경우

 

 

ii. 스트링 근육의 심부(深部)에 위치하고,대퇴골조선(linea aspera)에 부착하여 근막적

 

     속성(연계성)있는 대내전근대퇴이두근 단두 근막과 tendon(건,힘줄)이

 

     자세불량(불균형)이나 과사용(overuse/ 과부하) 등으로 손상되어 구축(굳어짐,con

 

    tracture)됨에 의해 대퇴후부(허벅지뒷부위)안쪽(內側)과 바깥쪽(外側)땡김(뻣뻣

 

    함/ 경직)통증나타나고, 그 구축압력(굳어진압력)이 하퇴의 종아리, 발목으로 전달

 

     되어 해당부위의 연부조직인 후경골근근막과 tendon(건,힘줄)/ 발목관절의 인대와 관절낭

 

     에 이차성구축유발

하여 종아리와 발목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ⅲ. 햄스트링 근육의 上部(윗부위)에 있는 엉덩이(엉치)근육인 소둔근(後部)과 이상근의

 

      경직과 구축(굳어짐, 근막유착)으로 인해 엉덩이(엉치, 골반)통증동반되어 나타나고

 

      또한 좌골신경통(sciatica) line(경로) 따라서

대퇴후부(허벅지 뒷부위)

통증이 이어지는

 

      근막통증증후군으로서의 방사통인 경우

 

 

iv.  이상근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해 이 근육 밑(deep)을 지나가는 좌골신경(sciatic nerve)이

 

     압박(compression), 폐색(entrapment)되어 나타나는 좌골신경통으로

 

     좌골신경(sciatic nerve)의 주행 line(경로) 따라서 엉덩이(엉치)부터 시작된

 

     대퇴후부(허벅지뒷부위)땡김이 오금(슬괵, 슬관절후부)~ 종아리(장딴지)

 

     ~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이어지는 경우로 정리됩니다.

 

 

※ 위에 열거한 경로들은 인체 근막체계의 연결 line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의

 

    역학적인 힘의 전달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골반주위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

 

 - 햄스트링 근육과 근막적으로 연계(fascial connection)되어 있는 좌골대퇴인대후부

 

    고관절낭/ 대퇴방형근, 대내전근 tendon(건,힘줄)/ 천골결절인대, 후천장인대, 장요인대의

 

    구축압력(굳어진압력)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으로도

대퇴후부(허벅지부위)종아리 땡김뻣뻣함통증 나타날 수 있음.

 

   [*근막체계(fascial net)로서의 관점 ]

 

 

[* 블로그 內 ~ 좌골신경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 통증,땡김,저림),요각통

 

 

 

    (sciatica)의 정의와 원인/

 

 

 

    좌골신경통(요각통/ 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 통증,땡김,저림)의 정의, 유주

 

    경로의 부위별 분류와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문건 검색참조]

 

 

 

 

< * 그림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좌골신경통(요각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

 

뻣뻣함,무거움)의 정의,유주경로의 부위별 분류와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좌골신경통(sciatica)은 좌골신경의 유주경로(line따라서 나타나는

신경압박(자극)증상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요각통(腰脚痛)의 범주로서 허리 →

고관절(엉덩이,골반) → 대(다리)  슬관절(무릎,오금)

 

→ 정강이(종아리) 발목관절 → 발등(발바닥) 발가락관절 (순)(* 逆順으로의 병기로도 유발될 수 있

 

)으로 병증이 방사(emanation), 확산(diffusion)되어 나타나는 허리,엉덩이와 다리통증[* Buttock, leg

 

pain/ 엉덩이(엉치)와 다리(대퇴부,하퇴부)가 무, 저리고,찌릿하고,시큰거리며,땡기며,뻐근한(뻣뻣한)

 

통증] 합적인 명칭으로通用(통용)됩니다.(*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좌골신경통(요각통)은 그 유주경로상에서인체에서 연접(junction)되는 부위인

관절(joint)부하(load)

 

많이 받기 때문에, 고관절(엉덩이, 골반) → 슬관절(무릎) → 발목관절 → 발가락 관절 順으로 역학적인 힘(

 

, 긴장)전달, 분배되어 관절주위연부조직t

endon(건,힘줄),深部인대,관절낭(joint capsule)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contracture)됨에 따라 관절주위에서 통증이 유발되므로, 관절부위(joint region)

 

主된 病巢(병소)가 됩니다.

 

 

 

따라서,관절들 사이 위치하고 있는 대퇴부(다리), 무릎(오금), 정강이(종아리), 발등(발바닥)통증은,

 

관절주위 연부조직구축압력으로 인하여 통증이 방사,확산(퍼져서,뻗쳐서)되서 나타나는 방사통

 

(referred pain)으로 해석됩니다.

 

 

좌골신경통(요각통)은  同一한 인체부위 內에서도 다소 편차가 있게 나타나므로,

 

부위별분류하고, 원인이 되는 해당 연부조직(soft tissue)구축(contracture)

 

정리 합니다.

 

 

- 통증 유주경로의 시작점고관절 주위 연부조직으로 규정하고서 설명드립니다.

 

   (* 逆順으로의 병기로서 발가락 관절이 시작점이

 될 수도 있음)         

 

 1. 사타구니(서혜부),허벅지/ 대퇴내측,중앙(가운데,前部)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내측과 중앙

 

    (前部) line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 원인 :

고관절 인대 中 장치융기(iliopubic eminence)의  외(내)측면 ~ 폐쇄능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치골대퇴인대(pubofemoral ligament)(* 폐쇄능의 외측면에서 치골대퇴인대

 

           와 근막적으로 유합되어있는 치골근tendon의 구축도 사타구니통증에 일부 영향을 줌),            A.I.I.S(전하장골극) 직하방의 관골구(acetabulum)전(테두리, margin)부착하는

 

           장골대퇴인대(iliofemoral ligament)와 그 밑(deep)에 위치하는 관절낭(joint capsule)

 

           – 前部 고관절낭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에 의해 병증 line을 형성함.

 

          (*

고관절 내전근들인 대내전근/ 장,단내전근,박근 tendon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도

 

              대퇴내측면 통증이 유발될 수 있음)

 

   

 

2. 엉덩이 외측(고관절 외측부)/ 대퇴외측(넓적다리,허벅지의 옆부위,바깥쪽) - 膽經line – 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외측(外側) line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원인 : 전자간선(intertrochanteric line)에 부착하는 장골대퇴인대와 그 밑(deep)

            위치하고 있으며 대퇴골경(neck)의 前面 테두리에 부착하는 관절낭(joint capsule)

 

           – 中部 고관절낭 – 과 외측광근 tendon 구축압력에 의해 병증line을 형성함.

 

 

 

3. 엉덩이 후부의 외측(고관절 후부)/ 대퇴후외측(허벅지 뒷부위의 바깥쪽) - 膀胱經 中

 

     햄스트링의 대퇴이두근line 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후외측(중앙) line

 

     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 원인 : 고관절 인대 中 관골구 후면(posterior region)에 부착하는

             좌골대퇴인대(ischiofemoral ligament), 그 밑(deep)에 위치하는             관절낭(joint capsule) –後部 고관절낭(*대퇴골경의 後面 테두리에도 부착함)-/

 

            좌골조면(ischial tuberosity/ 앉아있을때 엉덩이가 바닥에 닿는 부위)외측면

 

       과 후면에 부착하고 있는 대퇴방형근, 대퇴이두근 장두 tendon/ 대퇴골조선(linea

 

            aspera)의 외순(lateral lip)에 부착하는 대퇴이두근 단두 tendon의  구축압력에 의해

 

            병증 line형성함.[* 좌골점액낭염(엉덩이 아랫부위통증)- ischial bursitis ]

 

 

 

        

 

 

4. 엉덩이 후부의 내측(천장관절,장골능(골반)부위)/ 대퇴후내측(허벅지 뒷부위의 안쪽)

 

 

       - 膀胱經 中 햄스트링의 semi line – 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후내측 line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 SLR test시 뒷다리가 땡기는 R.O.M장애가 유발될 수도 있음 )

 

• 원인 : 장골능(iliac crest/ 바지가 걸쳐지는 부위)과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엉덩이 안쪽)

 

            에 부착하고 있는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골반(장골능)통증, 천장관절증후군]/

 

            좌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천골결절인대햄스트링의 semi 근육(*반건양근,반막양

          

            근tendon/ 관절(hip joint)의 내측관절을 형성을 형성하면서 좌골조면과 좌골지

 

            (ischial ramus),대퇴골조선(대내전근 중부섬유 부착, 대퇴이두근 단두 tendon

 

            

근막적으로 연계됨)부착하고 있는  대내전근(햄스트링 semi근육의 深部에 위치함)

 

             tendon 구축압력에 의해 병증 line을 형성함.

 

           [* 좌골점액낭염(엉덩이 아랫부위통증)- ischial bursitis] 

 

 

[* 로그 (장골능)통증/ 천장관절증후군/ 좌골점액낭염 문건들 참조 ]

 

 

 

 

 

[* 천장관절통증(엉덩이내측통증)과 하부요통을 일으키는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

 

    구축(굳어짐)이 甚(심)해져서 bulging(팽윤)되어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 (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허리(허리윗부위)와  등, 뒷다리,

 

    무릎관절후부 장력(힘)을 분배(분산)시켜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구축을 유발시킨 결과로,

 

    엉덩이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동반하여  요통(허리통증), 등통증(背痛)이 유발될 수 

 

    있으며, 좌골신경통(요각통/ 방광경 line), 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 또한 합병될 수 있음 ]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의 구축(굳어짐)이 만성화되면,허리(등),옆구리,배(복부),다리(무릎,

 

    발목)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걸어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동반되어

 

    이부위들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블로그 內 고관절통증, 좌골신경통

 

    문건들 참조)

 

[* 고관절낭 부착부(bony station): 관골구연(비구연/ 테두리)과 대퇴골두,대퇴골경 ]

 

 

以上과 같이, 부위별로 나뉘어진 유주경로로서 분류가 될 수 있으나, 인체(人體)

 

근막계(fascial net)라는 통합적인 그물망 형태로 유기적으로 연계(connection)되어

 

있기 때문에, 관절주위연부조직(soft tissue)이라는 側面(측면)에서 모두다 연결(join)되어,

 

서로에게 장력(tensional force)을 전달하며,분배하고 있습니다.(*상호(相互) 압박(력)을 가함)

 

따라서, 좌골신경통(요각통)의  부위와 유주경로(line)들은  복합적으로 동반(합병)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고관절(골반)통증(염), 사타구니, 좌골조면통증(엉덩이,엉치 하부통증/ 좌골점액낭염),

천장관절(엉덩이내측)통증(증후군,관절염), 요통(허리통증), 슬통(무릎통증), 미골통

 

(꼬리뼈통증)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인간이 직립자세를 함에따라, 인체의 중앙에 위치한 골반(엉덩뼈, 骨盤, pelvis)이 척추의 하중(무게)을

지탱하여, 체형의 안정(stability)
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결국, 골반은 항상 부담을 받게되고, 이에 따라 골반과 대퇴골을 이어주는 고관절(엉덩이 관절, hip joint)의

연부조직(soft tissue)들은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 contracture)되어 집니다.


즉, 고관절을 이어주는 인대들인 장골, 좌골대퇴인대, 그 밑(deep)의 고관절낭(capsule of hip joint )과

또 다른 고관절 조직
(고관절의 內側構造를 형성함)이라고
확대해석(*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할 수 있는

대내전근 tendon
(건, 힘줄)이
손상을 받아 구축됨에 따라 엉덩이 외측면과 뒷부위가 아픈 고관절

(골반,엉덩이,엉치)통증
- 고관절염 -
 

 

 
(* 통증의 양태(樣態): 고관절이 부드럽지 않고/ 무겁고 무지근(묵직)하며/

뻣뻣하고 땡기며/

                                
뻐근하고 우리하며/ 욱신거리거나 시큰하며/ 뜨끔뜨끔 쑤시는 통증 )
   

[* 평소에 고관절 부위와 다리가 오그라든 느낌이 들어 답답하고 무겁고 불편하며, 걸을때(서있을때)

 

     다리가 짧게 느껴지는 뻐정다리(*고관절을 펴는 신전의 장애)가 되거나 다리에 힘이 안 들어가서

 

     (빠져서) 잘 걷지 못하는 보행장애(跛行,파행/ 걸을때 절룩거림)가 유발됨/ 앉아 있을때나 양말을

 

     신을때(*고관절 굴곡자세)에 고관절통증이 나타남 ]

 

 

 

 

[* 통상적으로 고관절이 굴곡,내회전(장요근/ 장골대퇴인대,前部고관절낭의 단축구축)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관절의 신전(다리를 펼때/ 일어날때), 수평외전(양반다리자세)

동작의 장애가 다빈도로

    유발됨 ],
(블로그 內 만성 고관절통증문건 검색, 참조)


앉아 있을때, 엉덩이가 바닥에 닿는 뼈부위(엉덩이 아랫부위,하부)가 아픈증상좌골조면(결절)통증 -

좌골점액낭염(ischial bursitis) - 이 유발됩니다.(*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좌골조면(외측면)에 부착하고 있으며, 대둔근 밑(deep)에 위치하고 있는 천골결절인대/

    

    햄스트링대퇴방형근 (힘줄/ tendon)의 구축 좌골점액낭염에 배속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 앉아있는 자세를 많이하는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남.

 

 

   * 특히 딱딱한 바닥 앉아있을때 통증이 심하게 나타남.

  

  * 앉아있을때  좌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tendon들이 압박, 자극됨으로 인해 통증이 나타남.

 

 

  * 甚(심)한 경우에는 걸을시에 대내전근 부착부(bony station/ 대퇴골 조선에도 부착함)에서

건반사

     (tendon reflex)가
일어나, 다리에 힘이빠져 주저앉게 되는

장애(disorder)가  나타남. 

     (跛行- 파행,보행장애)

  

통증이 격렬할 시에는, 걸을때 시큰하거나 뜨끔하게 맞치면서 순간적으로 주저앉기도함.

 

   *  

대.소변을 볼 시, 좌골조면 부위(조직)에 힘(장력)이 들어가서 자극받지 않게 하기위한

       인체 방어(보호)기전으로
대.소변의 배설력 弱化(약화)
도 초래될 수 있음 ]

 

 

 

(* 대내전근 tendon(건)은 좌골조면의 내측(안쪽)에 위치한 좌골지(坐骨枝)에도 부착하고 있으므로 좌골지



    (ischial ramus) 뼈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통증

동반되며, 대내전근 tendon의 구축압력 치골하지

    (inferior pubic ramus)
와 치골체 外面(바깥면)의 하연
부착하고 있어서 대내전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단내전근과 박근 tendon에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 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일으킨 결과로, 치골하지와 치골 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증상인 치골통

(恥骨痛)과 골반내 통증

    (internal pelvic pain),
대퇴(전)내측면 통증 유발할 수 있음 )

 
(* 치골상지(上)의 상연(치골즐)과 하연(폐쇄능,외측면)에 부착하고 있는 장내전근, 치골근

tendon

    (건,힘줄)과
골대퇴인대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도 치골통이 유발될 수 있음 )

 

    (* 블로그 內 사타구니통증문건들 참조)

 

 

* i ) 고관절 통증 좌골신경통(sciatica)의 膽經(담경)line인 리의 대퇴외측통증으로,

좌골조면 통증

       膀胱經(방광경)line인
퇴후부의 내측통증(허벅지 안쪽(뒷)부위, 대내전근 tendon의 대퇴골조선

       부착부)으로
확산되어(퍼져서) 다리가 땡기고 저리는 통증이 나타남

       (*
골신경통,좌골점액낭염/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ⅱ) 엉덩이 뒷부위의 고관절 통증은, 이 통증을 일으키는 좌골대퇴인대와 그 밑(deep)의 후부 고관절낭이

     좌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대내전근 tendon과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을 가지고 있기에, 

    

엄밀한 의미에서는 좌골신경통膽經 line이 아니라 膀胱經 line과 연계됨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고관절
(hip joint)과 좌골조면(ischial tuberosity)통증이 甚(심)하여지면
고관절이 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되어 관절이 뻣뻣(뻑뻑)하고,무겁고,
관절운동(활동)시에 소리가 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① 대내전근과 치골근 tendon, 치골, 장골대퇴인대(pubo, iliofemoral ligament),

그 밑(deep)의 관절낭

   
(joint capsule)이 수축(contraction)되는 동작인
고관절의
굴곡(다리를 굽히는 자세)과 수평내전

    (다리를 꼬는(모으는) 자세)
시에
좌골조면 부착부와
고관절이 부드럽지 않고 뻣뻣(뻑뻑)하며, 

    
장력(tensional force)이 걸린 결과, 관절 부위가
툭툭 걸리는 관절운동의 장애(disorder)가 일어나고, 

    동반되는증상으로서 
치골근 tendon,
치골,장골대퇴인대/ 前,中部 고관절낭이 들어가게되어,

   
부착부(bony station)인
치골즐, 폐쇄능 / 장치융기의 외(내)측면 ~ 폐쇄능의 외측면 /

   
A.I.I.S(전하장골극)직하 /
부위가 아픈 증상사타구니(서혜부)통증 - 보상적 체형의

   
(비틀림)으로 通常的
으로는 팔자걸음(고관절의 외회전)이 됨 -   전자간선, 대퇴골경의 前部 테두리

    (연,
margin)부위가 아픈 증상엉덩이 외측면 통증(소둔근, Anterior Portion)이 유발됩니다.


[* 장골대퇴인대의 上部(상부)와 그 밑(deep)에 위치한 前部(전부)고관절낭(joint capsule)은

    

A.I.I.S(전하장골극) 아래(직하방,直下方)의 관골구 전연(장치융기 외측면,관골구 전면)에서

    
치골대퇴인대와 유합(conjoined)되어있으므로,장골대퇴인대의 상부부착부와 前部고관절낭구축
되면,

     치골대퇴인대에 역학적인 힘(긴장,장력)을 전달하여 보상적(이차성)구축을
일으키거나

그  구축압력

     (contracture pressure)이 사타구니(서혜부)로 방사,확산되어

(퍼져서,뻗쳐서)

    
사타구니(서혜부)통증 유발됨 ]

 
[* A.I.I.S 직하방의 관골구 테두리(연, margin)에 부착하는 장골대퇴인대, 그 밑(deep)의 前部 고관절낭과 



    장치융기의 외(
내)측면 ~ 폐쇄능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치골대퇴인대
구축  대퇴 (전면)과

    內側面(내측면)통증
을  유발시킬 수도 있음 (방사통) ]



좌골대퇴인대(ischiofemoral ligmant)와 그 밑(deep)의 후부 고관절낭수축되는 동작인 고관절의

    수평외전
(양반다리 자세)시에 이 조직들에 이 들어가게 되어 압박,자극 되므로
부착부 관골구의

    후면과  대퇴골경의 後部 테두리(연,margin)부위가  아픈 증상인
엉덩이 뒷부위 통증(소둔근,

    posterior portion)이
유발됩니다.



고관절과 좌골조면 통증이 만성화

되면 고관절과 좌골조면 주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들 구축(굳어짐)이

甚(심)한 상태에 있으므로,
더 이상 손상되지않게 쓰지않아서, 조직을 보호
하려고 는 

인체 방어기전으로써, 몸(자세)을 비틀게되므로  보상적(기능적) 체형의 비틀림(변형, strain)이 유발됩니다.

 

이 결과로,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을 형성하는(섬유성 인대결합) 후천장인대

(posterior sacroiliac ligament)와
이와 연접하여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장요인대(iliolumbar ligament)가

손상을 받아 보상적 구축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후천장인대는 S1~S4 중간천골능(천골

 

결절) 부착부 부터 먼저 nodule이 형성됨 - 일어나게 되므로 천장관절(엉덩이,엉치내측/ 천골)부위가

 

아픈 증상인 천장관절통증 - 천장관절증후군(관절염)/ sacroiliac joint syndrome -   허리통증요통

 

유발됩니다.

 

 

(* 허리의 다열근,회선근 tendon/ 관절돌기간 관절낭보상적 구축으로도 요통이 유발됨)

 


(* 천장관절증후군주로 앉아있을때 구축된 후천장인대가 압박,자극된 결과 엉덩이 안쪽(내측)의

   
천골(엉치등뼈)부위에 통증이 나타나서, 오래 앉아 있지를 못하고 점차  엉덩이 전체, 골반 깊숙한 곳까지

    뻐근하고, 우리하고, 무지근하게
아픈 통증이 방사,확산되어져 어디가 아픈지 모를 정도 까지

    병기(病機)가 진행됨)


[* 앉아있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펼시에,허리통증(요통)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 통증의 양태: 무겁고 무지근(묵직)하며,쑤시고 욱신거리거나 우리하고, 뻐근하게 아픈 통증)

 
* ⅰ) 대내전근 tendon → 좌골조면(결절) → 천골결절인대 → 후천장인대로의 근막적 연계성

      
(fascial connection)과
생활에서의 습관적인 고관절 굴곡자세나 생체역학상 인체가 직립시에

         대퇴골의 전방 경사짐으로 인해

요추 전만증(Lumbar Lordosis), 골반의 전방경사

         (천골下端의 후방경사)된 결과,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의 보상적 구축도 유발될 수 있음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ⅱ) 주로 앉아 있을때 천장관절부위(조직)가 압박,자극되어서 통증이 유발됨

 

    ⅲ) 대.소변을 볼 시, 천장관절 부위(조직)에 힘(장력)이 들어가서 자극받지 않게 하기위한 인체 방어

         (보호)기전으로 대.소변의 배설력 弱化(약화)
도 초래될수 있음

 

    ⅳ) 甚(심)한 경우에는 앉았다 일어날때(고관절 신전자세) 통증이 유발되므로, 엉덩이가 힘이빠져 

        
주저앉는 장애(disorder)가 나타남

        (* 대내전근 tendon의 구축에 의해서도

좌골조면 통증과 더불어 고관절의 굴곡과 신전의 장애가 

          
유발될 수 있음)

 

(*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의 구축(유착)이 甚(심)해지면 肥厚(비후)된 결과,대둔근이 부착하고 있는 

   
장골능후부의 하연(아래 테두리),외측연과 장골의 후외측
연,천골(선골)의 후외측면으로

   
bulging(팽윤)되어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대둔근 tendon(건,힘줄)과 유합되어

   
있음) 대둔근 부착부(엉덩이 內側中에서도 바깥쪽) 주위통증과  중,소둔근부위까지로도 방사되는
 

   
엉덩이 내측(안쪽)통증- 엉덩이 내측中의 바깥쪽통증이 유발됨 )

(* boundary line(경계선) : 장인대 외측경계는  대좌골공의 내측경계와 거의 일치함 )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들 참조)


(* 구축이 심해져서 bulging(팽윤)된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가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

하려는

   
인체 방어기전(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허리와 등/ 뒷다리, 무릎후부
장력(힘)을

    분배
(분산)시켜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

    구축을 유발시킨결과로,요통(허리통증)과  배통(등통증),좌골신경통
(방광경 line),
무릎관절후부

   (오금)통증
 나타나게 됨
),(* 블로그 內 좌골신경통문건 참조)


[* 앉아있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펼시에,허리통증(요통)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이어지는 병기(病機)로서,

 

후천장인대와 연접해서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천극인대(sacrospinous ligament)의 보상적 구축

유발되어,

미골통(꼬리뼈 통증, coccygodynia)과 직장통(골반내 통증)도 합병하게 됩니다.

 

(* 천극인대의 천층에 위치한 대둔근 tendon(건,힘줄)의 구축에 의해서도, 앉아있을때 등에 

   
이 건(힘줄)이 압박,자극되어 미골통이 유발될 수 있음)


(* 직장통(골반내 통증)은 대내전근과 내폐쇄근 근막구축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도 유발됨)

 
(* 고관절 주위의 연부조직들을 손상되지 않게, 쓰지 않아서, 보호하려는 인체의 노력은 무릎관절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이 전달되게 하여(장력의 분배,분산)
,

결과적으로 무릎관절과 주위 연부조직들의

    보상적(이차성)구축과 비틀림(변형)이

일어나게 하므로, 릎 관절을 뻣뻣(뻑뻑)하게하고,

   
무릎통증(슬통)을 유발시킬수 있음)

 

(* 고관절낭(joint capsule)이나 대내전근 tendon구축장기적으로 지속(만성화)되면,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이
무릎관절로 전달 -장력의 분배(분산)- 된 결과, 무릎관절낭보상적(속발성)구축


  
유발 시켜서, 고관절(골반,엉치)통증좌골조면(엉덩이 아랫부위)

통증(*좌골점액낭염), 다리(대퇴부)통증

   (땡김,저림)(*좌골신경통,요각통)과 동반하여,
무릎이 부드럽지않고 뻣뻣(뻐근)하며, 무겁고

   무릎관절에서 소리가 나며, 무릎통증
무릎후부(오금)통증 또한 나타나게됨),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의 구축(굳어짐)이 만성화되면 허리(등),옆구리,배(복부),다리(무릎,발목)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걸어) 上記한 해당부위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 구축이 유발

 

     된 결과로,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동반하여 上記부위들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

 

 [* 고관절낭 부착부(bony station): 관골구연(비구연/ 테두리)과 대퇴골두,대퇴골경 ]

 

 

(* 블로그 內 고관절통증, 좌골신경통 문건들 참조) 

 

 

결론적으로, 고관절(엉덩이,엉치,골반)과 좌골조면(결절)통

직립하고 살아가는 인간이 불가피하게,

감당해야될
부담으로 노출되어 있고,

그에 따른 사타구니(서혜부)통증천장관절통증,요통,미골통,

직장통(골반내 통증),다리통증(좌골신경통),
무릎통증(슬통)또한 유기적(통합적)으로

연계(connection)
되어

모두 다, 同一한 병기(病機)의 category(범주)로서 복합적으로 병증이 발현됩니다.

 

[* 장력(긴장)의 분배선- 역학적 연계선(dynamic connection line)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보상적 구축)

 

: 고관절 ↔ 허리관절,무릎관절,천장관절/ 천장관절 ↔ 허리관절,미골,무릎관절후부(오금) ]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습관적으로 허리를 굽히는(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

(과사용,overuse)

사람들은, 허리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이 나타나서, 상부요추(체간)과다신전된

요추전만증
(lumbar lorsis), 하부요추는 一字형태(일자허리,straight), 골반(천골상단)
전방경사,

천골하단은 후방경사[*오리 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서 요근(psoas muscle)

손상(injury)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지고/

상,하 요추부위의 다열근,회선근 tendon(건,힘줄)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손상을 받고

(단축,신장)구축
으로 복통(배땡김,배불편함),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고,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

손상을

받고(단축,신장)구축됨으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사타구니통증(*치골대퇴인대 단축구축)

유발되며,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천극인대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됨으로 요통과 엉덩이(엉치)내측통증



(

천장관절증후군), 꼬리뼈통증(미골통)이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