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손목(팔목)통증에서 형성되는 결절종(ganglion)의 근막이론적 관점

(fascial viewpoint)





손목(팔목)통증이 잘 낫지 않고 만성화(장기화)되면(* 만성 손(팔)목통증(관절염)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손목관절이 아탈구(subluxation),고정(fixation)되어 손목이 뻣뻣(뻑뻑)해지고,관절운동의 제한

(
Limitation of R.O.M)과 함께 손목관절
주위에 " 혹 " 과 같이 볼록하게 툭 불거져(튀어)올라와 있는 조직

알갱이(몽우리)인
결절종(ganglion)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손목을 굽혀보면 확연하게 더 튀어올라와 보임)

 

이러한 결절종형성은 인체 근막체계(fascial net)이며, 연부조직인 손목관절 주위의 인대와 관절낭

(관절을 감싸고 있는 이중막/*표재낭)의
구축(굳어짐,손목통증의 원인이 됨)이 만성화됨에 따라 더욱

甚(심)해져서, 손목 안(內)에서 조직섬유 가닥들의 뭉쳐져 있는(유착
된) 알갱이(몽우리)들인

결절(nodule)이  비후(유착이 甚(심)해 짐으로 인함)하여
밖으로 - 특히,손목의 등쪽(背側)부위로 - 투출

(돌출/ 팽윤,bulging)되어
나타난 현상입니다.

 

以上의  근막이론적 관점을 토대로 하여

 

뭉쳐져서 튀어올라온 알갱이(결절종)를 풀어주게 되면(이완시켜 주면), 뭉쳐져 있던 조직이 원상태로

제자리(위치)를
찾아 들어가서 결절종은 소멸되므로 손목관절 주위는 편평해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근막체계들의 구축이 풀어진 상태를 의미하므로, 손목이 부드러운 상태로 되며, 통증

또한 경감시키며,사라지게 합니다.

 

 (* 손목(팔목)결절종은, 조직 손상의 치유과정상에서 생리적변화에 의해 형성된 조직물이며, 종양형태의

     병리적 신생조직물이 아니기 때문에, 수술적 처치로 제거할 시에는
손목의 弱化(약화)를 초래할수도

     있음)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손가락 관절염(통증)을 유발하는 경직된(뻣뻣한) 손가락과 방아쇠 수지(손가락,탄발지)






손가락 마디 관절염(통증)을 유발하는 경직된(방아쇠) 손가락 대해 근막이론적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손가락이 뻣뻣하게 경직되어 있어서 손가락을 굽혀(굴곡시) 손바닥에 닿게 하는 동작을
해보면

(Finger - Flexion Test ; 손가락 굴곡검사) 완전하게 손바닥에 닿지 않고, 손가락
관절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경직된(뻣뻣한) 손가락
(Stiff Finger)의 원인으로는


첫째로, 손가락 관절 주위의 인대(배측,측부,장측)와 관절낭(joint capsule, 손가락
관절낭감싸고 있는

이중막)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한 경우가 많은데,
손가락에
뭐가 들러붙어 있는 것 같은 이물감이 있어 

답답하고, 무겁게 느껴지고
손가락을 쓰면
뻣뻣(뻑뻑)해지고 통증이 나타납니다.

 
둘째로는 사각근과 지신근(손가락을 펴주는 근육)의 근막과 건(힘줄)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어

있어
손가락 굴곡을 방해하고, 그 길항근인 지굴근(손가락을 굽혀주는 근육)의 근막과 건은 상대적으로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약화)됨에 따라 손가락을 굴곡시에, 장애와 통증를 일으킵니다.

 

(* 근육이 주(主)작용으로서 수축을 할 때의 장애는 " 건 " 의 구축으로 인한 경우가 많음)

 
셋째로는 손의 중수골 사이에 있는 골간근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경직된

손가락을 유발시킵니다.(
근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그리고, 탄알(총알)을 발사할 시의 방아쇠를 잡는 손가락 자세와 같이 손가락이 굽혀져 있어서 그 명칭이

지어졌고, 손가락 관절을 펼시(신전시)에 한번에 자연스럽게
펴지지 않고, 관절이 툭툭 걸리면서 펴지게

되며, 손가락 통증도 나타나게 되는 
또 다른 손가락 관절의 장애인 방아쇠 수지(손가락,탄발지/ Trigger

Finger
)
의 원인으로는

 
첫째로, 손가락 관절의 배측,측부,장측인대와 관절낭구축(굳어짐)으로 인한 경우이고


둘째로는 지굴근(손가락을 굽혀주는 근육)의 근막과 건(힘줄)이
단축구축(짧아져서굳어짐) 되어 있어

손가락 신전을 방해하고, 그 길항근인 지신근(손가락을 펴주는 근육)의 근막과 건은 상대적으로 신장구축

(늘어나서 굳어짐,약화)됨에 따라 손가락을 신전시에, 관절의 장애와  통증일으킵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연부조직의 보상적(방어적,이차성,속발성)구축을 유발하는 인체 방어기전





인체의  특정(일정)부위에 (과)긴장과 압박,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 압력)가 加해지면,

必然的으로,

해당부위의 近거리나 遠거리의 연부조직(soft tissue)에 장력(張力,tension)이
생성되어, 장력긴장선

(tensional line)을 형성합니다.

 

(* 압박된 부위, 즉 과부하가 걸린부위를 향해 장력긴장선을 형성하여, 조직이 재배열(변형)됨으로서, 인체  

    구조의 안정성(균형)을 유지함)

(*

압박된 부위를 향해 선모양(線型)의 경직(linear stiffening/ taut band)이 나타남)

이 과정상에서, 평소 

잠재적
긴장상태
에 있어서, 장력에 취약한 연부조직

손상(injury)을받아

구축(굳어짐,contracture) -    
  
원발성
-이 일어나서  근골격계 통증질환을
일으키게 됩니다.  압박(과부하)가 지속(持續)되면,  

유기적이고, 전신적으로
근막적(역학적)연계성(fascial connection)이 있는 인체 근막계

(筋膜系,fascial net)를
따라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이 전달되어, 장력을 나누려는  장력의 분배(분산)

 

- sharing of  tensional force - 가  일어납니다.

 

결과적으로, 다른 부위의 연부조직(* 심지어는 반대쪽 연부조직까지)도 손상을 받아

보상적(방어적,이차성,

속발성
)구축

-compensatory contracture- 유발되어,

통증이 시작된 부위 以外의 다른 부위에도 

통증동반하여 나타납니다

 .

[* 지속적 과긴장(hypertonia) 누적(累積) - 만성 과부하(choronic overload)]

 

결국, 이와 같은 병기(病機, pathogenesis)는 원발성(原發性)의 처음에 통증이 나타난 부위를 쓰지

(사용하지) 않아서, 몸을 보호하려는 인체의 방어기전(defense mechanism)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아픈쪽 부위(痛處) -원발성- 에 힘을 덜 실어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근막적(역학적)

연장선상에 있는
다른부위힘을 쓰게되어, 장력(tensional force)이 걸리므로 안아팠던 부위도

-속발성- 으로
아프게 되는 원리입니다.

(* 몸을  비틀게되면, 보상적(기능적)체형(골격)의 비틀림(변형,strain)도 유발되어, 과긴장,역학적 스트레스

    (과부하)가 연부조직에 加해지고
, 손상(injury)을 입힌 결과로,
조직의 보상적 구축도 유발됨)

(* 상쇄적인 균형(안정성,stability)을 이루기(유지하기)위한

보상적(기능적)체형(골격)의 비틀림(변형)

   조직
구축)

(* 인체의 특정부위에 압박된 힘(압박력,압력,compressive force)이 작용하면, 신체는 그 구조의 안정성 

    (stability)을 위해, 필연적으로 장력(tensional force)생성
되어, 근막계를 따라
긴장선

    (tensional line)을 형성하여,
압력과의 균형(balance)
유지하게 됨.

   
결국  압력과 장력 과부하(overload)가 되며, 이 과부하는 유기적이고, 전신적인  인체

근막계

  
(筋膜系,fascial net)를 따라서, 분배(분산)되며,

전신에 걸쳐 분배된 과부하에 대해서,

평소에, 잠재적

  
(지속적,만성적)으로 탄력성이 떨어져 있고, 긴장상태에 있던

연부조직 부하에 취약하게 되며,

 
손상(injury)을 받고 구축 유발 됨.

 
 

결론적으로, 원발성(原發性) 손상과 구축이 일어나게 되는 부위, 압박된 부위(최초의 과부하가 걸린

  부위)와
가까운 부위(近거리)이어야 한다는
필연성은 없음)

(* 인체의 골격은 압박을 감내(감당)하는 요소이고, 연부조직은 장력을 감내하는 요소 이므로,

연부조직의

    손상과 구축장력에 의해 유발됨)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유발하는 연부조직의 치료 point와 그 성패의 고찰(考察)





습관적인 생활자세의 불균형(불량)이나

신체 일정부위의 과사용(많이씀, overuse)등으로 인해 연부조직

(soft tissue)에 
압력(pressure, 역학적 스트레스, 과부하)이 들어가면,

전신을 그물망과 같은 형태로

유기적으로 얽어매어 연계(connection)시키고 있는

근막계(fascial net)를 따라서, 긴장(tension)이

전달되어,
분배되어지고(역학적인 힘, 장력의 전달, 분배 - 장력 긴장선의 형성) 최종적으로는 인체에서

부하(load, 부담)를
많이받는 부위, 즉 연접되는 부위인 T-P junction부위(TenoPeriosteal junction,

건 -
골막 연접부)와 관절(Joint)에 손상(injury)을 입히게 된 결과 관절(골격, 체형)과 주위 조직의(보상적)

 

비틀림(변형, strain)과 구축(굳어짐, contracture)이

유발됩니다.

 

이러한 장력분배(tensional force sharing)의 병기(病機, pathogenesis)상에서

결과적(최종적)으로 가장

손상을 많이 받은 관절
(Joint)
주위의 연부조직인 tendon(건, 힘줄), 심부인대,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
만성 근골격계 통증의 主원인이 되며,

구축된 조직의 유착(adhesion)을 분리시키고, 재배열

(rearrangement)
하여 上記 조직들의 이완(relaxation)과 풀어짐(unwinding)을 유도하는 것이 치료 point

(요점)가 되며,

 

 

(* 보상적(이차성) 비틀림과 구축이 유발된 조직부위의 통증을 먼저 느낄수 있으나,

이 조직의 이완과

    치료는 일반적으로 빠르게 되며, 

곧 이어서, 원발성 원인이 되는 조직부위의 통증을 호소함

 

 * ex. 사타구니 통증이 치료된 후에 엉덩이(고관절)통증을 호소)

 

但, 최종적(결과적)으로 손상(injury)을 받고 속발성으로 보상적(이차성)구축이 유발된 조직이라도 병증을

극복하고, 버티는 형태에 따라서는
,
원발성 조직보다도, 더 큰 손상을 받게 되어 구축 상태가 甚한 경우도

있을수 있으며,
또한 病機가 만성화되어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다면, 원발성 조직을 이완 시킨다고

하더라도,
 
nodule은 여전히 남아있어 통증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때에는 病機의 최종 결과적 산물이 되는

조직의 이완과 풀어줌이 우선적으로 필요로 함)

 

치료의 성패(成敗)는 그 조직들을 정교하게 탐색해 낼 수 있는

촉지(palpation)의 민감도(sensitivity),

felt sense(만져서 느끼는 감각)에 의해 좌우 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증(Pain)의 개념과 이해

 

 

 

통증(Pain)은 고도로 발달된 뇌를 갖게 된 생명체가 반드시 지불해야 하는 대가이며 전선과도 같은

신경계(nervous system)라는 정보전달체계를 통해서(따라서) 통증정보(자극)를 뇌 "(brain)에서 인지하고

느끼는 것입니다.

 

 아프다는 통증(Pain)은 결국 조직이 손상(injury)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sign)이고 질병이나 장애가

아니며 우리몸이 위험상황에 놓여있다는 것을
알려주어 더 큰 위험으로부터 대비하게 하는 인체의

보호(방어)작용 입니다.

 

통증(Pain)은 신체적 통증은 물론 정신적 통증으로 까지 확대해석 될 수 있습니다.

객관적인
통증의 증후(sign)나 강도는 존재하지 않고 다만 통증을 받아들이는
개개인의 주관적인

느낌(feelig)이나 감성(emotion)에 의해 좌우됩니다.(결정됩니다)

바늘에 찔려서 아픔을 느끼는 사람의 고통이 칼에 베어서 아픔을 느끼는 사람의 고통보다도 크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사람은 자기자신이 겪는 아픔(통증)의
고통이 가장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려도

무리가 없어보입니다.

다음은 이용채 시인의 「 내 고통이 가장 크다 」中에서 발췌된 글입니다.


『 내 고통이 가장 크다

   
누군가 나보다 더 큰 고통으로 아파한다 해도

   
그 고통은 그의 고통일 뿐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근막발통점(Myofascial Trigger Points)의 형성과

 

근막통증(섬유근통,근막동통)

증후군의 원위부 증상인 방사통발현기전

 

침자극술(건인대자극술/ 건인대유착박리술)- 근막침요법

 

 

 

   

정신적 스트레스, 자세불량(자세 불균형)이나 근육(근막)의 과사용(overuse) 등은 근육(근막)

 

에 긴장과 장력(과부하)이 걸리게 하며 이러한 역학적 스트레스(압박)가 장기적으로 지속(만성

화)되어 누적되다 보면,근막들이 손상을 받아 유착(서로 들러붙음)되고 변형(비틀림)이 일어나

서 근육의 탄력성을 잃고 굳어지게(구축) 되며,통증원발성 부위(시작점)인 근막발통(통증

 

유발점,압통점/Myofascial Trigger Points)​활성화되어 근골격계 통증질환대부분차지

 

하는 근막통증(섬유근통,근막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을 유발합니다.

그리고 근육(근막)에 걸린 장력(긴장)은 연속해서 인체근막의 연결선(line,주행경로)근막경

(myofascial meridian) 따라서 전달(역학적인 힘의 전달)되고, 근육(근막)에 걸린 과부하

(overload)인체 근막계 전체에 걸쳐 분배(분산)되어 집니다.

 

 

또한, 인체 근막계는 분배된 부하에 반응하여 적응(안정성/stability을 유지)하고 상쇄적인 균형

(balance)을 이루기(유지하기) 위해 스스로의 위치와 배열상태(형태)를

다시 정렬(재정렬,재열/rearrangement) 시킵니다.(변형,비틀림/strain)

 

 

이 과정(재배열 과정)에서

 

 

첫째로, 부하에 취약한 근막 배열상태(형태)를 가지고 있던 인체 부위가 긴장하고 손상을 받아

 

근막발통점(통증유발점/Myofascial Trigger Points)과는 떨어져 있는 부위로 뻗치는(퍼지는)

 

통증인 방사통(전이통/Referred Pain/근막통증증후군의 원위부 증상)이 발현니다.

 

 

두번째로, 근육(근막)의 보상적(방어적)구축으로 이차성(원격성) 근막발통점형성됩니다.

 

 

 

 근막발통점(통증유발점)과 방사통의 例

 

 

 

 

 

 

  염기룡 한의원에서는 근막침요법(Myofascial Acupunture Treatment)이라는

 

   고난도 테크닉을 필요로 하는 침요법을 시술하여서,굳어져 있는(구축/contrac

 

    ture) 근막과 인체 심부(深部)의 건(힘줄)과 인대 -특히 최심부에 뼈나 돌같이

 

    딱딱

하게 유착

어 결절종(ganglion)이 형성된 조직의 완고한 구축부위-      “손"로의 촉진(觸診)과 자침후에 침끝에서 느껴지는 정교한 침촉감(鍼觸感)​        을 통해

하나하나 세밀하게 찾아내어서 침자극(침을 뺐다 꽂았다 반복하는 작탁

 

 

    법)주어 유착된 상기 조직 가닥들을 분리(박리),​이완시켜줌(풀어줌) 으로써,

 

    원래의 부드러운 조직 상태로 복원하여 줍니다. 이러한 원리의 치료법을 통하여        통증의 근본원인을 해결해 주는 근본치료료효과의 극대화추구하고 있습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손등,발등(손,발바닥) 통증(pain)을 유발하는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





손목(팔목)이나 손가락, 발목이나 발가락을 움직일시에, 손등, 발등 부위가 아픈 증상인
손등발등

통증은 
갑작스럽게 손목(가락)이나 발목(가락)을 삐었을때(급성염좌,
급성 과부하)나 자세 불균형(불량),

과사용(overuse)등으로 인해 장기간 지속적으로 
역학적 스트레스가 손등이나 발등에 加(가)해 짐

(
만성 과부하) 에 따라  손등, 발등의
연부조직(soft tissue)이 손상(injury)을 받아 구축(굳어짐,

contracture)됨으로 인해
유발됩니다.

(*
만성 과부하(chronic overload)는 손등, 발등의 연부조직 구축(굳어짐)이
누적(累積)됨을 의미함)

 

구체적으로 그 원인을 분류하여 설명합니다.


1. 손등통증(dorsum pain of the hand)


① 사각근, 오훼상완근, 단요측수근신근, 제1배측골간근의 근막구축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손등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 근막통증증후군


② 어깨(견)관절 주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 구축으로 인한 어깨관절통증(관절염)이
나타나는 것을

    병기(病機, pathogenesis)의 시발점으로 하여서, 팔(상완부) → 
팔꿈치(엘보우, )관절 → 아랫팔

   (전완부) → 손목(팔목)관절 →
손등으로 장력 긴장선
(tensional line)이 형성(* 역학적인 힘

   (장력, 긴장)의 전달 - 장력 분배, 분산)된 결과로,
해당부위 연부조직의 보상적(이차성) 구축이 유발되어 

  손등통증
 나타나는
경우

 

   (* 손목(팔목)관절의 연부조직인 배측, 요골, 척골, 수근인대와 그 밑(deep)의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으로 인하여 손목(팔목)
통증이 손등부위로 방사, 확산 - 뻗쳐서

      (퍼져서) - 되어
손등통증이 유발됨)


③ 손의 중수골 배면(背面)에 부착(anchored)하고 있는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ous
muscles)

    tendon(건, 힘줄)의 구축으로 인해, 손목이나 손가락을 움직일시에,
이 tendon이 압박, 자극되어

    해당되는 손의 배측골간근 부위에 손등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④ 중수골(metacarpal bones)기저부(基底部, base)를 연결해주는 배측중수인대구축압력이 방사,

    확산되어 손등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⑤ 중수골두와 지절골(phalanges) 기저부를 연결시켜주는 중수지절관절의 배측인대(dorsal ligaments)와

    그 밑(deep)의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중수지절관절통증이 손등부위로 방사,

    확산
되어 손등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 블로그 內  만성 손(발)가락통증문건 참조)

 

    (*  중수지절관절의 장측인대와 그 밑의 관절낭의 구축압력이 방사, 확산되면 손바닥통증(땡김)

         유발됨 - 골프를 무리하게 많이치는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남 )

 

2. 발등통증(dorsum pain of the foot)

 
① 장지신근, 단지신근, 제3비골근의 근막구축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발등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 근막통증증후군


② 고관절(골반, 엉덩이) 주위의 연부조직 구축으로 인한 고관절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병기(病機)의 

    시발점으로 하여서, 넓적다리(대퇴부) → 무릎(슬, 膝)관절 →
정강이(아랫다리,
하퇴부) → 발목관절 →

  
발등으로 장력긴장선이 형성(* 역학적인
힘(장력)의 전달 - 장력의
분배)된 결과로, 해당부위 연부조직의

   보상적 구축
이 나타나게
되어 발등통증도 유발되는 경우

 

   (* 발목관절 주위의 연부조직인 전거비인대, 관절낭(joint capsule), 골간, 배측거종인대, 배측종주인대,

       배측거주인대, 삼각인대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발목통증이 발등부위로
방사, 확산되어 발등통증

       유발됨)


③ 발의 중족골(背面)에 부착하고 있는 배측골간근 tendon구축으로 인해 발목이나 발가락을 움직일시에, 


     이 tendon이 압박, 자극되어 해당되는 발의 배측골간근 부위에
발등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④ 중족골 기저부를 연결해주는 배측중족인대(dorsal metatarsal ligaments)의 구축압력
방사, 확산되어

    발등통증
이 나타나는 경우

 
⑤ 중족지절관절의 배측인대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중족지절관절 통증이

    발등부위로
방사, 확산되어 발등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 블로그 內  만성 손(발)가락통증문건 참조)

 

    (*  중족지절관절의 족저인대와 그 밑의 관절낭의 구축압력이 방사, 확산되면 발바닥통증이 유발됨 )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관절염(Arthritis)에 의한 통증의 이해- 근막이론적 해석(fascial interpretation)





우리가 흔히 말하는 관절염 어깨관절염(오십견)/ 고관절염/ 슬(무릎)관절염/ 발목,손목 관절염/ 손가락,

발가락 관절염/ 골프,테니스 엘보우(상완골 내,외측 상과염)
등에 의해 관절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 되어 관절 운동의 장애와 함께
통증이 일어날 때에,


관절주위를 만져보면 뼈가 아프다고 느껴지는데 실제로는 관절 주위의 근막체계(연부조직, soft tissue)인

건(힘줄)이나 인대가 경직되고
구축되어 있는(굳어있는) 상태에서 압박(자극)을 받아서 아픈것이

대부분입니다.

 
다만, 만성화(심해져서)되어서 경직과 구축이 심해진 경우에는 건(힘줄)이 부착하는 부위(TenoPeriosteal 

junction부위 / 건과 골막 연접부)의
골막이나 심부인대
밑(deep) 부위의 골막도 손상을 받게되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보상적)
경직과 구축이 있을 경우에는(* 건염, 점액낭염, 골막염),압박(자극)된 힘이

경직되고
구축된 골막(골막자극증상)에 이차적(간접적)으로 전달되어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연부조직의 결절,결절종(nodule/ ganglion)형성과 근골격계 통증질환





근골격계 통증이 있는 사람 中 에서 조직 변성(strain)의 한 형태로서 인체 특정 부위 조직의 뭉쳐진 알갱이

(몽우리)가
오돌토돌하게 튀어올라와 " 혹 " 이나 " 뼈 " 나 " 가시 " 와 같아 보이며 그 부위를 눌러보면

단단하게
굳어있어서 " 돌 " 이나 " 뼈 " 나
" 가시 " 와 같이 느껴지며, 관절을 움직이면,그 부위가 자극을 받아

근골격계 통증질환
나타나고, 관절을 부드럽지않은 뻣뻣한 상태로만들며,활동(운동)시 장애(disorder)

까지도
유발시키는조직의 뭉쳐진 알갱이(덩어리)결절[nodule,경결점:硬結點/coagulation,

trigger point]
형성되어 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 양방 질환명 : 섬유증(섬유화, fibrosis)/ 결절증(nodulosis)/ 골화증(骨化症,ossification) ]


이러한 결절은 흔히 손목부위에서 확연하고도, 쉽게 발견되어 지는데(* 특히 손목을 굴곡 시켜서 앞으로

꺽을 시에 잘 드러남 / 정상인도 조금씩은 존재함) 심(甚)한 경우에는
손목의 결절종(ganglion)이라는

질환이 되어 만성 손목통증의 원인을 제공합니다.

 

 

 

 
결절(nodule)인체의 연부조직(soft tissue)인 근막(myofascia),건(힘줄),인대(ligament), 관절낭

(joint capsule) 등이 손상(tear)을 받고, 이어지는 인체 치유과정과
보호(방어)작용의 결과로  연부조직 

각각의 섬유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어(유착, adhesion)
굳어진(구축, contracture) 상태(형태)가  

()하여져서 형성된 뭉쳐진 알갱이이며,
결절이 커지면 (비후되어 두꺼워지면) 인체
안(內)에서 밖으로

부풀어 올라와(bulging) 투출(영)되므로
육안상으로도 드러나 보이게 됩니다. 

 

(* 특히 살이 적은 부위에서 확연하게 관찰됨/ ex.손목 결절종)


[*
결절(nodule)의 유착이 더 甚(심)해진 결과 커져서 피부쪽으로 부풀어져(bulging) 투출되어진 병리적 

    조직상태를 결절종
(ganglion)이라 정의함 ]


以上의 형성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결절조직 구축(甚)하여 져서
밖으로 투출되어 가시적으로

보이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인체 조직 내(內)에서도,
예민(세밀)한 손의
감각(felt sense)으로 만져보면 그것이

형성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이 정리됩니다.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이 일어나면 초기에는 단단하게, 굳어져 있는 상태로만 존재하나 병기

(pathogenesis)가 진행됨에 따라 구축이 甚(심)하여지면 (ⅰ. 사각근, 요근, 대내전근,
다열근, 회선근의

건(힘줄) / ⅱ. 손목, 발목, 손가락, 발가락의 인대 / ⅲ. 어깨, 팔꿈치,
고관절, 무릎의 관절낭 등) 결절

반드시 형성 되어지고, 커지게 되면  인체 밖으로까지
투영되어 보이게 되며, 근골격계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major cause) 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결절은 손목, 손가락, 발목, 발가락, 무릎 등에서 툭 불거져 올라와 " 뼈 " 나 " 가시 " 와
같아 보이거나

느껴지므로 뼈의 변성(strain)으로 자라난 또 다른 뼈인 골극(골자, spur)으로 착각을 일으키키도 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