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막발통점(Myofascial Trigger Points/ 통증유발점)의 전변단계





◈ 1단계

 

- 생리적 근막발통점

 

근육이 힘을 쓸 때에 중심축(지렛대)역할을 하고 근육반사도(신장반사, stretch reflex)일으키며 정상적인

 

몸 상태에서도 존재하는 생명의 반응점입니다.(* 어린아이들에게도 존재함)

 

 

 2단계

- 잠재성 근막발통점

 

평소에 근육이 뻣뻣하게 굳어져 있는 상태로 존재하고 있으나 통증은 못 느낍니다.

 

 

 3단계

 

- 활동성 근막발통점

 

압박을 받았거나 힘이 가해졌을 때(역학적 스트레스, 과부하) 몸을 보호(방어)하기 위해

 

통증을 알려주어 느끼게 하는 통증의 역치점입니다.

 

[* 잠재성 근막발통점이 활동성 근막발통점으로 활성화(activation)됨 ]

 

 

외부에서 충격(외상,trauma)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시(활동)에 삐끗했다고

 

하는 것은(급성염좌, acute sprain) 이미 평소에 잠재적(잠재성 근막 발통점)으로 누적된 

 

근육(근막)의 경직과 구축이 있었기 때문에 삐끗한 것이므로(* 활동성 근막발통점으로 

 

활성화됨) 만성기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