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엉덩이(엉치)하부(아랫부위)통증(*좌골점액낭염),좌골신경통(*요각통/허벅지,다리- 땡김,저림,통증)과 꼬리뼈통증(미골통..
엉덩이/고관절/골반통증 2013. 6. 25. 09:34엉덩이(엉치)하부(아랫부위)통증(*좌골점액낭염),좌골신경통(*요각통/허벅지,다리
- 땡김,저림,통증)과 꼬리뼈통증(미골통),치골통의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의 구축
(굳어짐,contracture)
엉덩이 아랫부위(下部/하부)에는 좌골조면(결절, ischial tuberosity), 폐쇄공(테두리,obturator foramen)이
라고 하는 뼈구조물이 있는데, 이 구조물들에는 천골결절인대(sacrotuberous ligament)와 햄스트링(슬굴
근), 대퇴방형근, 대내전근의 건(힘줄))/ 내,외폐쇄근의 건(힘줄)이 부착하고 있습니다.
이 인대와 건(힘줄/ tendon)들이 앉는자세의 불균형(불량)이나 과사용(overuse/ 과부하를 받았거나 앉아있
는 자세를 많이 함) 등으로 인해 손상을 받고 구축(굳어짐, contracture)되어지면, 활동시나 앉아 있을때 압
박, 자극 됨으로 인해 엉덩이가 바닥에 닿는 부위의 뼈인 좌골조면(결절, ischial tuberosity)이 아프게 느껴
지는 증상인 엉덩이 아랫부위(하부)통증(Infra Buttock Pain/ 양방질환명: 좌골점액낭염, ischial bursitis)
이 유발됩니다.
[* 上記 연부조직들과의 근막적(역학적) 연계성에 의해 허벅지 뒷부위와 다리가 땡기고 저리며
아픈 증상인 좌골신경통(*요각통/ sciatica)도 유발될 수 있음 ],(* 방사통- referred pain)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통증때문에 오래 앉아있지 못함- 특히 딱딱한 바닥 )
(* 다리를 꼬거나 모을때인 대퇴의 수평내전 자세시에,장애와 통증이 유발됨 )
(*
통증이 격렬할 시에는, 걸을때 시큰하거나 뜨끔하게 맞치면서 순간적으로 주저앉기도함 )
(* 내.외폐쇄근 건(힘줄)이 압박되면 상체를 뒤로 젖힐시에 통증이 나타남 )
(* 대내전근 tendon(건)은 좌골조면의 내측(안쪽)에 위치한 좌골지(坐骨枝)에도 부착하고 있으므로 좌골지
(ischial ramus) 뼈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통증도 동반되며, 대내전근 tendon의 구축압력은
치골하지
(inferior pubic ramus)와 치골체 外面(바깥면)의 하연
에 부착하고 있어서 대내전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단내전근과 박근 tendon에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 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일으킨 결과로, 치골하지와 치골 뼈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증상인 치골통(恥骨痛)과 골반내 통증
(internal pelvic pain), 대퇴(전)내측면 통증도 유발할 수 있음 )
(* 치골상지(上枝)의 상연(치골즐)과 하연(폐쇄능,외측면)에 부착하고 있는 장내전근, 치골근
tendon
(건,힘줄)과 치골대퇴인대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도 치골통이 유발될 수 있음 )
(* 블로그 內 사타구니통증문건들 참조)
그리고, 꼬리뼈라고 하는 미골(尾骨)에는 좌골극(ischial spine)으로 연결되어 있는 천극인(sacrospinous
ligament) 라는 조직이 부착하고 있습니다.(* 천골하부에도 일부 부착됨)
이 인대가 엉덩방아를 찧거나 생활 습관상의 자세불량(불균형)등으로 인해 손상을 받게되면, 구축(굳어짐)이
일어나서, 꼬리뼈가 아픈 통증인 미골통(coccygodynia)의 원인이 됩니다.
[*
(오래)앉아 있거나 꼬리뼈부위에 힘이 들어가는 동작을 할때에,구축된(굳어진) 천극인대가
압박,자극되어 꼬리뼈 통증(미골통)이 나타남 ]
[* 미골에 부착하고 있는 천미골인대, 외후측천미인대의 구축으로도 미골통이 유발됨 ]
[* 천극인대의 천층에 위치한 대둔근 tendon(건,힘줄)의 구축에 의해서도, 앉아있을때 등에
이 건(힘줄)이 압박,자극되어 미골통이 유발될 수 있음 ]
[* 꼬리뼈는 해부학적 구조상, 상체를 뒤로 젖히는 자세가 동반되지 않는 限(한)은, 앉아 있을때나
엉덩방아를 찧는 동작에 의해 바닥(좌석)에 닿지 않으므로, 꼬리뼈 자체가 압박받음으로 인한 통증과
골절(fracture)이 발생하는 경우는 희소함 ]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습관적으로 허리를 굽히는(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과사용,overuse)
사람들은,
허리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이 나타나서, 상부요추(체간)는 과다신전된 요추전만증
(lumbar lorsis), 하부요추는 一字형태(일자허리,straight), 골반(천골상단)은 전방경사, 천골하단은
후방경사[*오리 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서 요근(psoas muscle)이 손상(injury)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지고/ 상,하 요추부위의 다열근,회선근 tendon(건,힘줄)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
(단축,신장)구축됨으로 복통(배땡김,배불편함),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고,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단축,신장)구축됨으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사타구니통증(*치골대퇴인대
단축구축)이 유발되며,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천극인대가 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됨으로 요통과 엉덩이
(엉치)내측통증(천장관절증후군), 꼬리뼈통증(미골통)이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 뒤에서 본 대내전근 부착 - 그림 출처 :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