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구조의 생체역학과 근막계의 역할,구축병기(pathogenesis)
인체구조를 바라보는 전통적인 관점은 인체의 골격(skeleton)은 층층이 쌓여진 벽돌과 같이 지속적인 압박
(compression)을 받고 있는 구조물, 즉 머리의 무게는 제 7경추(C7)위에 실리며, 흉부(thorax)의 무게는
제 5요추 위에 실리는 등등의 방식으로 발까지 내려가서 발이 전신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그 무게를 땅으로
전달하고, 근육(근막)들은 골격들에 매달려서 기중기(crane)에 달린 케이블이 움직이는 것처럼, 기계적인
근골격계 모델로서의 관점이었습니다.
반면에, 인체를 포함하여 모든 생명체는 궁극적으로, 국소적인 압력(pressure)과 지속적인 장력
(tensional force)의 균형에 의해 구조(structure)의 완전성(integrity)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발전된
현대 공간의학의 생체역학(biomechanics, 기하학)적 관점입니다.
다시 말해서, 골격(skeleton)들은 압박을 감내하는 요소들이고 근막(myofascia)은 장력을 감내하는
요소들입니다.
골격계는 분명하게 지속적인 압박을 감내하는 유일한 구조물이며 이들을 감싸고 있는 연부조직(근막, 건,
인대, 점액낭, 관절낭등)들, 즉 근막계(筋膜系,fascial net)가 지속적인 장력을 가지고서 골격을 서로
맞물려 고정하고, 지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탄력이 있는(elastic) 근막의 강도가 균형잡힌 인체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Role)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인체가 생활자세의 불균형(불량)이나 과사용(overuse)등으로 인해
조직에 압박(compression,
역학적 stress)과 압력(pressure, 역학적 과부하)이 걸리면, 조직은 긴장(緊張, tension, strain)하게되고,
손상(injury)이 일어나서 근막계에 쨍쨍하게 잡아당기는 (끌어당기는) 장력(張力, tensional force)이
작용하게(증가하게)되며, 인체근막의 통합적인 (유기적인) 네트워크(network, 그물망)인 근막계
(fascial net)의 장력 작용선(긴장선, lines of tension)들을 따라
부하(load)가 분배되며, 압박된
조직부위를 향해 선 모양으로 이루어진 경직된 띠(taut band, linear stiffening)를 형성하므로, 결과적으로는
구축(contracture, 굳어짐)된 조직이 되어 근골격계 통증(pain)을 유발시킵니다.
즉, 조직에 압박(압력)이 加해지면 장력(tensional force)이 생기고 그 장력은 근막의 연계 line(근막계,
fascial net)을 따라 전달(역학적인 힘의 전달)되고 분배되어, 조직의 보상적(이차성) 구축이 일어나서
통증 유발부위와 멀리 떨어진 부위에도 원격성 통증(distal pain)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以上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근막계(fascial net)는 인체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
(decisive role)을 함과 동시에, 근골격계(musculoskeletal system) 통증 병기(病機)의 主된 요인
(major key)으로 작용합니다.
이와같은 개념을 토대로 하여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이 귀결됩니다.
골격들 사이의 정렬관계(체형의 변형, strain)들을 변화 시키려고 할때,
골격들을 에워싸고 있는 연부조직들,
즉 근막계의 장력균형을 변화시켜서 조직의 복원(restoration)을
유도하면,
골격들은 자연적으로 다시
정렬될 것입니다.(재정렬, 재배열, rearrangement)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근막계에 실시하는근막이완(fascial relaxation)이 단기간에 걸쳐
빠른속도로 골격에 실시하는 thrust(스러스트) 유형의 교정치료보다 더 강력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조직 손상이 없는 비침습적 치료라고 결론 지을 수 있습니다.
< 出處 - Anatomy Trains - 발췌, 정리 >
'척추/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기룡한의원/ 만성통증(관절) 치료]연부조직의 보상적(방어적,이차성,속발성)구축을 유발하는 인체 방어기전 (0) | 2013.02.12 |
---|---|
염기룡한의원/ 만성통증(관절) 치료]만성 근골격계 통증질환에서의 아시혈(압통점)과 통증유발점의 相異點 (0) | 2013.02.08 |
[염기룡한의원/ 만성통증(관절) 치료]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유발하는 연부조직의 치료 point와 그 성패의 고찰(考察) (0) | 2013.02.06 |
[염기룡한의원/ 만성통증(관절) 치료]연부조직의 balance조절과 자침의 균형감각 (0) | 2013.02.05 |
[염기룡한의원/ 난치성,만성통증(관절) 치료/ 목,어깨통증/ 팔,팔꿈치통증]인체 상지부(上肢部)관절통증(관절염)의 장력분배(유주) 경로와 체형의 변형(비틀림) (0) | 201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