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통증'에 해당되는 글 21건

  1. 2013.05.27 염기룡한의원/ 만성 등통증,근막통증(동통)증후군 치료]흉추후만증(버섯증후군/ 거북등)과 등(어깨,날개쭉지)통증, 목, 어깨통증의 연계성(Connection)
  2. 2013.05.23 [염기룡한의원/ 근막통증(동통)증후군/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등(뼈,어깨쭉지)통증,옆구리(겨드랑이),복부(배)외측통증(땡김)의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3. 2013.05.13 [염기룡한의원/ 섬유근통,근막통증(동통)증후군/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만성 항강증(뒷목(골)땡김,뻣뻣함),경항통((뒷)목통증,뻐근함)의 근막이론적 관점
  4. 2013.05.09 [염기룡한의원/ VDT,섬유근통,근막통증(동통)증후군/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뒷골,(뒷)목통증(땡김),어깨(관절),팔,등(뼈),어깨(날개)쭉지,견갑골(어깨뼈)통증(쑤심,결림,저림)/ 가슴,옆구리(..
  5. 2013.05.03 [VDT,섬유근통,근막통증(동통)증후군/ 만성통증 치료전문 한의원]항강증(뒷목(골)땡김,뻣뻣,뻐근함),경항통((뒷)목통증)을 유발하는 거북(일자)목 증후군
  6. 2013.04.29 [염기룡한의원/ VDT,섬유근통,근막통증(동통)증후군/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항강증(뒷목(골)땡김,뻣뻣함),경항통((뒷)목통증,뻐근함)의 근막이론적 해석(fascial interpretation)
  7. 2013.03.20 [염기룡한의원/ 근막통증(동통)증후군]턱관절통증(장애),안면(얼굴)통증(마비),두통,(뒷)목통증(땡김,뻣뻣,뻐근함),요통(허리통증)의 근막적 연계성
  8. 2013.02.22 인체 뼈돌기(튀어나온뼈, 골극, 골자, spur)의 형성기전
  9. 2013.02.21 근육(근막), 건(힘줄), 인대가 굳어지는(구축, Contracture)기전
  10. 2013.02.04 [염기룡한의원/ 난치성,만성통증(관절) 치료/ 목,어깨통증/ 팔,팔꿈치통증]인체 상지부(上肢部)관절통증(관절염)의 장력분배(유주) 경로와 체형의 변형(비틀림)

흉추후만증(버섯증후군/ 거북등)과 등(어깨,날개쭉지)통증, 목, 어깨통증

연계성(Connection) 





주로 앉아서 고정된 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 현대인들은 근육(근막)의 경직과

구축(굳어짐,

contracture)으로 인해서  근골격계 통증질환이 자주 나타납니다.


그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또한

연계되어서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로서 (특히 어깨쭉지), 어깨, 목

통증
을 유발시키는 척추변형(strain)인 흉추후만증[* 버섯증후군 = 등(흉추)부위가
버섯 모양과 같이 툭

불거져 올라와서 굳어져있고(거북등), 甚(심)한 경우에는 피부까지
굳어져 있는 증상/ 일반적으로는

Round Shoulder(굽은, 둥근어깨)된 경우가 많음]
 
원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상부경추의 과다신전(head forward자세, 거북목)에 의한 경우

 

- 정신적 스트레스(부정적인 감정), 머리(목을)를 앞으로 빼서 배를 굽히는 자세(복직근 단축),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자세등의 원인에 의해서 상부경추 부척추근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어 상부경추가

   과다신전 되면, 하부경추와 상부흉추는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되어서 흉추후만증(거북등)이

   나타납니다.


2. 과사용(overuse)에 의한 경우

 

- 어깨를 굽히는 고정된 자세로 업무를 과도하게 하여 누적된 반복적인 긴장(VDT증후군)이 상부흉추

  부척추근과 능형근, 견갑거근의 신장구축을 유발하게되어 흉추후만증이 나타납니다.


3. 체형의 비틀림(변형, strain)으로 인한 경우

 

- 발목이나 무릎, 골반의 비틀림이 일어나게 되면 신체의 안정성(stability), 상쇄적인 균형(balance)을

   이루기 위해서 척추극돌기와 흉곽이 이동하게 된 결과로 흉추 부척추근과

능형근, 견갑거근의 신장구축이

   일어나게 되어 흉추후만증이 나타납니다.


위와같은 원인들에 의해서 나타난 흉추후만증은 가슴쪽에 있는 소흉근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어서,

견갑골의 오훼돌기를 전하방 내측으로 당겨서 나타나게 되는또 다른 신체상부
체형(골격)변형인 견갑골의


전방경사 (* Wing Scapula, 굽은 등 = 견갑골 하각이 날개와 같이 들려있음)와도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블로그內“목통증검색,관련문건들 참조]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등(뼈,어깨쭉지)통증,옆구리(겨드랑이),복부(배)외측통증(땡김)의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주로, 어깨(가슴)를 굽히는 동작을 많이 하는

사람들(Round shoulder, 둥근. 굽은 어깨)에게 목, 어깨통증

(
項, 肩痛)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견갑골 내측연(어깨쭉지, 날개쭉지)통증그 주변의 천층 부척추근인

최장근,장늑근 부위가 아픈 증상
 
등통증(背痛, 배통, dorsalgia)
의  원인을  근막학적 관점으로 정리해 보

면, 우선적 으로
능형근 근막(myofascia)구축(굳어짐)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이

 

원인 이라고 말할수 있지만, 실제적인 主된 원인으로는,


① 흉추 극돌기 기저부에 부착하는 다열근(multifidus muscle), 회선근(rotator muscle) tendon

    (* 흉추 극돌기 부위의 등뼈가 아픈 통증(bone pain)인 흉추통
유발함)과 후관절(facet joint)을

    연결해주는
관절낭 인대(capsular ligament), 그 밑(deep)으로 위치하는 관절돌기간 관절낭

   
(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의
구축압력으로 통증이 확산, 방사(뻗쳐서, 퍼져서)되어 유발되는 

    경우와,


② 늑골각(costal angle)에부착해서 유주해 내려오는 흉장늑근(iliocostalis thoracis muscle)  tendon

    견갑골 내측연에 부착하는 능형근(Rhomboid muscle) tendon구축(굳어짐,
contracture)되어져서

    어깨와 견갑골(등)을 움직일때,이들 tendon(건, 힘줄)이 압박, 자극
받아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로

    정리됩니다.

 
이러한, 견갑골 내측연과 등부위의 통증을 일으키는 연부조직 中 능형근은 견갑골

척추연(vertebral bordor)에 부착하는 전거근(serratus anterior muscle)과
근막적 연계성

(fascial connection)이 있기 때문에,
능형근 tendon의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이 전거근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 - 장력의 분배 - 을
전달하게 되면, 전거근 근막(myofascia)과 1번~9번

늑골(갈비뼈)측면에 연결되는 전거근
前部 부착부 tendon보상적(이차성)구축을 유발하여, 체간

(몸통, trunk)을 움직일시에,
옆구리가  결리면서 아픈 증상옆구리 통증(脇痛, flank pain, 주로 5번.6번

늑골상,
대략, 유두 높이의 mid - axillary line통증)과 겨드랑이 통증(腋窩痛, axillary fossa pain)이

나타나게 됩니다.

(* 견갑골의 외전(abduction)자세인 골프를 무리하게 치거나, 브래지어 끈을 꽉 조이게 차고 활동시에,

    견갑골 외전근인 전거근 tendon이 손상을 받아 구축됨에 의해서도
옆구리와 겨드랑이 통증이 유발 될 수
   
    있음)


이어지는 病機로서, 전거근은 5번 ~ 12번 늑골의 외측면과 하연에 부착하는 외복사근

(external oblique muscle)과 유합
(conjoined)되어 있기 때문에,
전거근의 구축압력은 외복사근 근막과

tendon의 보상적(이차성) 구축
유발시킬 수 있어, 복부외측(측부복벽,배)통증(땡김)서혜부 통증

(groin pain)이
上記한 병증들과 연계(connection)하여 합병(合病)됩니다.


(* 내,외 늑간근 tendon 구축의한 방사통으로도 등통증옆구리(겨드랑이)통증유발될 수 있음)

 

 

(* 측부복벽근육들인 내,외복사근,복횡근의 밑(deep)에 위치하는 요근(poas muscle)이 구축되면,

    그 압력이 측부복벽근육들을
압박,자극하여, 과긴장을 유발시켜서도,
복부(배)외측통증(땡김)이

   
나타날 수 있음)




(* 치우친(편향된) 자세로 골프를 무리하게 치는 사람들에게서,

옆구리 통증과 복부외측통증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함)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항강증(뒷목(골)땡김,뻣뻣함),경항통((뒷)목통증,뻐근함)의 근막이론

관점(fascial viewpoint) 

 

 

 

 

 

 

 

목의 연부조직(soft tissue)들이 (과)긴장,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 손상(injury)을 받고 구축

(굳어짐, contracture)된 결과로 유발되어져서,
뒷목(골)이 땡기면서 뻣뻣한 증상인 항강증(項强症,

neck stiffness)과 
목이 뻐근하게 아픈 증상인 항통(頸項痛/ cervical, nuchal pain)이 

만성적으로

잘 낫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는 사람들은

 

(*通常的(통상적)으로, (경추)디스크라고 진단됨)

 

[* 지속적 과긴(hypertonia) 누적(累積) - 만성 과부하(choronic overload)]


경추관절이 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되어 목을 움직일때에(돌리거나, 굽히거나, 제낄시, 옆으로

눕힐시) 
소리(염발음, 마찰음)가 나며 경추가 부드럽지 않고, 불편하며, 통증이 일어나서 완전하게 동작이

안되는 목 운동의 장애(R.O.M장애)가 일어나고,


뒷골(후두골
)이 무거우며, 땡기면서 아픈 통증
후두통(심한 경우에는 측(편)두통, 전두통(이마부위)까지)

증상이 동반되며 - 어지러움증인眩暈(현훈)도 유발될 수 있음 -

 
어깨부위(윗옷이 걸쳐지는 승모근 상부섬유의 후부 margin과 그 밑(deep)의 후사각근 부위) 

까지도 

통증이  방사,확산
되서 - 뻗쳐서(퍼져서) - 어깨통증이 동반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원인을 근막이론적 관점에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通常的으로, 상부경추에서는 2번 ~ 4번경추/ 하부경추에서는 7번경추 ~ 1번흉추의 연접부,

   
3번흉추(T3)까지 에서 好發함 )

 

① 목의 가장 깊은층(심경근, deep cervical muscle)의 외측(外側筋)에 위치한 사각근(scalene muscle)과
 
    경추 횡돌기에 부착하는 견갑거근, 경판상근, 최장근,
건(힘줄)의 구축(contracture, 굳어짐)으로 인해

    목을 움직일때 그 건(힘줄)에
힘(장력)이 전달되서 나타나는 건(tendon)성통증에 의한 경우



② 경추의 심부(深部)에서 관절돌기간 관절(추간관절, 후관절)을 감싸고(보호하고) 있는

관절낭인대와 

   
관절낭(joint capsule)구축으로 인한 경우

 

   

(* 목 옆쪽을 만져보면 조직이 비후되어, 부풀어 올라와서(bulging) 돌같이 단단한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

 

[* 목통증만성화되면,하부흉추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으로도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이 전달되어

-

   
장력의 분배- 보상적(이차성)구축이 유발됨에 따라 등통증도 동반하여 자주 나타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③ 극돌기 기저부에 부착하는 심층부척추근(횡돌극근)인 다열근(multifidus muscle)과 회선근

   
(rotator muscle) 건(힘줄)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 
-
(* 목을 움직일시에, 목뼈에서 소리가 나며, 

    아픈 통증
(bone pain)인 경추통(cervicalgia)도 유발함) - 으로 인한 경우

 

(* 어깨 체형상(견갑대축)의 문제로, 견갑골 상각에 부착하는 견갑거근의 tendon구축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됨-
되면,

이 근육의 또 다른 부착부인 경추횡돌기(C1-C4) 후결절의 tendon에 압박,

    자극(과긴장)을 주어, 
어깨통증어깨 운동시에 견갑골(상각)이 불편하며, 툭툭 걸리면서,

가 나는

    증상과  더불어

, 통증이 

할 수도 있음)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뒷골,(뒷)목통증(땡김),어깨(관절),팔,등(뼈),어깨쭉지,견갑골(어깨뼈) 통증(쑤심,결림,

저림)/ 가슴, 옆구리(겨드랑이)통증의 
근막적 연계성

(fascial connection)




컴퓨터를 통한 업무(사무직)를 주로 하는 현대인들의 생활문화[* 자세불량(불균형)]는 인체

상부의 체형

(골격)변형
(비틀림, strain)과 목(경추), 어깨(관절), 팔, 등(흉추),

어깨쭉지(날개쭉지), 견갑골(어깨뼈,

날개뼈), 옆구리, 겨드랑이, 가슴
연부조직(soft tissue)
들에 긴장과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와 손상

(injury)을 주게되어(* 업무에 의한 지속적인 과긴장의 누적/
만성과부하),上記한
인체상부에서의

근골격계 통증질환들이 유기적으로 연계(connection)되어 동반하여 나타나게 합니다.

(* VDT증후군)


이러한 연계성의 기전(mechanism)을 근막계(fascial net)를 토대로 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현대인
들이 주로 많이 하는 자세들인 목(머리)을 앞으로 빼고(내밀고) 컴퓨터 모니터나 TV를
쳐다보는

(바라보는)
head forward 자세(posture)
와  어깨를 굽히는 자세(round shoulder,
굽은(둥근)어깨),  

팔(어깨관절)을 가슴쪽으로 돌리는(모으는)자세

(*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글씨를 쓰는 동작등에 의해 형성됨)

 

(

* 어깨(견)관절이 가슴쪽(앞쪽)으로 말려서 돌아간 자세 - 견갑골의 외전.상완골의 내회전)


등에 의하여, 목(머리)이 앞으로 빠지는 거북목 형태(상부경추의 과다신전, 과전만)로, 목의

체형(골격)

고정
(고착, fixation)되면,

(* 거북(일자)목 증후군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추만곡(vertebral curvature)의 구조 역학상, 상부흉추는 과후만 형태로서 흉추후만증


(thoracic kyphosis,거북등)이 되어있고,
어깨관절(팔, 상완골)은

내회전(medial rotation)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인체 상부(上部)에서의 체형(골격)변형(비틀림, strain)은 경흉추 연접부(7번경추 -
1번흉추,

척추만곡이행부로서,인체구조의 역학상 부하(부담, 힘)를
많이 받는 부위임)
상부흉추(通常, 3번흉추

정도까지) 부위의 심부(深部) 연부조직이면서
극돌기 기저부에

부착(횡돌극근)하는 다열근

(multifidus muscle), 회선근(rotator muscle)
tendon(건, 힘줄) - 목을 움직일시에, 목뼈에서 소리가

나며, 아픈 통증
(bone pain)인 경추통

(cervicalgia)도 유발함 - 과 그 부위의 후관절(facet joint)을 

보강하고 있는
관절돌기간 관절낭
(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에, 손상을 주어 구축

(굳어짐,contracture)을 일으킵니다.


경흉추 연접부(C7 - T1)와 상부흉추 부위의 다열근, 회선근 tendon관절돌기간 관절

구축

(* 사각근 근막과 tendon의 구축도 목통증의 유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① 목의 기저부인 어깨와 목이 연결(join)되는 부위, 즉 목의 角(각)이 꺽이는 부위와 상부흉추에, (뒷)목이 무

    겁고, 답답하고, 뻣뻣하고, 땡기며, 뻐근한 증상
목통증

 

   

(neck pain,항강증, 경항통, 通常

목(경추)디스크라고 진단 되어짐)유발 시킵니다.

    (*상부흉추부위가 툭 튀어(부풀어)올라와서, 버섯모양과 같이 되어있고, 피부경직까지 되어 있는

      
버섯증후군유발됨)

 

    (* 상부 목(경추)부위로도 장력(힘)이 전달되어 후두통(뒷골통증,땡김,무거움)까지도 유발됨),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② 이들의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으로 인하여 옷이 걸쳐지는(coat hanger)

어깨부위 근육인

    승모근 상부섬유의 후부 margin과 그 밑(deep)의 후사각근 부위로
목통증이 방사(emanation),

   
확산(diffusion) - 뻗쳐서(퍼져서) - 되어서 어깨가 무겁고,

뻐근(뻣뻣)하고, 잘 뭉치며, 결리며, 쑤시는

    증상
어깨통증(무거움, 뻐근함,
뭉침, 결림,
쑤심, 견통, 肩痛,
shoulder pain)이 유발 됩니다.


[* round shoulder(굽은,둥근어깨/ 견관절에서 상완의 내회전)로의 어깨체형의 변형은
(중)후사각근 

    근막과 tendon의 손상에 의한
(단축)구축을 유발하여  만성 어깨통증 

일으킴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 구축된 사각근의 유착이 甚(심)하면, 뼈와같이느껴져서,늑골(갈비뼈)로 인지(오진)될수있음)

 

(* 만성화가 지속되면 승모근 anterior margin(앞 테두리)과 그 밑(deep)의 중사각근 부위

까지도 불편한

   통증이 나타나고, 유착(adhesion)이 甚(심)하게 되어 있어서, 중.후사각근
부위(어깨부위)에 큰 덩어리

   (알갱이)가 있는것 같이 느껴지고,  그 부위의 조직을 

떼어내고 싶을정도로 답답하며, 짓눌리는 듯이

    무겁고, 불편함을 느낌) 


③ 이들의 구축(굳어짐)은 근막적으로 연계(fascial connection) 되어있는 흉추 (通常 T8 부위까지)


    역학적인 힘(장력)을 전달 - 장력의 분배(분산) - 하여  등(흉추)
의  다열근,
회선근 tendon(건, 힘줄) -

    흉추 극돌기 부위의 등뼈가 아픈
통증(bone pain)인 흉추통

유발함 - 과 관절돌기간 관절낭보상적

    (이차성) 구축

일으킴에 따라, 최장근, 장늑근 부위

가 아픈 증상인 등통증(背痛, 배통, dorsalgia)을

    유발 시킵니다.

(* 내,외 늑간근 tendon 구축의한 방사통으로도 등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④ 등부위의 다열근, 회선근 tendon과 관절돌기관 관절낭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견갑골

상각과 내측연

    (견갑거근, 능형근 부착부)부위로 등통증이
방사, 확산되어서
어깨쭉지(날개쭉지)통증이 유발 됩니다.

(* 목을 돌릴때나 굽히거나 젖힐시, 어깨에서 견갑골을 안쪽으로 모을때나(열중쉬어자세,

내전) 바깥으로

뺄때(외전)등의 활동시에 통증이 나타남.

 

(*上記한 조직들과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능형근(→ 견갑거근) tendon의 보상적 구축유발됨/ 체형의

   변형으로 인한 손상으로도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이 유발됨)


⑤ 능형근(견갑거근) tendon(건, 힘줄)의 (신장)구축은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극하근, 소원근(견관절의
 
    외회전근, 신장구축)/ 광배근,대원근
(견관절의 내회전근, 단축구축 -
짧아져서 굳어짐) tendon

   

역학적인 힘을 전달하여 보상적 구축일으킴에 따라,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이들의 tendon이 부착하고 있는 견갑골(어깨뼈,날개뼈)부위

   
통증견갑골(외측면,하각)통증 - scapular pain- 을
발 시킵니다.

(* 어깨(견갑골)를 움직일시에

이들의 tendon이 압박, 자극되어 통증이 나타남)


⑥ 능형근은 전거근(단축구축)과도
근막적 연계성이 있으므로, 전거근이 부착하는

1번~ 9번 늑골(갈비뼈)

    측면의  옆구리가 결리면서 아픈 증상
옆구리 통증(脇痛, 협통)과 겨드랑이 통증(腋痛, 액통)이

 

    나타나고,

 (*내,외 늑간근 tendon 구축의한 방사통으로도 옆구리(겨드랑이)통증 유발될수 있음)


    등부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과 길항작용관계에 있고,이미 체형의 변형(*round shoulder)되어있는
 
   
가슴쪽(앞쪽)의 대,소흉근, 흉골근, 내,외늑간근은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되어 있기에, 가슴이

    뻐근하게 조이면서
 아픈 증상가슴통증(胸痛, 흉통)이 나타납니다.


견갑거근,능형근,극하근,광배근,대원근,소원근 tendon(건, 힘줄)의 구축(굳어짐)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이들의 부착부(bony station)인 견갑골상각, 내측연, 극하와,
 
     
견갑골하각
(inferior angle,아랫부위)과 외측면(바깥쪽 부위) 부위에서 굳어져서(구축)
뻣뻣해져 있는
 
     
이들의 tendon(골막 - 골막염, periostitis)이 견갑골(어깨뼈)과의 마찰(friction)을 일으켜서
어깨

     (견갑골)를 움직일시에
,
견갑골
에서
소리(마찰음, grating sound, crepitus)가 나게하며,

견갑골을 고정

     (fixation)시켜서  

어깨를 움직일시견갑골이 부드럽지 않고,무거우며, 뻣뻣하여, 툭툭 걸리면서,

    
견갑골이 잘 움직이지 않는 견갑골 가동성(운동,mobility)의 제한(limitation)도

유발 시킵니다.

(* 견갑골의 관절와(glenoid cavity)와 어깨의 상완골두(humeral head)가

어깨(견)관절 

  
- 관절와 상완관절 - 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견갑골과 구조 역학적으로 연계(connection)
되어있는

     어깨(견)관절아탈구, 고정되어져서 어깨를 움직일시
견갑골(외측면, 하각)

에서와 같이 소리

    
가동성(운동)제한, 통증
동반하여 유발 될 수 있음)


⑧ 극하근, 소원근 / 광배근, 대원근 tendon의 또 다른 부착부상완골 대결절과 결절간구 내측연,

   
소결절능 즉, 어깨관절 부위에서 어깨를 움직일시에 구축되어 있는(굳어진) 이들의 tendon이
압박,

    자극되어 어깨가
아픈 통증어깨(견)관절 통증(shoulder joint pain)이 유발됩니다.

 

   (* 열거한 조직들과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前部 견관절낭보상적 구축일어나서도, 어깨(견)관절

       통증이 유발될 수 있음)



⑨ 견갑골 외측면(上部)에 부착되어 있는 소원근 tendon과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있는

    관절와하 결절(infraglenoid tubercle)에
부착하는 상완 삼두근의 장두 tendon과

후부(後部)

    견관절낭에도 역학적인 힘이

전달

   
- 장력의 분배 - 되어져서 보상적 구축일어난 결과, 어깨(견)관절 통증
유발됩니다.


⑩ 어깨(견)관절 - 팔(arm) - 이 가슴쪽(앞쪽)으로 돌아간 상완골의 내회전(견갑골의 외전,

medial  rotation

    of the humerus)
자세는 어깨관절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에 손상을

    주어
구축
(* 유착(구축)성 관절낭염,
adhesive capsulitis)을 일으키므로 어깨(견)관절 통증 -

    어깨(견) 관절염(arthritis) -

유발시키며, 또한 견관절이 비껴져서 어긋나게 맞추어진 상태인 아탈구

    (subluxation),
고정(fixation)이 되므로 어깨를 움직일시에 관절에서 소리(염발음, 마찰음, crepitus)가

 

    나며, 어깨관절의 통증이 일어나서 완전한 활동이 안되는 운동장애(disorder)도 유발시킵니다.

   
(* 외회전 장애 - 윗옷을 벗는 자세인 만세 부르는 동작, 팔을 뒤로 뻗치는 동작등의 장애

 

     * 수평내전 장애 - 팔을 반대쪽 가슴에 대는 동작의 장애

 

     * 내회전 장애 - 팔을 뒤로 돌려 등에 대거나, 브래지어끈을 잡는 동작의 장애 )


[* 업무등으로  어깨관절(팔)을 가슴쪽으로 모으는 자세를 습관적, 지속적으로  많이 하는 
(과사용,
 
     overuse
 / 만성 과부하) 사람들은  round shoulder(굽은,둥근어깨/ 견관절에서
상완의내회전)

     자세 어깨체형의
변형(strain)이유발되어 (중)후사각근 근막과 건(힘줄)이 손상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 
만성 어깨통증이 나타나고,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이

손상을 받고  前部(전부) 어깨관절낭은

    단축구축 , 後部(후부) 어깨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어깨관절통증이 나타나며,

    (흉추/ 굽은등)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등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됨 - 만성 목통증

    연계되어 자주 나타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⑪ 어깨(견)관절낭의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으로 인하여 팔(상완부)어깨(견)관절

통증이 방사

   (emanation),
확산(diffusion)되어서

팔통증(비통, 臂痛 , arm pain)이 유발됩니다.

 

   (* 어깨관절 아래의, 팔(상완부)이 무겁고,저리고,결리고,뻐근하며,쑤시는 통증)

 

   (* 팔 中央의 통증은 삼각근하 점액낭의 구축압력으로 나타남 - 삼각근하 점액낭염,

      
-
subdeltoid bursitis)   


(* 

어깨 체형상(견갑대축)의 문제로, 견갑골 상각에 부착하는 견갑거근의 tendon구축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됨- 되어, 이 근육의 또 다른 부착부인 경추횡돌기(C1-C4) 후결절의



      tendon

에 압박,자극(과긴장)을 주어, 어깨통증어깨 운동시에 견갑골(상각)이 불편하며, 툭툭

     걸리면서,
가 나는 증상과  더불어, 통증할 수도 있음)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항강증(뒷목(골)땡김,뻣뻣,뻐근함),경항통((뒷)목통증)을 발하는 (일자)목 증후군

(Turtle(Straight) Neck Syndrome)

 

 

 

 

TV나 컴퓨터 모니터(* VDT증후군)를  쳐다보는(바라보는)동작, 다시 말해서 업무(사무직)로 인해

 

목(머리)을 앞으로 내미는(빼는) head forward 자세(posture)많이 하는 현대인들은  누구나 어느정도는

 

근육들이 (과)긴장과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와 손상(injury)을 받아서 (업무에 의한 과긴장의 누적,

 

만성과부하), 목의 앞쪽에 있는 전부근(anterior muscle)들은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특히 深頸筋인

 

경장근), 목의 뒷쪽에 있는 후부근(posterior muscle)들은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약화됨)되어진 상태로

 

살아갑니다.

 

이와같은 목의 전부근(前部筋)과 후부근(後部筋)들의 장력 불균형(unbalance)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어지면은, 목의 전부근들이 후부근들을 앞쪽(前方)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경추(목)의

 

고정(固定, fixation)을 유발하게 됩니다.

 

즉 상부경추는 과다신전(과전만, Lordosis)되고, 하부경추와 상부흉추(T3까지)는 굴곡 되어진 결과로  

 

척추만곡(vertebral curvature)의 구조역학상, 상부경추는 거북목형태, 하부경추는 일자목형태, 상부흉추는

 

과후만(thoracic kyphosis)형태로 고정(fixation)되어, 인체 상지부(上肢部)에서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

 

strain)이 나타납니다.

 

[* 목의 전부근이면서 深頸筋인 경장근(longus colli muscle)이 그 부착부(bony station)인 경추의 추체

 

     (vertebral body)를 前方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인체 상지부 체형(골격)변형유발함이 主된 기전

 

     (major mechanism)이 됨]

 

(* 단축구축된 경장근은 경추 추간판을 압박하여 목(경추)디스크를 유발시킬 수도 있음)

 

以上과 같은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 strain) - 거북목, 일자목, 흉추후만 - 과 목의 앞, 뒤 근육(근막)들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은 목(경추, 상부흉추)과 머리로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을

 

일으켜서 뒷목이 무겁고, 답답하고, 땡기며(뻣뻣하며), 뻐근한 증상인 항강증(項强症, neck stiffness) / 목이

 

아픈 증상인 경항통(頸項痛, cervical, nuchal pain) - 通常, 목(경추)디스크라고 진단되어짐 - 후두통

 

(뒷골통증,땡김,무거움)과 상부흉추(T1~T3)부위가 버섯과 같은 모양으로 볼록하게 부풀어(튀어)올라와

 

있고, 피부경직(硬直)까지 되는 버섯증후군(* 거북등)을 유발시킵니다.

 

- 정수리부위 통증인 두정통과 관자놀이 부위 통증인 측(편)두통, 이마부위 까지도 아픈 전두통과 

 

   어지러움증인 眩暈(현훈)도 유발될 수 있음 -

 

(* 深頸筋(deep cervical muscle)인 경장근, 두장근, 사각근 근막과 tendon목의 深部 부척추근(횡돌극근)

 

    中 극돌기 기저부에 부착하는 다열근, 회선근 (* 목을 움직일시에, 목뼈에서 소리가 나며, 아픈 통증

 

   (bone pain)인 경추통(cervicalgia)도 유발함) 목뒤의 深部筋인 후두하근 tendon(건, 힘줄)들의 구축

 

   上記 증상들의 원인이 됨)

 

그리고 경추관절은 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 - 비껴져서 어긋나게 맞추어짐 - 되어 있으므로,

 

목을 움직일시에 관절이 툭툭 걸리면서 소리(염발음, 마찰음)가 나며 목을 돌리거나(회전, rotation), 옆으로

 

눕히거나(측굴, lateral rotation, 목을 옆으로 눕히는 자세/ 측굴의 장애는 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斜頸症(사경증,기운목)을 유발 할 수 있음), 굽히거나(굴곡, flexion), 제낄시(신전, extension)에 경추관절이

 

부드럽지 않고, 뻣뻣하며, 목통증(neck pain)이 나타나서 완전하게 목의 동작이 안되는 목 운동장애

 

(disorder, R.O.M 장애) 또한 유발됩니다.

 

(* 우리가 흔히들 " 잠을 잘 못자서 " 목이 안돌아간다고 말하는 증상인 落枕(낙침)도 항강증과 同一한 범주에

 

   해당됨)

 

以上 설명드린 거북목, 일자목, 흉추후만형태의 체형(골격)변형목의 전부근, 후부근 근막구축에 의한

 

증후군(Syndrome)으로 유발되는 항강증, 경항통, 후두통, 버섯증후군만성화(慢性化) 되면, 경추와

 

상부흉추의 후관절(facet joint)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으면서, 最深部(최심부) 연부조직(soft tissue)인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손상을 받아 구축되어져서, 上記 증후군들을 惡

 

시키게 됩니다.

 

(* 누웠다 일어날때에도 목에 힘이 들어가게되어 관절낭이 압박, 자극을 받아 목통증이 유발됨)

 

[* 목통증만성화되면,하부흉추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으로도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이 전달되어 -장력의

 

     분배- 보상적(이차성)구축이 유발됨에 따라 등통증도 동반하여 자주 나타남 ]

 

(* 지금까지 설명드린 거북목(일자목)증후군, 즉 head forward 자세로의 고정(fixation)은,

 

    안면부(얼굴, 턱관절)연부조직(soft tissue)에도 과긴장,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와  손상(injury)

 

    주어, 구축을 유발시켜서 上記한 증상들 外에, 안면부(얼굴)턱관절 통증 동반하여 나타나게

 

    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어깨 체형상(견갑대축)의 문제로, 견갑골 상각에 부착하는 견갑거근의 tendon구축 - 대부분 nodule

  

    (결절)이 형성됨- 되면, 이 근육의 또 다른 부착부인 경추횡돌기(C1-C4) 후결절의 tendon에 압박,자극

 

    (과긴장)을 주어, 어깨통증어깨 운동시에 견갑골(상각)이 불편하며, 툭툭 걸리면서, 가 나는 증상과 

 

    더불어, 통증이  할 수도 있음)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항강증(뒷목(골)땡김,뻣뻣함),경항통((뒷)목통증,뻐근함)의 근막이론적 해석

 (fascial interpretation)

 

 

 

 뒷목(골)이 뻣뻣하고 무거우며 땡기는 항강증(neck stiffness)과 목이 뻐근하게 아픈 증상인 경항통

 

(cervical, nuchal pain)은  

일반적으로는  정신적 스트레스,과도한 업무(과사용,overuse), 자세 불균형

 

(자세불량 )등으로 인해 

어깨근육인 승모근,경(두)판상근,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경추의

 

부척추근과 경추 후부근육들의 근막건(힘줄) (과)긴장,과부하(스트레스)와 손상(injury)을 받게 되어,

 

구축(굳어짐,contracture)으로 한 

건(힘줄)성 통증과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유발 됩니다.

 

(* VDT 증후군)

 

(* 요통도 동반시키는 요추 부척추근의 구축에 의해 인체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

따라서 역학적인

 

    장력, 긴장)이 전달되서 위에 열거한 근육들에 보상적(방어적)근막구축을 일으켜서 항강증이 유발될 수도

 

    있음)

 

 

항강증이 만성화(* 지속적 과긴장의 누적/ 만성과부하),(通常 목(경추)디스크라고 진단되어짐)되었을

 

경우에는, 심층의 크고 두터운 근육인 후두하근,사각근과 심부 경추부척추근(다열근,회선근)의 근막과

 

(힘줄)구축(굳어짐)에 의한 방사통건(힘줄)성 통증,그리고 경추 후관절(facet joint)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관절돌기간 관절낭구축으로 인한 대성 통증 (主)된 원인(major cause)이 되며,

 

 

 

항강증 뿐만 아니라 후두통 [뒷골통증, 땡김, 무거움 - 막, 건의 구축에의해서

머리로 올라가는 신경,

 

혈관들이 압박(폐색,entrapment)되어 올수도 있음 / 정수리 부위와 관자놀이,이마부위가 아픈 두정통,

 

측(편)두통, 전두통도 유발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유발되며, 

더불어 경추관절의

 

고정(fixation)으로 인한 목의 운동제한(Limitation of R.O.M)도 나타나고,

어깨통증 (* Round Shoulder

 

(굽은, 둥근 어깨)와 흉추후만증이 되어, 흉추부위가 버섯모양으로

툭 튀어(부풀어)올라와 피부경직까지 되어

 

있는 버섯증후군(거북등)도 유발될수 있음)  

머리가 맑지 않고, 어지러우며,

몸이 피로한 증상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목통증만성화되면, 흉추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으로도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이 전달되어 -장력의

 

    분배 - 보상적(이차성)구축이 유발됨에 따라 등통증도 동반하여 자주 나타남 ]

 

 

 

(* 경추와 상부흉추의 深部(심부)부척추근인 횡돌극근 中 극돌기 기저부에 부착하는 다열근(multifidus

 

    muscle), 회선근(rotator muscle) tendon(건,힘줄)구축은 목 움직일시에,목뼈에서 소리가 나며,

 

    아픈 통증(bone pain)인  경추통(cervicalgia)도 유발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 * 그림 출처 : Sobotta Atlas of Human Anatomy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턱관절통증(장애), 안면(얼굴)통증(마비), 두통,(뒷)목통증(땡김, 뻣뻣, 뻐근함), 요통

(허리통증)의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上記한 제목의 통증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되는데,
턱관절

통증/장애
(TMJ - Pain,Disorder)을 병기(病機)의 시발점으로 하여, 다른 부위의 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되는


기전을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의 관점으로 정리합니다.

 
① 음식물을 씹을때나 턱을 벌릴때, 찬바람에 노출 되었을때,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때 등에 유발되는

    턱관절통증(장애)의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인 교근(masseter muscle)근막
(힘줄)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은 그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서
안면(얼굴)통증(facial pain)과

    얼굴이 내살 같지 않고, 무딘 느낌인 안면
둔마감(지각이상), 마비(마목)감(numbness)을 유발

    시킵니다.(*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② 교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턱관절 통증을 유발하는 또 다른 연부조직(soft tissue)인 측두근

    (temporalis muscle) 근막건(힘줄)구축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측(편)두통(* 긴장성, 신경성 두통)이
나타나고, 턱관절외측인대
(lateral ligament)와 관절낭

   (joint capsule)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턱관절 통증이 방사, 확산되어 측(편)두이 유발되고, 또한

   귀(귓속)가 아픈 통증인
耳痛(이통, ear ache)과 귀가 멍멍하게 울리는 증상인 耳鳴(이명, 귀울림)이

   유발됩니다.

 

   (* 上記한 교근, 측두근 근막과 건이 구축됨에 의한 방사통 또는 잇몸과의 근막적 연계성으로 인해,

      
잇몸통증(치은염, 치통)도 나타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③ 측두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측두두정근 → 후두근 → 두반극근 → 후두하근근막

    (myofascia)과 (힘줄, tendon)들(* 귀 윗부위와 후두골(뒷골), 상부경추(C1, C2)에
위치함)의 보상적

    (이차성) 구축이 유발되어
두정통(정수리 통증)과 후두통
(뒷골통증, 땡김, 무거움)이 나타납니다.

 

    [* 환추(제1경추)와 축추(제2경추)/ 후두골(후두과)의 관절(joint)을 이어주는 환추축추관절낭/ 환추후두

 

         관절낭의 구축은  만성 후두통유발시킴]


④ 후두하근(suboccipital muscle)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경추(목)의 심층 부척추근(횡돌극근)인

    다열근, 회선근의 건(힘줄),근막과 경추후관절(facet joint)의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의 보상적 구축이 유발되어
(뒷)목통증(땡김, 뻣뻣, 뻐근함, 무거움 ,답답함  /

   항통, nuchal pain)이 나타납니다.

 

   (* 통증이 방사,확산되어 어깨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될 수 있음)

 

   (* 후두하근과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중)사각근도 구축되어 목, 어깨통증을 유발 할 수 있음)

 
⑤ 경추의 다열근, 회선근의 건, 근막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은 하부로 주행하여 요추(허리)의 同一한

    조직으로
근막적 연계(fascial net)를 이루어서 보상적 구축을 유발한 결과,
요통(허리통증)이 나타나고,

    또한, 후두하근(상두사근)의 부착부(bony station)인
1번 경추(C1) 횡돌기에 연결되어 주행하는 경장근

    (longus colli muscle)은
경추체(頸推體)에도 부착되어
전종인대 → 요추체 → 요근 順으로 근막적 

   연계
를 이루어서
요근(腰筋, psoas muscle)의 근막과 건의 보상적 구축을 유발하므로, 요통

    허리통증)이
나타납니다.

 

   (* 경추의 다열근, 회선근의 건,근막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이 허리로의 주행하는 line선상에 있는, 흉추의

        同一한 조직도  보상적 구축을 일으키므로, 등(어깨쭉지, 견갑골)통증
동반하여 유발될 수 있음 )

 
⑥ 이어지는 病機로서, 요근근막과 소장간막(mesentery of small intestine)은 근막적 연계이루고

    있으므로, 장막(tunic)이 요근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압박되어 손상(injury)된
결과로,
이차성(속발성)

    구축이 유발되어, 소화장애(indigestion)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以上, 설명드린 근막 연계성 이라는 관점 外로, 체형의 변형(비틀림,strain)이라는, 다른 측면의 병기

       (病機)
로서 살펴보면은
 현대인들이, 업무특성상, 습관적으로 목(머리)을 앞으로 빼고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head forward 자세(거북목(일자목)증후군,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많이함(overuse)

      
(자세 불균형, 불량)으로 인해서, 안면부와 목의 연부조직들이 과긴장,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


      
의해, 손상(injury)을 받아 구축되어서, 안면부(얼굴, 턱관절)통증 두통,뒷골,(뒷)목통증 연계,


      동반
하여 유발 된다고도 해석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인체 뼈돌기(튀어나온뼈, 골극, 골자, spur)의 형성기전





나이가 들면서 인체의 손가락, 발가락, 무릎, 척추관절 등에 툭 불거져 튀어나와 있는 뼈인 골극

(골자, spur)이 형성되어 있는 퇴행성 변화를 볼 수 있는데
그 형성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체 관절(골격, 뼈)에 부착하여 관절을 움직여 주고 지지해주는 근육(근막), 건(힘줄), 인대에

경직(굳어짐)과 구축이 있게 되면
관절을 탄력성(유연성, 가동성, mobility)있게 움직여주고, 지지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관절을 이루는 뼈(골막)에 장력과 압박(자극)이
가해집니다.

 

이와 같은 상태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다(만성화) 보면 누적되어 조직손상이 오고, 조직이 손상되면 인체는

새로운 골격조직을 만들어 내어서(조골(골아)세포의 증식)
손상된 조직을 채워주려는 조직복구

작업(인체보호, 방어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뼈가 스스로를 복구하고 변화(remodeling)하는 과정에서 뼈는 커지고, 두터워져 골극(골자, spur)을


형성한 상태로 인체에 남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골극의 형성은 결과적으로는 병리적인 뼈 상태이지만 그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손상된 뼈(골막)의

환경에서 조직을 복구하고 방어,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한 것입니다.

 

※ 참고문헌 : Anatomy Trains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근육(근막), 건(힘줄), 인대가 굳어지는(구축, Contracture)기전





업무로 인한 자세의 불균형(자세불량), 노동, 무리한 일과 운동(과사용, overuse),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인체의 연부조직(soft tissue)인
근육(근막), 건(힘줄), 인대는 긴장하게 되고 장력을 받게 됩니다.

 

이와 같은 역학적 스트레스(압박)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다(만성화)보면 누적되어 조직 손상(tear)이 오고

조직이 손상되면
인체는 새로운 섬유성 결합조직을 만들어
내어서(섬유성 결합 조직의 증식, 섬유화,

fibrosis)
손상된 조직을 얽어매려는
조직복구 작업(인체보호, 방어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조직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조직들의 변형(비틀림, strain, 조직구성형태의 재배열)과 유착

(adhesion, 섬유조직들이
서로 들러붙음)이 일어나게 되므로
근육(근막), 건(힘줄), 인대가 굳어진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구축, contracture)

 

(* 원래의 탄력성 보다는 낮은 탄력성으로 조직이 복구된 결과 입니다)

 

비록 최종적으로 나타난 결과는 굳어져서 경직되고 뻣뻣한 병리적인 조직상태이지만 그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손상된 조직환경에서
스스로를 복구하고, 방어,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이었던 것입니다.

※ 참고문헌 : Anatomy Trains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인체 상지부(上肢部)관절통증(관절염)의 장력분배(유주) 경로와 체형의 변형

 

(비틀림/ strain)






현대인들 (*특히 사무직)의 습관적인 생활자세인,

 

 .head forward 자세

 [* 머리(목)를 앞으로 빼고 사물(*컴퓨터 모니터)을 바라보는(쳐다보는)자세/ VDT증후군 ]

 

·.어깨(가슴)를 굽히는(숙이는) 자세

  

·.배를 굽히는 자세(복직근 단축자세)

 

 

등에 의해서,인체

상지부(上肢部) 後部(posterior region, 등쪽)에서 하부경추와 상부흉추 주위의 연부조직

(soft tissue) - 특히 경.흉추 C7 - T1 junction 부위의 
深部(심부)조직 다열근(multi), 회선근(rotator)

tendon과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 - 은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되고,

인체 상지부(上肢部) 前部(anterior region, 가슴쪽)에서 가슴과 견관절(어깨관절, glenohumeral joint)

주위의 연부조직
- 특히 深部
(심부)조직前部(전부)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 - 은  단축구축

(짧아져서 굳어짐)
됩니다.


결국은 인체 상지부(上肢部) 前部의 연부조직(深部조직)이 인장력(引張力, tensile force)을 가지고, 後部의

연부조직을 잡아담김에 의해
견관절에서 상완골(humerus)이 가슴(어깨의 前部)쪽으로 말려서 들어간

상완골의 아탈구
(subluxation, 견갑골의 외전)가
일어나게 되고, 등쪽(後部)은 Round Shoulder(둥근,

굽은어깨, wing scapula, 굽은등)
흉추후만증(버섯증후군,거북등/ 흉추부위가 툭 튀어 올라와서 버섯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고,
甚(심)한 경우에는 피부경직까지도 되어있음) 나타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以上과 같이 인체 上肢部 연부조직 구축(굳어짐, contracture)에 의한 상지부(上肢部)

체형(골격, 관절)의 변형(비틀림, strain)은


뒷목(골)통증(땡김, 뻐근함, 項强(痛), nuchal pain, neck stiffness)과

어깨통증 (무거움, 뭉침, 결림,

   쑤심, 肩痛(견통), shoulder pain,
승모근 상부섬유의
 posterior margin 부위와 그 밑(deep)의 후사각근

   근복 부위의 통증) 을 일으키고,

목을 움직일시(돌리거나, 굽히거나, 젖힐때)에 목과 어깨부위가 땡기면서

   아픈
목 운동의 장애(disorder)까지도 유발하게 됩니다.


또한, 상지부 前部(가슴쪽)에서 일어난 상완골의 아탈구로 인해 어깨(가슴)앞쪽 부위가 조이는 느낌이 들고
 
어깨를 움직일시에 견관절에서

소리(염발음, 마찰음)가 나는 증상이 나타나며,

견(어깨)관절 주위(특히

後部
)의 통증(shoulder joint pain)을
일으킵니다.

(* 견관절의 운동(외회전.내회전)장애도 유발될 수 있음)


    이어지는 병기(病機)로서,

 
② 뒷목, 어깨통증은  (어깨쭉지,견갑골 내(외)측연(면)-背痛(배통),dorsalgia)으로, 어깨관절통증은 

   
상완부(특히 後部)로, 통증(* 팔통증, 臂痛(비통), arm pain)을 

방사(emanation),

확산(diffusion) - 

    뻗치게(퍼지게) - 합니다.

 

   (* 어깨관절 아래의 팔(상완부)이 무겁고, 저리고, 결리고, 뻐근하며, 쑤시는 통증)

 

  

또한, 견(어깨)관절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견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

  
(contracture pressure)은
주관절(팔꿈치관절)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전달 - 장력의 분배

  
(sharing of tensional force) - 하여 
주관절낭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유발시킴으로 인해, 팔꿈치관절

   (elbow joint)을 무겁고,
부드럽지 않고, 뻣뻣(뻐근)하게 하며

팔꿈치(엘보우) 통증(저림, elbow pain)

 

  

나타나게 합니다.


③ 주관절(팔꿈치, 엘보우) 통증은 전완부(前腕部, 아랫팔,특히 尺骨 골막부위 / 골프엘보우 시에는 주먹을 

    쥘때 장요측수근신근 부위가 땡김)로 통증을 방사, 확산합니다.

 

    또한, 주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손목관절(완(腕)관절, wrist joint)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전달 - 장력의 분배 - 하여 손목관절낭 보상적(이차성) 구축

    유발시킴으로 인해 손목통증(wrist joint)이 나타나게 합니다.


④ 손목통증은 손등(손바닥)으로 통증을 방사, 확산합니다.(* 과사용(overuse)으로 인한 골간근 tendon의
 
    구축도 통증의 원인이 됨)

   
   
또한, 손목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
손가락 관절(finger joint)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전달 -
장력의 분배- 하여 손가락 관절낭
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유발시킴으로 인해 손가락 통증

  
(finger pain), 저림증(numbness)
나타나게 합니다.

 

   [* 특히 (3),4.5指(약지와 새끼 손가락)의 통증과 저림증(* 사각근 tendon의 구축으로 인한 

      
방사통으로도 유발됨) 이 나타남 ]

以上의 인체 상지부(上肢部)통증의 장력분배(유주) 경로(line)逆順(손가락, 손목의 과사용(overuse)

등으로 인함)의 病機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以上의 설명들의 보충은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