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의 원인과 근막이론적 해석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이란 우리 몸에서  앞부위의 기저부에 위치하고 있는

신경혈관다발(neurovascular bundle)인 쇄골하동맥(정맥), 액와동맥,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lower trunk 의 medial lateral cord)이
흉곽(늑곽)을 빠져나와서(벗어나서) 액와(팔)로 들어가기

前부위인 흉곽출구(thoracic outlet)에서

 

즉, ⅰ.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

 

     ⅱ. 쇄골과 제 1늑골 사이

 

    ⅲ . 소흉근과 흉벽(곽)사이에서  

압박(compression), 폐색(entrapment)되어 척골신경(ulnar nerve)과 정중신경(median nerve)에 영향을

미쳐 그 신경분포 부위에 나타나는
팔과 손(손등, 손가락)에 저림증, 감각이상(지각이상, 이감각증), 마목감

(numbness)등 신경연관증후(sign)와
손의 부종, 각종 혈액순환장애(요골동맥 맥박소실) 증상들을

말합니다.

 

위와 같은 증상들은 사각근과 소흉근의 구축(굳어짐)에 의해 그 밑(deep)을 지나가는 신경혈관다발을

압박, 폐색하여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근막이론적 해석입니다.

 

신경, 혈관과 연관된 증후들은 복잡하면서도 미묘한 변화와 기전에 의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흉곽출구증후군 증상은 또 다른 측면에서도
그 증상의 유사성을 발결 할 수 있습니다.

ⅰ. 사각근의 구축(굳어짐)에 의한 방사통(근막통증증후군)

 

ⅱ. 사각근의 방사통 line상에 있는 부위의 근육들 이차성(원격성)으로 영향(장력)을 받고 보상적(방어적)

     구축이 일어남(위성 근막발통점의 형성)에
의한 방사통(근막통증증후군)과 근육들 주위의

     신경혈관들을 압박과 폐색

 

ⅲ. 인체 근막계의 연결 경로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따라서 원격적인(distant) 힘(장력, 긴장)이

     팔과 손에 전달된 경우

 

이와 같은 경우 등에 의해서도 팔과 손(손등, 손가락)에 신경혈관 연관증후들이 나타난다고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