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비통(어깨, 팔 - 통증, 저림, 결림, 쑤심, 뻐근함, 뭉침,무거움)의 부위별 원인이 되는

 

육(근막)과 건(힘줄)들

 

 

 

 

 

견비통(어깨, 팔이 무겁고, 저리며, 뻐근(뻣뻣)하고, 잘 뭉치며, 결리고, 쑤시는 통증)이 나타나는 통증부위는,

 

상완(arm, 팔)주위를 돌면서, 세 부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부위별 원인이 되는 근육(근막)과 건(힘줄)들을 정리합니다.

 

 

상완 전부(팔 앞부위)통증

 

ⅰ) 삼각근 전부섬유, 오훼완근, 대.소흉근, 극하근의 구축(굳어짐)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인한

 

      경우(근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ⅱ) · 상완골 소결절과 소결절능에 부착하는 - 견갑하근

 

     · 상완골 소결절능에 부착하는 - 대원근

 

     · 상완골 결절간구에 부착하는 - 광배근

 

     · 상완골 대결절능에 부착하는 - 대흉근

 

     들의 건(tendon) 구축(굳어짐)에 의한 건(힘줄)성 통증으로 인한 경우

 

ⅲ) 상완삼두근 장두의 건(tendon) 구축에 의해 그 건(힘줄)이 지나가는(통과하는) 건구(bicipital tendinous

 

      groove)와의 마찰로 인한 경우(상완이두근 건염)

 

iv) 전부(前部)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으로 인한 만성 견비통이 유발되는 경우

 

 

상완 중부(팔 가운데부위)통증

 

ⅰ) 삼각근 중부섬유, 극상근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인한 경우

 

     (근막통증증후군)

 

ⅱ) 상완골 대결절에 부착하는 극상근과 견봉에 부착하는 삼각근 중부섬유의 건(tendon) 구축에 의한

 

     (힘줄)성 통증으로 인한 경우

 

ⅲ) 삼각근 융기(deltoid prominence)부위에 부착하는 삼각근 공통건(common tendon) 구축에 의한

 

     (힘줄)성 통증으로 인한 경우

 

 iv) 상완근, 상완삼두근 외측두 tendon(건) 구축에 의해  팔을 움직일시, 이들 건이 압박,자극 됨으로 인한

 

      경우

 

 v)  삼각근하, 견봉하 점액낭(bursa)의 구축으로 인해 만성 견비통이 유발되는 경우

 

 

vi) 견봉하 점액낭 밑(deep)에 위치한 중부(中部) 견(어깨)관절낭의 구축으로 인해 만성 견비통이 유발되는

 

      경우

 

 

상완 후부(팔 뒷부위)통증

 

ⅰ)  삼각근 후부섬유, 상완삼두근의 장두, 견갑하근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인한 경우

 

       (근막통증증후군)

 

ⅱ) 상완골 관절와하결절(infraglenoid tubrcle)에 부착하는 상완삼두근 장두와 상완골 대결절(후부)에

 

     부착하는 극하근, 소원근 건(tendon)들의 구축에 의한 건(힘줄)성 통증으로 인한 경우

 

ⅲ) 승모근에서 → 삼각근후부로,

 

     견갑거근에서 → 능형근 → 극하근 → 소원근(* 회전근개, rotator cuff)으로의 인체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따라서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의 전달로 인한 경우

 

iv) 후부(後部) 어깨(견)관절낭의 구축으로 인한 만성 견비통이 유발되는 경우

 

 

 

[* 업무등으로  어깨관절(팔)을 가슴쪽으로 모으는 자세를 습관적, 지속적으로  많이 하는 (과사용,

 

     overuse / 만성 과부하) 사람들은  round shoulder(굽은,둥근어깨/ 견관절에서 상완의내회전)

 

    자세 어깨체형의 변형(strain)이유발되어 (중)후사각근 근막과 건(힘줄)이 손상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 

 

   만성 어깨통증이 나타나고,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이 손상을 받고  前部(전부) 어깨관절낭은

 

    단축구축 , 後部(후부) 어깨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어깨관절통증이 나타나며, 등(흉추/

 

    굽은등)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등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됨 - 만성 목통증

 

   연계되어 자주 나타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어깨 체형상(견갑대축)의 문제로, 견갑골 상각에 부착하는 견갑거근의 tendon구축 - 대부분 nodule

 

   

    (결절)이 형성됨- 되면, 이

근육의 또 다른 부착부인 경추횡돌기(C1-C4) 결절의 tendon에 압박,자극

 

 

    (과긴장)을 주어, 통증어깨 운동시에 견갑골(상각)이 불편하며, 툭 걸리면서, 가 나는 증상과 

 

 

    더불어, 통증이  할 수도 있음)

 

 

[* 以上의 설명된 내용外의 보충되는 내용은 블로그 內  만성 견비통,오십견문건 검색참조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견(비)통(어깨,팔- 통증,결림,쑤심,뻐근함,뭉침,무거움)의 원인이 되는 근육(근막)구축(굳어짐,뭉침)

 

 

 

 

 

 우리 인체 상부에는 어깨의 대부분을 겉(표면)에서 감싸고 있고, 뒷목과 등까지도

넓게 퍼져 있으며, 윗옷이

 

걸쳐지는 부위(coat hanger)에  " 승모근 "(trapezius muscle)이라는 근육이 있어서, 그 부위에서, 이 근육의

 

경직과 구축(굳어짐)에 의해서, 어깨가 무겁고, 뻐근(뻣뻣)하고 잘 뭉치며,결리고,쑤시는 증상 (비)

 

(어깨통증, 肩(臂)痛)을 유발하는듯이 생각되지만은,

 

 

제로는, 어깨부위에서 승모근 보다 더 밑(deep, 심층)에 있으면서, 견갑골 내측연(어깨쭉지) 부위의

 

level부터

연결되어 올라오는 흉추, 경추의 부척추근견갑거근(Levator Scapulae muscle) 근막]

 

(myofascia)의

경직과 구축(굳어짐,근막유착)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경우가 

 

통상적인 유발원인이 됩니다.

 

 

흉추, 경추의 부척추근과 견갑거근의 경직과 구축은 2가지 기전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첫번째 기전은,

 

골반의 비틀림(변형, strain)으로 인해 인체 근막의 유주경로인 근막경선 따라서 골반 →

요추부 → 흉추부 →

 

어깨로의 역학적인 힘이 전달된 결과로(인체 보상적(방어적) 구축) 위의 근육들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되서 유발되는 경우입니다.

 

(* 상대적으로 골반 올라온 쪽이 대부분이고, 견갑골 내측은 위로 올라가 있고

어깨(견관절)는 밑으로 쳐져

 

    있음)

 

 

 

 

두번째 기전은,

 

어깨를 숙이는(굽히는)생활을 많이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 어깨(등)가

굽어지면서(굽은 / 둥근어깨 = Round

 

shoulder) 위의 근육들이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되서 유발되는 경우입니다.

 

(ⅰ. 어깨(견관절)는 위로 올라가 있고, 견갑골 내측은 밑으로 쳐져 있음

 

 ⅱ. 종종 능형근도 이완구축 되어 견갑골 내측연(어깨쭉지)통증과 등 통증,

흉추후만증(버섯증후군),

 

      견갑골의 전방경사(wing scapula = 굽은등,들려있는 등)도

함께 동반)

 

 

 

견비통만성화 되었을때는, 뒷목통증(항강증, 항통 / 뒷목땡김, 뻣뻣, 뻐근함, 무거움)팔통증,

 

저림증과 머리의 맑지 않음, 몸의 피로 동반하게 됩니다.

 

위와 같은 증상들은 목의 심부에 있고 크고, 두터운 근육인 후두하근과 사각근(Scalene Muscle)에 역학적인

 

힘이 전달 되어서 경직과 구축(굳어짐, 근막유착)이 오게 되어 목과 팔, 머리로 통증이 방사(방사통, Referred

 

Pain)되어 나타납니다.

 

(근막통증증후군)

 

(* 인체의 겉(표면)을 감싸고 있는, 승모근과 같은 천층근육(Superficial Muscle)들은 경직 되더라도,

 

   

따뜻하게 사우나를 하거나, hot pack 만 대줘도 풀리므로, 통증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많지 않음)

 

 

[* 업무등으로  어깨관절(팔)을 가슴쪽으로 모으는 자세를 습관적, 지속적으로  많이 하는 (과사용,

 

     overuse / 만성 과부하) 사람들은  round shoulder(굽은,둥근어깨/ 견관절에서 상완의내회전)

 

     자세 어깨체형의 변형(strain)이유발되어 (중)후사각근 근막과 건(힘줄)이 손상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  만성 어깨통증이 나타나고,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이 손상을 받고  前部(전부)

 

     어깨관절낭은 단축구축 , 後部(후부) 어깨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어깨관절통증이 나타나며,

 

     등(흉추/ 굽은등)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등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됨 - 만성

 

    목통증 연계되어 자주 나타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뒷)목통증(땡김),어깨(관절),등(뼈)통증(쑤심,결림),견갑골(어깨뼈,쭉지),(꿈치),

전완부(아랫팔)통증(땡김,저림)의역학적연계성(dynamic connection)





(뒷)목통증(neck pain, 항강증, 경항통)이 있는 사람들은 병증이 진행됨에 따라 어깨와  등(견갑골 상각,

내(외)측연, 어깨(날개)쭉지)통증
이 나타나고 이어서 팔(견관절, 상완부),
가슴, 엘보우(주관절, 팔꿈치)

통증
이 나타나며, 심(甚)해지면 
전완부(아랫팔 → 손목, 손등, 손바닥, 손가락)까지도 저리거나 아픈 통증

(pain)이
뻗쳐서(퍼져, 확장되어)나타나는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해당부위와 연관된 근막과 건(힘줄)의 구축(굳어짐)으로 유발되는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에 의해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일 수도 있지만, 병증이 만성화되면, 인체 관절을 보호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관절 주위를 감싸고 있는 심부(深部)인대나 관절낭(joint capsule)들역학적 연계성

(connection)에 의해서도 통증
(pain)이 확산되어 (퍼져서, 뻗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풀어서 말씀드리면, 아픈쪽 부위(痛處) - 원발성 - 에 힘을 덜 실어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역학적

연장선상에 있는
다른부위힘을 쓰게되어, 장력(tensional force)이 걸리므로 안아팠던 부위도 - 속발성 - 


으로

아프게  되는 원리입니다.

 

(* 역학적인 힘(긴장, 장력)의 전달에 의한 보상적(방어적, 이차성, 속발성) 인대, 관절낭의 구축과 방사통 )

목(경추)뼈를 연결(join)시켜주는 관절, 즉 관절돌기간 관절(후관절, facet joint)을 감싸고, 보호하고 있는

경추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
(굳어짐, contracture)으로


① (뒷)목통증(경항통,항강증,neck pain / (뒷)목 땡김, 뻣뻣, 뻐근함, 무거움, 답답함)이 나타나는

   
(특히 C7~T1, 경흉추연접부, 척추만곡 이행부)것을 병기(病機)의 시발점으로 하여,


견갑골 상연과 견갑골극으로 역학적인 힘(긴장, 장력)이 전달되면 이 부위를 주행하는 후사각근, 극상근

    건(힘줄)과 근막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어깨통증이 나타납니다.

 

    (* 견통, 肩痛, shoulder pain / 어깨 무거움, 뻐근함, 뭉침, 결림, 쑤심)


최장근, 장늑근 부위 / 견갑골 상각, 내측연, 극하와, 견갑골 하각, 외측면로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이부위에 부착하는 최장근, 장늑근, 견갑거근, 능형근, 극하근, 광배근, 대원근, 소원근 근막과
(힘줄)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견갑골(어깨뼈)통증 등통증(背痛, 배통,
dorsalgia)
- 다열근, 회선근 tendon

    구축에
의해 뼈가 아픈 통증(bone pain)인 흉추통
그 구축압력이 등 부위로 방사되어, 등통증도 

    
나타날 수 있음 - 유발됩니다.

 

    (* 능형근과 부착부가 인접하여 있어서, 근막적 연계성있는 전거근 건에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옆구리가  결리면서 아픈 증상
옆구리통증(脇痛)도 나타날 수 있음)

(*내,외 늑간근 tendon 구축의한 방사통으로도 등통증옆구리 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견(어깨)관절로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ⅰ) 견관절을 감싸고 있는 인대인 오훼상완인대, 관절상완인대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견(어깨)관절통증

    
가슴이 뻐근하게 조이면서 아픈 증상인 
가슴통증이 나타나며

ⅱ) 또한 이 인대들보다 심부(深部)에서 견관절을 감싸고 있는

견관절낭(shoulder joint capsule)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견관절의 운동장애(특히, 외회전의 장애,오십견의 형태)까지도 동반하는

한(만성)

     (어깨)관절
통증
(관절염)

유발됩니다.


상완부로 견관절낭의 구축압력(힘)이 전달되면 완부(팔)로 저리거나 아픈통증(방사통,

   
referred pain)이 뻗쳐(확장되어, 퍼져)내려갑니다.(* 비통, 臂痛, arm pain)

    (*
어깨관절 아래의, 팔(상완부)이 무겁고,저리고,결리고,뻐근하며,쑤시는 통증)


주관절(엘보우, 팔꿈치)로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팔꿈치의 인대와 

주관절낭(elbow joint capsule)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팔꿈치 관절이 무겁고,
부드럽지 않고, 뻣뻣(뻐근)하게 되며팔꿈치통증(저림)

    유발됩니다.


전완부(아랫팔 → 손목, 손등, 손바닥, 손가락)로 주관절낭의 구축압력(힘)이 전달되면
전완부(아랫팔)로
 
   저리거나 땡기고 아픈통증
(방사통)이 뻗쳐 내려갑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오십견(만성 어깨관절통증,결림,관절염)의 

주(主)된 어깨 운동장애 동작과 원인이 되는

건(힘줄)들





나이가 50세 전, 후에 주로 많이 나타나는 퇴행성(노화성) 어깨통증질환이라고 해서 오십견이라고 불리우는

 

동결견(frozon shoulder, 유착성 관절낭염)의 주(主)된 어깨(견관절)운동장애 동작과 원인이 되는

 

건(힘줄)들을 정리해 봅니다.

 

(* 30대, 40대때 나타나서 장기간 낫지 않고,지속되는 만성 어깨(견)관절통증(관절염)도

오십견 병증의

    범주에 배속됨)


오십견 통증

에서 주로 많이 일어나는 동작들인

ⅰ. 어깨를(팔을) 위로 올리는 만세 자세(윗옷을 입거나 벗을 때)

 

ⅱ. 팔을 뻗쳐서 뒤에 있는 물건을 잡으려고 하는 자세

 

ⅲ. 팔을 몸 밖으로 돌리거나 뻗치는 자세

 

ⅳ. 팔로 뒷목을 감으면서 반대편 뺨에 대는 자세(Mouth wrap - around test)

를 할 때에 견관절에서 

뜨끔하게 느껴지는 통증은 모두 동일하게
견관절(어깨)의 외회전 동작
장애(disorder)입니다.

 

때문에 어깨의 외회전 기능을 하는 소원근과 극하근의 건(힘줄)그 부착부(bony station)상완골 

대결절 부위에서
구축(굳어짐 /  섬유화, fibrosis)된
것이 주(主) 원인되며(근육이
수축하여서

주작용으로 힘을 쓸때의 장애는
건(힘줄)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임)
또한 그 길항근이고

어깨의 내회전 근육인 견갑하근, 광배근, 대원근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어

외회전 동작을 방해하는

것이 이차적인 원인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어깨의 외회전 동작과 함께 어깨의 내회전 동작(팔을 뒤로 돌려 등에 대는 열중쉬어 자세, 팔을

등뒤로 돌려서 브래지어 끈 잡는
자세)도 흔하게 나타나는 장애인데(*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이는

내회전 근육인 견갑하근, 대원근, 광배근의
건(힘줄)이 그 부착부인

상완골의 견갑하와, 소결절, 소결절능,

결절간구 
부위에서
구축(섬유화)된 결과로 기인됩니다.

 

 

또한 Golf(골프)를 좋지 않은 자세로 치는 사람들은 대흉근과 상완삼두근(장두) 건의 구축으로

어깨의

수평내전
(팔을 반대편 가슴에 대는 동작)과 수평외전
장애를 동반합니다.

 

 

오십견이 만성화되면 어깨深部(심부)에서 관절주위를 감싸고있는 오훼상완인대,관절상완인대와 관절낭

유착(섬유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음/ 유착성 관절낭염)과 구축(굳어짐)도 유발
되어, 어깨통증의

또다른

원인을 제공합니다.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인체 상지부(上肢部)관절통증(관절염)의 장력분배(유주) 경로와 체형의 변형

 

(비틀림/ strain)






현대인들 (*특히 사무직)의 습관적인 생활자세인,

 

 .head forward 자세

 [* 머리(목)를 앞으로 빼고 사물(*컴퓨터 모니터)을 바라보는(쳐다보는)자세/ VDT증후군 ]

 

·.어깨(가슴)를 굽히는(숙이는) 자세

  

·.배를 굽히는 자세(복직근 단축자세)

 

 

등에 의해서,인체

상지부(上肢部) 後部(posterior region, 등쪽)에서 하부경추와 상부흉추 주위의 연부조직

(soft tissue) - 특히 경.흉추 C7 - T1 junction 부위의 
深部(심부)조직 다열근(multi), 회선근(rotator)

tendon과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 - 은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되고,

인체 상지부(上肢部) 前部(anterior region, 가슴쪽)에서 가슴과 견관절(어깨관절, glenohumeral joint)

주위의 연부조직
- 특히 深部
(심부)조직前部(전부)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 - 은  단축구축

(짧아져서 굳어짐)
됩니다.


결국은 인체 상지부(上肢部) 前部의 연부조직(深部조직)이 인장력(引張力, tensile force)을 가지고, 後部의

연부조직을 잡아담김에 의해
견관절에서 상완골(humerus)이 가슴(어깨의 前部)쪽으로 말려서 들어간

상완골의 아탈구
(subluxation, 견갑골의 외전)가
일어나게 되고, 등쪽(後部)은 Round Shoulder(둥근,

굽은어깨, wing scapula, 굽은등)
흉추후만증(버섯증후군,거북등/ 흉추부위가 툭 튀어 올라와서 버섯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고,
甚(심)한 경우에는 피부경직까지도 되어있음) 나타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以上과 같이 인체 上肢部 연부조직 구축(굳어짐, contracture)에 의한 상지부(上肢部)

체형(골격, 관절)의 변형(비틀림, strain)은


뒷목(골)통증(땡김, 뻐근함, 項强(痛), nuchal pain, neck stiffness)과

어깨통증 (무거움, 뭉침, 결림,

   쑤심, 肩痛(견통), shoulder pain,
승모근 상부섬유의
 posterior margin 부위와 그 밑(deep)의 후사각근

   근복 부위의 통증) 을 일으키고,

목을 움직일시(돌리거나, 굽히거나, 젖힐때)에 목과 어깨부위가 땡기면서

   아픈
목 운동의 장애(disorder)까지도 유발하게 됩니다.


또한, 상지부 前部(가슴쪽)에서 일어난 상완골의 아탈구로 인해 어깨(가슴)앞쪽 부위가 조이는 느낌이 들고
 
어깨를 움직일시에 견관절에서

소리(염발음, 마찰음)가 나는 증상이 나타나며,

견(어깨)관절 주위(특히

後部
)의 통증(shoulder joint pain)을
일으킵니다.

(* 견관절의 운동(외회전.내회전)장애도 유발될 수 있음)


    이어지는 병기(病機)로서,

 
② 뒷목, 어깨통증은  (어깨쭉지,견갑골 내(외)측연(면)-背痛(배통),dorsalgia)으로, 어깨관절통증은 

   
상완부(특히 後部)로, 통증(* 팔통증, 臂痛(비통), arm pain)을 

방사(emanation),

확산(diffusion) - 

    뻗치게(퍼지게) - 합니다.

 

   (* 어깨관절 아래의 팔(상완부)이 무겁고, 저리고, 결리고, 뻐근하며, 쑤시는 통증)

 

  

또한, 견(어깨)관절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견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

  
(contracture pressure)은
주관절(팔꿈치관절)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전달 - 장력의 분배

  
(sharing of tensional force) - 하여 
주관절낭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유발시킴으로 인해, 팔꿈치관절

   (elbow joint)을 무겁고,
부드럽지 않고, 뻣뻣(뻐근)하게 하며

팔꿈치(엘보우) 통증(저림, elbow pain)

 

  

나타나게 합니다.


③ 주관절(팔꿈치, 엘보우) 통증은 전완부(前腕部, 아랫팔,특히 尺骨 골막부위 / 골프엘보우 시에는 주먹을 

    쥘때 장요측수근신근 부위가 땡김)로 통증을 방사, 확산합니다.

 

    또한, 주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손목관절(완(腕)관절, wrist joint)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전달 - 장력의 분배 - 하여 손목관절낭 보상적(이차성) 구축

    유발시킴으로 인해 손목통증(wrist joint)이 나타나게 합니다.


④ 손목통증은 손등(손바닥)으로 통증을 방사, 확산합니다.(* 과사용(overuse)으로 인한 골간근 tendon의
 
    구축도 통증의 원인이 됨)

   
   
또한, 손목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압력
손가락 관절(finger joint)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전달 -
장력의 분배- 하여 손가락 관절낭
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유발시킴으로 인해 손가락 통증

  
(finger pain), 저림증(numbness)
나타나게 합니다.

 

   [* 특히 (3),4.5指(약지와 새끼 손가락)의 통증과 저림증(* 사각근 tendon의 구축으로 인한 

      
방사통으로도 유발됨) 이 나타남 ]

以上의 인체 상지부(上肢部)통증의 장력분배(유주) 경로(line)逆順(손가락, 손목의 과사용(overuse)

등으로 인함)의 病機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以上의 설명들의 보충은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견비통(어깨(관절),팔통증/ 쑤심,결림,뭉침,저림)의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의 구축

(굳어짐,contracture)





通常(통상) round shoulder(둥근, 굽은 어깨), wing scapula(굽은등, 견갑골의 전방경사),
흉추후만증

(버섯증후군)등 체형의 변형(비틀림, strain)과 연계되어
목, 등(견갑골 내측연,
어깨쭉지), 가슴통증

동반하여 나타나며,
어깨와 팔 부위가 무겁고,저리고,뻐근(뻣뻣)하며,
잘 뭉치고, 결리고, 쑤시는 통증

장기간 잘 낫지 않고 慢性的으로 지속되는 만성 견비통(慢性 肩臂痛)의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

(soft tissue)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에 대해 정리합니다.

 

(* 견비통의 일반적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의 구축[*근막통증(동통)증후군]에 대해서는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1. 만성 어깨통증(무거움, 뻐근함, 뭉침, 결림, 쑤심, 肩痛, 견통, chronic shoulder pain)

 

-  경추 6번(C6)에서 흉추 3번(T3)까지의 深部부척추근(횡돌극근) 中에서 극돌기 기저부에 부착하는

    다열근(multifidus muscle)과 
회선근(rotator muscle) tendon(건, 힘줄)과

그 부위의 척추 후관절

   (facet joint)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의

구축압력

   (contracture pressure)이 옷이 걸쳐지는
(coat hanger) 어깨부위 근육인 승모근 상부섬유의 후부

   margin
그 밑(deep)의 후사각근
근복 부위

방사(emanation), 확산(diffusion) - 뻗쳐서(퍼져서) -

   되어서
어깨가  무겁고, 뻐근(뻣뻣)하고, 잘 뭉치며, 결리며, 쑤시는 증상만성 어깨통증이 유발됩니다.

(* 어깨 체형(골격)의 변형(* round shoulder/ 굽은(둥근)어깨)으로 유발되는 (중)후사각근 근막과

    tendon의 (단축)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도 어깨통증이 나타날수 있음)

(*구축된 上記조직이 뼈와 같이 느껴져서, 늑골로 인지(오진) 될 수 있음)


2. 만성 팔통증

 

  (어깨(견)관절 통증, 어깨(견)관절염, 臂痛, 비통,

chronic arm, shoulder joint pain)

- 주로상완(arm)의 후부(뒷부위, posterior region)인 삼각근 후부(어깨관절의 후부)에
통증이 나타나고,

   어깨를 움직일시에 견관절에서
소리(염발음, 마찰음, crepitus) -  견관절이 비껴져서 어긋나게 맞추어진



   상태인 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으로
유발됨 - 가 나며 

오십견(五十肩)증상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과 
유사하게
견관절(어깨관절, shoulder joint)을
외회전(만세 부르는 동작

  (윗옷을 벗는 자세),
팔을 뒤로 뻗치는 동작등),
내회전(팔을 뒤로 돌려서 등에 대는 동작, 브래지어 끈을

   잡는
동작등) 하는 동작시에 관절이 부드럽지 않고 뻣뻣해서 툭툭 걸리고, 통증이 일어나서 완전한 운동이

   안되는 견관절 운동장애
(disorder)까지 나타나는

만성 팔통증(어깨관절통증)은,


① 어깨통증을 일으키는 조직들인 C6 ~T3 부위의 다열근, 회선근 tendon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의

   
구축압력이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견관절로 전달하여[장력의 분배(분산)]

견(어깨)관절낭

    (joint capsule)의 보상적(이차성)구축을 유발하여 나타남


② 장기간 지속적인 어깨의 과사용(overuse), 자세불균형(불량), 정신적인 스트레스등으로,

어깨(관절)에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부담, overload)를 주게되면
견(어깨)관절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最深部

    연부조직(soft tissue)인 
견관절낭(joint capsule)이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 contracture)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누적(累積)되어져서,인체 활동시에
이 조직이 압박, 자극되거나,
구축압력

    상완(arm)으로 방사, 확산되어 
만성 팔통증(어깨관절통증)이 유발됩니다.

 

    (* 어깨관절 아래의, 팔(상완부)이 무겁고, 저리고, 결리고, 뻐근하며, 쑤시는 통증)


(* 삼각근(견봉)하 점액낭(subdeltoid acromial bursa)의 구축도 일부 원인으로 작용함)

 

(* 견관절낭과 연계(connection)되어 있는 팔꿈치(주관절)와 손목(완관절), 손가락의 관절낭에도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어 보상적 구축이 유발됨에 의해
팔꿈치, 전완부(아랫팔),

손목, 손등(손바닥), 손가락 통증

    (저림증)이 나타날 수 있음)



[* 업무등으로  어깨관절(팔)을 가슴쪽으로 모으는 자세를 습관적, 지속적으로  많이 하는 

(과사용,

     overuse
 / 만성 과부하) 사람들은  round shoulder(굽은,둥근어깨/ 견관절에서
상완의내회전)

     자세 어깨체형의
변형(strain)이유발되어 (중)후사각근 근막과 건(힘줄)이 손상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 
만성 어깨통증이 나타나고, 어깨(견)관절낭(joint capsule)이

손상을 받고  前部(전부) 어깨관절낭은

     단축구축 , 後部(후부) 어깨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어깨관절통증이 나타나며,

     등(흉추/ 굽은등)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은 신장구축 되어
만성 등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됨 

-

     만성 목통증 연계되어 자주 나타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