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항강증(뒷목(골)땡김,뻣뻣함),경항통((뒷)목통증,뻐근함)의 근막이론

관점(fascial viewpoint) 

 

 

 

 

 

 

 

목의 연부조직(soft tissue)들이 (과)긴장,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 손상(injury)을 받고 구축

(굳어짐, contracture)된 결과로 유발되어져서,
뒷목(골)이 땡기면서 뻣뻣한 증상인 항강증(項强症,

neck stiffness)과 
목이 뻐근하게 아픈 증상인 항통(頸項痛/ cervical, nuchal pain)이 

만성적으로

잘 낫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는 사람들은

 

(*通常的(통상적)으로, (경추)디스크라고 진단됨)

 

[* 지속적 과긴(hypertonia) 누적(累積) - 만성 과부하(choronic overload)]


경추관절이 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되어 목을 움직일때에(돌리거나, 굽히거나, 제낄시, 옆으로

눕힐시) 
소리(염발음, 마찰음)가 나며 경추가 부드럽지 않고, 불편하며, 통증이 일어나서 완전하게 동작이

안되는 목 운동의 장애(R.O.M장애)가 일어나고,


뒷골(후두골
)이 무거우며, 땡기면서 아픈 통증
후두통(심한 경우에는 측(편)두통, 전두통(이마부위)까지)

증상이 동반되며 - 어지러움증인眩暈(현훈)도 유발될 수 있음 -

 
어깨부위(윗옷이 걸쳐지는 승모근 상부섬유의 후부 margin과 그 밑(deep)의 후사각근 부위) 

까지도 

통증이  방사,확산
되서 - 뻗쳐서(퍼져서) - 어깨통증이 동반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원인을 근막이론적 관점에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通常的으로, 상부경추에서는 2번 ~ 4번경추/ 하부경추에서는 7번경추 ~ 1번흉추의 연접부,

   
3번흉추(T3)까지 에서 好發함 )

 

① 목의 가장 깊은층(심경근, deep cervical muscle)의 외측(外側筋)에 위치한 사각근(scalene muscle)과
 
    경추 횡돌기에 부착하는 견갑거근, 경판상근, 최장근,
건(힘줄)의 구축(contracture, 굳어짐)으로 인해

    목을 움직일때 그 건(힘줄)에
힘(장력)이 전달되서 나타나는 건(tendon)성통증에 의한 경우



② 경추의 심부(深部)에서 관절돌기간 관절(추간관절, 후관절)을 감싸고(보호하고) 있는

관절낭인대와 

   
관절낭(joint capsule)구축으로 인한 경우

 

   

(* 목 옆쪽을 만져보면 조직이 비후되어, 부풀어 올라와서(bulging) 돌같이 단단한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

 

[* 목통증만성화되면,하부흉추의 관절돌기간 관절낭으로도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이 전달되어

-

   
장력의 분배- 보상적(이차성)구축이 유발됨에 따라 등통증도 동반하여 자주 나타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③ 극돌기 기저부에 부착하는 심층부척추근(횡돌극근)인 다열근(multifidus muscle)과 회선근

   
(rotator muscle) 건(힘줄)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 
-
(* 목을 움직일시에, 목뼈에서 소리가 나며, 

    아픈 통증
(bone pain)인 경추통(cervicalgia)도 유발함) - 으로 인한 경우

 

(* 어깨 체형상(견갑대축)의 문제로, 견갑골 상각에 부착하는 견갑거근의 tendon구축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됨-
되면,

이 근육의 또 다른 부착부인 경추횡돌기(C1-C4) 후결절의 tendon에 압박,

    자극(과긴장)을 주어, 
어깨통증어깨 운동시에 견갑골(상각)이 불편하며, 툭툭 걸리면서,

가 나는

    증상과  더불어

, 통증이 

할 수도 있음)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