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안내 2024년 가을.png
0.02MB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인체 통증과 저림증에서 척추디스크(추간판탈출증)와 근막통증증후군의 병기적

 

상이점(相異點)

 

침자극술(건인대자극술/ 건인대유착박리술)- 근막침요법

 

 

 

 

 

 

 

척추디스크에 의한 신경근 자극증상과 근막통증증후군에 의한 연부조직의 통증과 저림증(마비감)

 

그 유발되는 병기가 서로 다른 상이점(相異點)이 있습니다.

 

 

척추디스크(Herniated Intervertebral Disc/추간판탈출증)의 병기(病機)는

 

신경근(nerve root)이 압박,자극되어 나타나는 신경자체 즉 신경인적 병증(신경통- neuropa

thy/neuralgia)으로서, 디스크(수핵)탈출에 의해 신경근이 압박,자극되어 그 신경의 유주경로

따라인체통증과 저림증(마비감)이 유발됩니다.(ex.좌골신경통) 

 

 

근막통증(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의 병기(病機)는

 

연부조직(soft tissue)에서 유발되는 근골격계의 병증[근막, 건(힘줄). 인대통]으로서,

 

조직의 병증정보를 신경계를 통해  뇌로 전달하여 인체를 보호(방어)하려는 기전으로 인체의 통증

 

저림증(마비감)이 유발니다.

 

 

손상에 취약한 인체 연접부인 관절(joint) 주위의 연부조직인 인대,관절낭/건(힘줄)구축(굳어

 

짐,뭉쳐짐/ contracture)됨으로 인해 구축압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역학적인 (장력,긴장)

 

이 천층의 근육(근막)과 사지부[*근막적 연계성(선)]로 전달되어 -장력의 분배(분산)- 해당부

연부조직의 긴장과 경(*보상적 구축)을 유발하여 사지부로 뻗치는(퍼지는) 근골격계 통증

-방사통(referred pain)- 나타나고,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은 풍선의 한쪽 면을 누르면,다른쪽 면에 쨍쨍한 긴장이 들어

​   

    가는 것과  같은 원리임 ]

 

 

또한,경직(긴장)된 조직에 의해 혈관이 압박되어 혈액순환장애가 유발되고,말초신경도 압박,

 

장애된 결과로 해당부위가 답답하고 무겁게 느껴지며, 저림증과 마비감이 나타나게 됩니다.

 

 

: 상지부: 목, 어깨(등)- 견관절- 상완부(윗팔)-주관절(엘보/팔꿈치)- 전완부(아랫팔)- 손목관절-
                 

                  손등,손바닥- 손가락의 통증과 저림증(마비감)

 

 

      하지부: 허리- 골반(장골능)- 엉덩이(천장관절)- 고관절- 대퇴부(넓적다리),사타구니(서혜부)-
                   

                   슬관절(무릎,오금)- 하퇴부(정강이,종아리)- 발목관절- 발등,발바닥- 발가락의 통증과
                   

                   저림증(마비감)

 

 

디스크의 진단은 척추를 사진으로 촬영해보고 분석하는 시진(視診)-사진판독-으로 가능하지만 

 

근막통증증후군의 진단은


의사의 “손”으로 세밀하게 만져봐서 연부조직의 구축된 압력과 경직(긴장)된 장력의 정도를 감각

 

로 가늠해 내는 촉진(觸診)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서는 체득을 통한 숙련(熟練)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염기룡 한의원에서는 근막침요법(Myofascial Acupunture Treatment)이라는

 

   고난도 테크닉을 필요로 하는 침요법을 시술하여서,굳어져 있는(구축/contrac

 

   ture) 근막과 인체 심부(深部)의 건(힘줄)과 인대 -특히 최심부에 뼈나 돌같이

 

   딱딱하게 유착어 결절(nodule)이 형성된 조직의 완고한 구축부위-    

 

  “손"로의 촉진(觸診)과 자침후에 침끝에서 느껴지는 정교한 침촉감(鍼觸感)통해

 

   하나하나 세밀하게 찾아내어서 침자극(침을 뺐다 꽂았다 반복하는 작탁법)주어

  

   유착된 상기 조직 가닥들을 분리(박리),​이완시켜줌(풀어줌) 으로써,

  

   원래의 부드러운 조직 상태로 복원하여 줍니다. 이러한 원리의 치료법을 통하여 통증의

 

     근본원인을 해결해 주는 근본치료료효과의 극대화추구하고 있습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  근막침 시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  ◈◈
(몸의 변화 과정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반응)



  1) 자침 후 산통
  

   ⇒ 자침 시에 자극이 강하기에 그 여운으로서 침 맞은 부위에 뻐근함, 얼얼함, 욱신거림, 우리

       함, 아림 등의 통증이 수일에서 수주동안 남아 있습니다.

 


  2) 이차성 통증의 발현
   

통증이 심했던 부위가 치료되면서부터 평소에 느끼지 못했던 다른 신체 조직에서 통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마치 칼에 찔린 자리가 나아지고 나니 바늘에 찔린 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것과 같이,

    증의 상대적 편차로서 환자가 느끼는 증상입니다.


조직 재배열 과정상 나타나는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 아래 3)번 항목 참조

  


  3) 통증강도의 일시적 증가 또는 없던 통증의 발현
 

치료부위의 조직이 풀어지면서 그 주변부의 통증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조직 재배열 과정상에서 압력이 일정 부위로 몰려서 주변부의 경직(구축)이 가중되어

    통증강도가 일시적으로 증가되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꼬인 실타래가 풀려나가는 과정에서  

    그와 연결된 다른 지점에서 뭉침이 생기는 것처럼, 압력의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시술부위의 조직형태(질) 중 뼈나 돌같이 느껴지는 딱딱한 층(심부의 문제조직으로 치료시

   증이 적은 층)이 치료를 통해 유연한 층으로 변화되고 자가 치유되는 과정상에서

   일시적으로 통증의 강도가 증가되거나 없던 통증이 나타나는데, 이는 일종의 명현현상

    으로서 ‘호전되고 있다’는 조직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 조직재생과정(재배열과정)

   

※ 고관절 통증 환자의 경우에는 상기증상이 최대 3개월까지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4) 신체 원위부에서 나타나는 ¹이차적 증상의 발현과 ²기존증상의 변화
 


치료 시의 침 자극에 의해 장력긴장선을 따라서 방사통이 오거나 긴장성 힘이 들어가면서

    원위부 신체부위에 이차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 : 통증, 뭉침, 땡김, 경직감, 압박감, 따끔거림, 저림증, 둔마감, 열감 등의 다양한 형태)

 

   이는 조직이 순간적(반사적)으로 수축한 결과, 기존에 잠재되어 느끼지 못했던 부분의 조직

  경직(구축)이 가중-활성화되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조직 재배열(체형의 변화/정복) 과정상 나타나는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 위 3)번 항목 참조

  


  ☞  근막침 시술 후, 자극된 조직에서는 재생과정(재배열과정)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상

       기의 증상들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치료적 관점에서 대부분 긍정

       적 현상으로 받아들여집니다.

  

  ☞  위에 명기한 증상들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사라지는 증상으로서 각각
      발현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알려드립니다.

 

 

 

 

 

※  위와 같은 이차적 통증으로 인해 환자분들께서 드물게 신경손상에 대한 걱정을 하시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중요 신경에 일차적 접근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침 치료 도중에 몸의 조직이 떼어져나가는 느낌과 함께 뚝뚝 소리가 나기도 하는데, 이는 뼈나

      돌같이 딱딱하게 유착되어 굳어진 병리적 조직을 풀어내어(이완-유착박리) 원래의 부드러운 조직

    상태로 재배열 시키는 과정중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인대나 힘줄, 근막을 손상시키는 것이 아님.

  

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이나 일시적으로 증가된 통증은

 

대부분이 침시술시의 자극으로 인한 일시적 수축 때문임을 알려드리며,

 

이로 인해 치료를 중단하거나 치료의 방향을 의사와의 협의 없이 전환하고자 하는 것은

 

환자의 치료에 혼선을 주고, 치료자의 치료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시술 후 주의사항 ◈◈

 

 ⇒ 치료 후, 침 맞은 자리에 4시간 이내로는 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치료 후 침 자리의 산통에 대해 온열 팩으로 자주 이완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치료

     부위의 조직이 재배열 되는 것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통증의 완화에도 효과적이기 때

     문입니다.

 

 ⇒ 치료부위에 대해서 아프다고 쓰시지 않거나, 반대로 과도하게 사용(무리를 줌)하시게 되면

     도리어 문제 조직으로 되돌아가려는(복원력)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저 일상적인

    움직임을 편안한 마음으로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적당한 움직임은 치료부위의 적응력

     을 높이는 결과로 나타납니다.

 ⇒ 또한 중요한 것은, 의사에 대한 신뢰와 환자의 긍정적 마음가짐입니다.

 

 

 

'한의원소개 > 진료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기룡한의원 진료안내  (0) 2024.09.28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