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념적으로 체계화된 이론(개념)을 통한 근골격계 통증질환 분석의 허구

 

 

 

 

 

 

 

 

 

 

양방 학문의 반감기가 5년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이 문제는 인간 본질에 대한 완벽한 결론이 나오기

전 까지는...
시간이 지나 연구가 더 많이 된다고 하더라도.. 어느누구도 확정 지어서 말할수 없는 근원적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의학을 하는 의사가 근골격계 통증질환 치료에 있어서 체계적인 이론(개념)을 가지고 접근 하는것은 물론 중

요합니다.

 

그러나, 어떤 개념이라는 것이 논리적(통계적 평균치에 근거 했더라도..) 이라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절대적으로, 실제(reality)를 반영하고, 대변하지는
않습니다.

 

 

때문에, 臨床家가 통합적, 유기적, 삼차원적으로 기능(function)하고, 복합적으로 움직여 나가는 인체를

기계와 같이 
일정 틀에 맞춰 규정화, 정형화, 公式화 시키려는 관점에... 구애받고, 얽매이게 되면, 관념적인

허구
(허상)와 가설에 치우치게 되고, 그 관념은 환자 치료시에 제약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누차 경험 하였고,

 

지금도 우리는 상당 부분 이러한 오류를 가지고 공부하고, 병증을 분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인체는 생명체로서, 판에 박은 똑같은 사람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규정화 될 수 없고,

때문에 임상을 하는

의사
환자 case 對 case 방식으로의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 됩니다.

 

본질에 대한 의문은, 오랜세월 동안 고민하고, 노력을 해 오면서도, 명확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고...


앞으로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달고 가야할 문제라고 사료됩니다.

 

 

以上과 같은 관점에서, 근골격계 통증질환임상적 care point 로서, 환자조직 촉지(palpation)의

민감도(sensitivity),
즉 조직을 만져봐서 진단하고, 분석하는 觸診(felt sense)이 중요시 된다고 할 수 있습니

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증(Pain)의 개념과 이해

 

 

 

통증(Pain)은 고도로 발달된 뇌를 갖게 된 생명체가 반드시 지불해야 하는 대가이며 전선과도 같은

신경계(nervous system)라는 정보전달체계를 통해서(따라서) 통증정보(자극)를 뇌 "(brain)에서 인지하고

느끼는 것입니다.

 

 아프다는 통증(Pain)은 결국 조직이 손상(injury)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sign)이고 질병이나 장애가

아니며 우리몸이 위험상황에 놓여있다는 것을
알려주어 더 큰 위험으로부터 대비하게 하는 인체의

보호(방어)작용 입니다.

 

통증(Pain)은 신체적 통증은 물론 정신적 통증으로 까지 확대해석 될 수 있습니다.

객관적인
통증의 증후(sign)나 강도는 존재하지 않고 다만 통증을 받아들이는
개개인의 주관적인

느낌(feelig)이나 감성(emotion)에 의해 좌우됩니다.(결정됩니다)

바늘에 찔려서 아픔을 느끼는 사람의 고통이 칼에 베어서 아픔을 느끼는 사람의 고통보다도 크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사람은 자기자신이 겪는 아픔(통증)의
고통이 가장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려도

무리가 없어보입니다.

다음은 이용채 시인의 「 내 고통이 가장 크다 」中에서 발췌된 글입니다.


『 내 고통이 가장 크다

   
누군가 나보다 더 큰 고통으로 아파한다 해도

   
그 고통은 그의 고통일 뿐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염기룡 한의원 홈페이지(http://www.giryong.com)연결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 염기룡한의원 오시는 길

 

주소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장안로 75번길 42(정자동 74-34), 정자시장 입구 2층

           

대표전화    031-243-6878    팩스  031-243-6879


 

기   차       수원역 광장으로 나와서 택시로 10분 정도 소요됩니다.

 

 

지하철      1호선 화서역 5번(상행선),6번(하행선) 출구 서호생태수자원센터 앞에서

                (화서2동주민센터 정류장) 버스로 5분/ 택시로 3분 정도 소요됩니다.

                (*버스번호: 37번,39번,5-4번,55번,92번- 3개 정거장 경유)

 

                1호선 수원역 7번 출구에서(AK프라자 정류장) 버스로 25분/ 8번 출구에서 택시로 7분

                          정도 소요됩니다.(*버스번호: 37번,92번- 15개 정거장 경유)

 

시외버스   수원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버스로 25분/ 택시로 15분 정도 소요됩니다.

                (*버스번호: 64번- 17개 정거장 유)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경기중소기업성장센터 정류장에서 버스로 15분/ 택시로 7분

                정도 소요됩니다.(*버스번호: 37번,92번- 8개 정거장 경유) 

 

           * 정자종합시장 정류장에서 하차하여,시장입구 2층 염기룡한의원 찾아오시면 됩니다.


직행버스    사당역(4번 출구) 버스정류장에서 7780번 직행버스를 타고 동신아파트 정류장에서 92번

                  버스로 환승 (*47분 정도 소요),정자종합시장 정류장에서 하차하여(*5개 정거장 경유),

                  시장입구 2층 염기룡한의원 찾아오시면 됩니다.(* 총 1시간 정도 소요)

 

                 잠실역(1번 출구) 버스정류장에서 1009번 직행버스를 타고 경기도립수원의료원,

​                 두견마을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5분거리의 시장입구 2층 염기룡한의원

                 찾아오시면 됩니다.(* 총 1시간 35분 정도 소요)

 

            [ 강남,분당,용인등 그외 지역에서의 직행버스를 통한 경로는 수원역 중심으로 가늠함

                - 강남권직행버스:3000번/ 분당직행버스:720번,720-1번(*지하철 분당선)/ 성남직행

                   버스:2007번/ 용인직행버스:66번,66-4번/ 의정부,구리직행버스:8401번,8409번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근막발통점(Myofascial Trigger Points)의 형성과

 

근막통증(섬유근통,근막동통)

증후군의 원위부 증상인 방사통발현기전

 

침자극술(건인대자극술/ 건인대유착박리술)- 근막침요법

 

 

 

   

정신적 스트레스, 자세불량(자세 불균형)이나 근육(근막)의 과사용(overuse) 등은 근육(근막)

 

에 긴장과 장력(과부하)이 걸리게 하며 이러한 역학적 스트레스(압박)가 장기적으로 지속(만성

화)되어 누적되다 보면,근막들이 손상을 받아 유착(서로 들러붙음)되고 변형(비틀림)이 일어나

서 근육의 탄력성을 잃고 굳어지게(구축) 되며,통증원발성 부위(시작점)인 근막발통(통증

 

유발점,압통점/Myofascial Trigger Points)​활성화되어 근골격계 통증질환대부분차지

 

하는 근막통증(섬유근통,근막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을 유발합니다.

그리고 근육(근막)에 걸린 장력(긴장)은 연속해서 인체근막의 연결선(line,주행경로)근막경

(myofascial meridian) 따라서 전달(역학적인 힘의 전달)되고, 근육(근막)에 걸린 과부하

(overload)인체 근막계 전체에 걸쳐 분배(분산)되어 집니다.

 

 

또한, 인체 근막계는 분배된 부하에 반응하여 적응(안정성/stability을 유지)하고 상쇄적인 균형

(balance)을 이루기(유지하기) 위해 스스로의 위치와 배열상태(형태)를

다시 정렬(재정렬,재열/rearrangement) 시킵니다.(변형,비틀림/strain)

 

 

이 과정(재배열 과정)에서

 

 

첫째로, 부하에 취약한 근막 배열상태(형태)를 가지고 있던 인체 부위가 긴장하고 손상을 받아

 

근막발통점(통증유발점/Myofascial Trigger Points)과는 떨어져 있는 부위로 뻗치는(퍼지는)

 

통증인 방사통(전이통/Referred Pain/근막통증증후군의 원위부 증상)이 발현니다.

 

 

두번째로, 근육(근막)의 보상적(방어적)구축으로 이차성(원격성) 근막발통점형성됩니다.

 

 

 

 근막발통점(통증유발점)과 방사통의 例

 

 

 

 

 

 

  염기룡 한의원에서는 근막침요법(Myofascial Acupunture Treatment)이라는

 

   고난도 테크닉을 필요로 하는 침요법을 시술하여서,굳어져 있는(구축/contrac

 

    ture) 근막과 인체 심부(深部)의 건(힘줄)과 인대 -특히 최심부에 뼈나 돌같이

 

    딱딱

하게 유착

어 결절종(ganglion)이 형성된 조직의 완고한 구축부위-      “손"로의 촉진(觸診)과 자침후에 침끝에서 느껴지는 정교한 침촉감(鍼觸感)​        을 통해

하나하나 세밀하게 찾아내어서 침자극(침을 뺐다 꽂았다 반복하는 작탁

 

 

    법)주어 유착된 상기 조직 가닥들을 분리(박리),​이완시켜줌(풀어줌) 으로써,

 

    원래의 부드러운 조직 상태로 복원하여 줍니다. 이러한 원리의 치료법을 통하여        통증의 근본원인을 해결해 주는 근본치료료효과의 극대화추구하고 있습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근막과 근육의구조(organization)





근막(筋膜, myofascia)은 그 깊이층의 level에 의해서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표층근막(피하층, superficial fascia)이라는 지방성 결합조직에 의해 피부와 하부의 조직이

연결(join)되어지고, 
심부근막(deep fascia)이라는 섬유성 결합조직에 의해 골격근(skeletal muscle)의

내부 및 주위는 보호되고, 지지받고, 분리되어 있습니다.

 

심부근막근내막, 근주막, 근외막으로 나뉘어져 있고 지방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1. 근내막(endomysium)

 

근육의 기본적인 구성 단위(unit)인 수많은 근섬유(muscle fiber, 근세포)가닥들은 각각 근내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습니다.


2. 근주막(perimysium)

 

근섬유 가닥들의 묶음(다발, bundle)인 근속(筋束, fascile)은 근주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습니다.

 
3. 근외막(epimysium)

여러개의 근속들이 모여서 근육(근복, muscle belly)을 형성하며, 근외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습니다.

 

근육(근복)을 둘러싸고 있는 근외막(힘줄, tendon)이 되고, 골막(periosteum)에 부착(골부착부,

bony station, teno-periosteal junction)하여
근육이 수축하여 힘을 쓰게 합니다.

 
< 심부근막과 골격근 구조의 圖式 >

 

 

< * ficture source(出處) - ciba collection, musculoskeletal system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근육들의 작용방향은 " 근막 " 에 의해 결정된다 - 근막통증증후군





근육(근섬유 가닥)은 포장지 처럼 수많은 근막들 속에 싸여 있으며 근육들의 작용 방향은

 
근육들을 싸고 있는 근막들의 결(배열상태, grain)과 두께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모든 근육들의 명칭은 사실 근막들의 명칭입니다.

 

※ 참고문헌 : Anatomy Trains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견관절 운동의 기전[Shoulder Movement(Arm Elevation)Mechanism]





* 상완골 운동과 견관골 운동의 2 : 1ratio (비율)

 

1. 90 ˚ : glenohumeral joint motion(관절과 상완관절운동) - 견관절에서 상완의 외전(abduction) -

            
극상근 삼각근 중부 

2. 60 ˚ : scapular rotation(관절와(glenoid cavity)의 상방회전) -
견관절에서 상완의 거상(elevation) -

           
전거근

3. 마지막 30 ˚ : humeral adduction(상완의 내전) - 견관절에서 상완의 내전(adduction) - 대흉근,

                       오훼완근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관절통증(관절염)을 유발하는 인체 장력의 전달경로와 분배기전

 





신체의  특정부위와 조직에 압력(pressure), 즉 역학적 스트레스(압박)와 과부하(overload)

加(가)해지게 되면, 그 근처 或은 떨어져있는
원격성(distant)부위에 필연적으로(자연스럽게)

 

장력(張力,tensional force)이 생겨서, 그 압력을 흡수하고 분배(분산)시키게 됩니다.

 

 

[* i) 장력 긴장선(tensional line)이형성되어,인체의 여러부위로 장력의 분배(分配)이루어짐

 

    ii)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전달에 의해, 여러조직의 보상적구축이 유발됨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이러한 장력의 분배(sharing of tensional force)는 인체에서 부하(부담, load)를 많이 받는 곳인  연접부

(junction region),
관절(joint) 따라서 이루어지므로,

 

 

[* 가장 손상(injury)을 많이 받아, 구축된 관절을 더 이상 쓰지 않아 보호하기 위한 인체 보상작용 관절에

    통증이 있으므로,쓰지 않기 위해
(반사적으로) (체형,골격,관절)비틈으로 다른관절을 사용하게 되어 
   

    代用된 관절의 보상적(이차성) 변형과구축을 유발함]


관절(joint)과 주위 연부조직(深部조직,soft tissue)의 손상(injury)에 의한 비틀림(변형,strain)구축

(굳어짐, contracture)을 유발하여,
관절 line(경로) 연쇄(연)으로 만성관절통증(관절염, chronic joint

pain)
을 일으키게 됩니다.

 

 

以上과 같이 관절 따라서 이루어지는 장력의 전달과 분배경로(line)上肢部에서는 견관절

(glenohumeral joint)
→ 주관절(elbow joint)
→ 손목관절(wrist joint) 손가락관절(finger joint) /

下肢部에서는 고관절(hip joint) → 슬관절(knee joint) 발목관절(ankle joint) → 발가락관절(toe joint)

順으로 전개되어지며, 이와 같은 인체 관절경로(line)의 순서(흐름)대로, 장력(tensional force)이 인체

곳곳의 여러 관절(joints)
분배(分配)되면, 관절주위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구축(굳어짐,

contracture)
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는, 多數의 관절이 유기적, 복합적으로 연계(connection)되어져서,

 

장기간 만성적으로 잘 낫지 않으며, 관절이 무겁고, 부드럽지 않고, 뻣뻣(뻐근)하며 아픈 증상인  만성 관절

통증
나타납니다.

 

(* 逆順으로의 장력분배와 病機도 물론 가능함)

 

 

세부적인 관절통증의 병기(病機,pathogenesis)를 설명드리면서, 문건을 정리합니다.

 
下肢部의 고관절(hip joint) – 上肢部는 견관절(glenohumeral joint) – 장력(tensional force)

전달되
, 주위 연부조직(深部조직)들이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 contracture) 되어지면,

덩이(골반)통증(Buttock pain) – 上肢部는 오십견, 어깨관절통증(shoulder joint pain)이 유발되고,

 

[* 요천추 연접부(L5-S1 junction), 경흉추 연접부(C7-T1 junction)부터 먼저 病機가 전개되어져 다열근,

    회선근 tendon/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
의 구축압력이 ()관절의

    보상적 구축을 유발할 수도 있음],(*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관절 주위 연부조직의 구축압력으로 인해 엉덩이(어깨관절)부위에서 방사(emanation),

확산(diffusion)되는 통증으로서,
대퇴부(다리)의 통증 上肢部는 상완부 ()통증 이 나타나게 됩니다.

(*
블로그 內 좌골신경통(요각통), 오십견 관련문건 참조)

 

 

이어지는 病機로서 고()관절 연부조직(soft tissue)들의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슬관절

(knee joint) –
上肢部는
주관절
(elbow joint) – 장력을 전달하여,
주위 연부조(soft tissue)들의 보상적

(
이차성)구
을 유발시켜
슬(주)관절을 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되게 하므로, 결과적으로는

릎, 팔꿈치[슬(주)관절]가 무겁고,부드럽지 않으며, 뻣뻣(뻐근)해지고, 소리가 나며, 무릎(팔꿈치,엘보우)

통증
이 나타나게  됩니다.

 

 

무릎(팔꿈치)통증이 유발되면, 슬(주)관절 주위 연부조직의 구축압력으로 인해 무릎(팔꿈치) 부위방사,
확산
(뻗쳐나가는, 퍼져나가는)되는 통증으로서
하퇴부의 정강이(종아리)통증 上肢部는 전완부(아랫팔)

통증
이 일어납니다.

 

 
以上과 같은 형태(양상)로 해서,

 

발목(손목)관절, 발가락(손가락)관절과 주위 연부조직들의 보상적(이차성) 비틀림과 구축 또한 일어나게

되어,
발목(손목), 발가락(손가락)통증연쇄()으로 유발됩니다.

 


(*
발목(손목)관절 주위 연부조직의 구축압력으로 인해 방사, 확산되는 통증으로서
발등(손등), 발바닥

   (손바닥)증도 나타남)

 

( * 골간근 tendon의 구축도 통증의 원인이 됨)

 

 
[*上記한 모든관절들의 만성통증 해당관절의 장기간 과사용(overuse),자세 불균형(불량) 등에 의해서

    주위 연부조직(심부조직)이 손상(injury)을 받아
구축된 상태가 누적(累積)되어서도 유발됨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