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팔꿈치(골프엘보, 테니스엘보우/ 주관절)통증(땡김,저림)을 유발하는 팔꿈치

 

관절낭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골프를 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서 골프엘보우 라는 질환명 으로도 잘 알려져 있고, 팔꿈치

(엘보우,elbow)를 많이 사용(과사용, overuse)하는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나며, 주먹을 쥐는 동작

(*악수)/ 팔꿈치를 굽히거나, 펴는동작 /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전완(아랫팔, forearm)을  안쪽, 바깥쪽으로


돌리는(비트는)동작
(회내,회외)
(* 행주나 걸레를 짜는 동작, 병뚜껑을 따는 동작등의, 관절(肘關節,

팔꿈치관절,elbow  joint)에 힘(압박)이 들어가는 활동에 의해, 유발
되어져서, 꿈치가 무겁고 , 땡기고,

저리며, 드럽지 않
고, 뻣뻣(뻐근)하게 아픈 통증이 
나타나는  꿈치(엘보우)통증 -상완골 내.외측

상과염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의  방사통(referred pain)



② 엘보우통증 부위인 상완골 내.외측 상과에 부착하고 있는 여러개의 힘줄(건, tendon)들인
공통 신근,

    굴근 건(common extensor, flexor tendon)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

(* 상완근 tendon구축되면, 팔꿈치를 굴곡,신전(굽히거나 펼때)시에, 이 건(힘줄)이 압박,자극되어

    외측상과 위의 상완골(팔)부위통증이 유발될 수 있음)

 

③ 주관절의 측방탈구를 방지해주어,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는 내.외측(척측, 요측)측부인대

    (collateral ligament), 팔꿈치 관절낭을 위에서 감싸서
보강해주고 상요척 관절을 형성하고 있는

   
윤상인대(Anular ligament)와 그 밑(deep)에
위치한 방형인대(quadratus ligament)의 구축

[* 윤상인대, 방형인대와 그 밑(deep)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요척 관절낭구축은  

 

antecubital fossa pain

    (전주와 -팔꿈치앞쪽의 쏙들어간부위-
통증)을 유발시킬수 있음]



以上의 3가지 원인으로 유발 됩니다.
(* 블로그 內 엘보우통증문건 참조)

 

반면에, 엘보우(팔꿈치)통증이 잘 낫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는 만성 팔꿈치(엘보우)통증

조직 中에 가장

심부(深部)에 위치하여
팔꿈치 관절을 보강, 지지하고 있는

팔꿈치 관절낭(joint capsule)의 섬유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어(유착, adhesion)
구축(굳어짐,contracture)-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됨으로

인하여 나타납니다.

 

(* 어깨 관절낭이나 손목 관절낭의 구축(통증)이 만성화되면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이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팔꿈치로 전달되어
보상적(이차성) 팔꿈치 관절낭의 구축
유발될 수 있음)

 

설명드린 바와 같이, 팔꿈치 관절낭구축으로 인해 만성 엘보우(팔꿈치)통증이 유발되면, 행주,걸레를

짜거나, 병 뚜껑을 돌려서 따거나,
악수를 하거나, 주먹을 쥐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때 등의 팔꿈치에 힘

(압력, 압박)이
들어가는 동작을 할때에, 꿈치 관절낭(주관절낭)이 압박,자극되어  팔꿈치에 

甚(심)한 통증
(뼈까지 시큰하게 아
픈 느낌) 이 나타나며,

 

(* 팔꿈치 통증이 방사, 확산되어 전완부(아랫팔)의 장요측수근신근 근복이 땡길수도 있음)

 

주관절(肘關節)의 완전한 굴곡, 신전이 안되는 관절운동의 장애(disorder)까지도 동반된 결과,

팔꿈치를

굽히거나, 펼시에도
  마찬가지
통증을 일으키며, 꿈치가 무겁고,저리며, 드럽지 않고 

뻣뻣(뻑뻑)하며,

뻐근하면서 아픈 통증
이 나타나게 되며, 또

한 관절낭의 구축(유착)압력으로 인해  인장력(引張力,

tensile force)이 작용하여,
팔꿈치 관절을 탈구(subluxation),고정(fixation)시키므로  팔꿈치를

직일시에,
주관절에서 소리도 나게 됩니다.

 
[* 팔꿈치에 힘(역학적 스트레스)이 들어가는 동작을 할때에

,구축되어 있는 팔꿈치 관절낭이 압박,

    자극되어

 팔꿈치(엘보우)통증 나타남 ]

 


[* 팔꿈치(주관절) 관절낭의 구축압력은 상완하부(윗팔아래)나 전완상부(아랫팔위)로

방사, 확산 - 뻗쳐서,

     퍼져서 - 되어 그 부위의 통증(땡김)을 유발할 수 있음 ]


[* 팔꿈치 관절낭의 구축압력은 위로는 상완이두근(이두박근),상완근,상완삼두근(삼두박근)/

아래로는

    상완요골근,장장근,수근굴근 부위로 방사, 확산되어
상완부(윗팔)통증(땡김)과 전완부

(아랫팔)통증

    (땡김)이 유발될 수 있음 ]

 

 

 

 

 

 

< * 그림 출처: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팔꿈치통증(골프엘보/ 테니스엘보우)과 기능장애의 근막이론적 관점(fascial viewpoint)







팔꿈치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 골프, 테니스, 업무 특성상의 과사용(overuse)]에게 주로 나타나는 

팔꿈치(주관절,엘보우)통증은  물건을 들때, 행주나 걸레를 짤때,
악수를 할때, 병 뚜껑을 돌릴때 등과

같이 팔꿈치(주관절)에 힘이 들어가는 동작시에
상완골 내,외측상과 부위에 통증(* 상완골 내,외측상과염,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지만, 주관절(팔꿈치)을 굽히거나 펼시에,

팔꿈치 뒤의
툭 튀어나온 부위(척골주두, olecranon) 반대쪽으로, 팔꿈치 앞의 쏙 들어간 부위(전주와,

antecubital fossa)에
통증이 일어나는 형태도 흔하게 나타나는 엘보우 증상이며, 상완골 내.외측상과염

(통)과도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관절(팔꿈치) 통증의 원인과 기능장애를 근막이론적 관점으로 정리해 봅니다.


ⅰ) 주관절의 신전근(펴는 근육)인 상완 삼두근 내측두와 주근(Anconeus)의 근막구축(굳어짐)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에 의해 팔꿈치 뒷 부위에
엘보우 통증을 일으킵니다.(* 근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ⅱ) 주관절의 굴곡근(굽히는 근육)인 상완근과 상완 이두근의 근막 구축으로 인한
방사통에 의해 팔꿈치

      앞 부위에 엘보우 통증을 일으킵니다.(*
근막통증증후군)

(* 상완근 tendon구축되면, 팔꿈치를 굴곡,신전(굽히거나 펼때)시에, 이 건(힘줄)이

압박,자극되어,

    외측상과 위의 상완골(팔)부위통증이 유발될 수 있음)

 
ⅲ) 척골주두, 구상돌기와 요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상완 삼두근의 common tendon(공통 " 건 " )과

     상완근, 상완 이두근 건(힘줄)들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해
팔꿈치를 펴거나 굽힐시에 건(힘줄)들에

     힘(압력)이 전달되서(자극이 가서)
엘보우 통증을 일으킵니다.

 
ⅳ) 어깨(회전근개, rotator cuff)와 가슴(소흉근) 근육의 근막 구축으로 인해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이 인체 

      근막(myofascial)의 주행경로(line)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 따라서 그 긴장선(tensional

      line)상에 있는
상완 삼두근, 상완 이두근에서 팔꿈치 뒷 부위와 앞 부위로 전달되서 엘보우(팔꿈치)

     통증을
일으킵니다.

 
以上과 같은 원인으로 유발되는 엘보우 통증이 만성화되면 주관절(팔꿈치) 주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들인 내.외측 측부인대, 요측윤상인대, 방형인대/

주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joint capsule)들

까지도 그 영향을 받아 손상되어
구축(굳어짐)이 일어나며 이로인해 주관절(팔꿈치)의 아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
)이
발생하여 
팔꿈치가
무겁고, 부드럽지 않고 뻣뻣(뻑뻑)하며,주관절의 완전한 신전과 굴곡이

안되는 운동범위의 제한
(Limitation of  R.O.M)까지도

동반되는 보우(팔꿈치)통증 나타나게

됩니다.

 

[* 팔꿈치에 힘(역학적 스트레스)이 들어가는 동작을 할때에,구축되어 있는 팔꿈치 인대와 관절낭

   
압박, 자극되어 팔꿈치(엘보우)통증 나타남 ]

 


[* 팔꿈치(주관절) 관절낭의 구축압력은 상완하부(윗팔아래)나 전완상부(아랫팔위)로

방사, 확산 - 퍼져서,

    뻗쳐서 - 되어 그 부위의 통증(땡김)을 유발할 수 있음 ]


[* 팔꿈치 관절낭의 구축압력은 위로는 상완이두근(이두박근),상완근,상완삼두근(삼두박근)/

아래로는

     상완요골근,장장근,수근굴근 부위로 방사, 확산되어
상완부(윗팔)통증(땡김)과 전완부
(아랫팔)통증

     (땡김)이 유발될 수 있음 ]

 

 

 

 

 

< * 그림 출처: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