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전문]천장관절증후군(통증,관절염/ 엉덩이,엉치내측통증)과 골반(장골능)통증의 유발기전과 연관된 연부조직,근골격계 통증..
엉덩이/고관절/골반통증 2013. 6. 13. 14:45천장관절증후군(통증,관절염/ 엉덩이,엉치내측통증)과 골반(장골능)통증의 유발기전
과 연관된 연부조직,근골격계 통증질환
업무상 오래 앉아서 생활을 많이하거나 허리를 굽히는 자세나 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
(*고관절 굴곡자세)를 많이하는 사람들이 앉아 있을때나, 앉았다 일어날때, 특정동작시등 천장관절부위에
힘이 加(가)해질때에 골반(엉덩뼈,骨盤)의 천골(薦骨,엉치등뼈)과 장골(腸骨, 무명골)이 연결(join)되는
엉덩이(엉치)내측(안쪽)부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천장관절부위의 통증이 나타나서, 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는 천장관절증후군(관절염/ sacroiliac joint syndrome)이 유발되는 기전(mechanism)과
연관된 연부조직, 근골격계 통증질환들을 말씀드립니다.
[* 앉아있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펼시에,허리통증(요통)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① 허리가 아픈 통증이 만성화되면, 요통의 원인이 되는 허리주위 연부조직(soft tissue)들의 구축
(굳어짐,contracture), 특히 장요인대(iliolumbar ligament)의 굳어짐이 甚(심)해져서, 이 인대가 부착되어
있는 바지가 걸쳐지는 부위인 장골능(iliac crest) 후부의 상연(上緣)과 내측연(內側緣)에 nodule
(결절)이 형성되고, 엉덩이 내측부위(천골부위)로 방사통 (referred pain)을 유발하여,
골반(장골능)통증과 천장관절통증이 나타납니다.
[* 대둔근,중둔근,요방형근 tendon(건,힘줄) 구축도 그 부착부위 골반(장골능)통증의 원인이 됨 ]
② 장요인대의 구축압력은 이 인대 부착부와 인접한 부위인 장골조면(iliac tuberosity, 장골의 내측면)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천장관절을 연결(join)해주는 후천장인대(posterior sacroiliac ligament)에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을 전달하여 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유발시킴에 의해 천장관절통증이
나타납니다.
③ 우리가 생활을 하면서, 습관적으로 고관절 굴곡자세(허리를 굽히는자세)를 많이
대퇴골이 전방 경사지는 생체역학도 일부 관여함) 고관절 굴곡근이며, 허리 深部(심부)의 큰 근육인 요근
(psoas muscle)의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과 상부요추가 과다신전(요추전만증,Lumbar Lordosis)
됨에 의해 요통과 배가 땡기는 복통이 유발될 수 있고, 요근 中 소요근(psoas minor muscle)이 부착하는
부위인
치골근의 또다른 부착부인 폐쇄능(obturator crest)에 치골대퇴인대(pubofemoral ligament)도 부착하여
치골근과 유합(conjoined)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소요근과 치골근, 치골대퇴인대가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요근의 구축압력이 치골근, 치골대퇴인대에 전달되면 이 조직들도 구축(굳어짐) 되어져서 그 부착부
(bony station)인 치골즐과 폐쇄능, 장치융기(iliopubic eminence, 치골대퇴인대의 또다른 부착부임)
부위가 아픈 사타구니(서혜부)통증 - Groin Pain - 이 나타납니다.
오리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게 되고(* 천골 上端은 전방경사 됨 - 골반의 전방경사) 이에따라,
천장관절 부위에 있는 후천장인대가 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 됨에의해 이 인대의 천골 부착부위 -천골횡결절(중간천골능,intermediate sacral crest)
- 와 장골 부착부위(후하장골극,PIIS/ 후상장골극,PSIS / 장골조면(ischial tuberosity)에 천장관절통증이
유발됩니다.
이 통증은 주로 앉아 있을때, 구축된 후천장인대가 압박,자극(역학적 스트레스)을 받게되어 천장관절부위
(엉덩이,엉치내측(안쪽)/천골,엉치등뼈)에 무겁고 무지근(묵직)하며,쑤시고 욱신거리거나 우리하고,
뻐근하게 아픈 통증(pain)이 나타나 오래 앉아있지 못하게 합니다.
(*병기(病機)가 진행되면 어느상황에서나 항상 통증이 나타나며/ 엉덩이전체, 골반 깊숙한곳까지 통증이
방사,확산되어 어디가 아픈지를 모르는 정도까지도 됨 )
(*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의 구축(유착)이 甚(심)해지면 肥厚(비후)된 결과,대둔근이 부착하고 있는
장골능후부의 하연(아래테두리),외측연과 장골의 후외측연,천골(선골)의 후외측면으로
bulging(팽윤)되어,(*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대둔근 tendon(건,힘줄)과 유합되어
있음) 대둔근 부착부(엉덩이 內側中에서도 바깥쪽) 주위통증과 중,소둔근부위까지로도 방사되는
엉덩이 내측(안쪽)통증- 엉덩이 내측中의 바깥쪽통증이 유발됨 )
(* boundary line(경계선) : 후천장인대의 외측경계는 대좌골공의 내측경계와 거의 일치함 )
[* 천장관절통증(엉덩이내측통증)과 골반(장골능)통증,하부요통(허리통증)을 일으키는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가 구축(굳어짐)이 甚(심)해져 bulging(팽윤)되어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허리(허리윗부위)와 등, 어깨, 목/ 다리, 무릎관절후부로
장력(힘)을 분배(분산)시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
성,보상적)구축을 유발시킨 결과로,
(*안아프게 하려고 몸을 비트는 -체형의 변형(strain)- 인체 방어기제도 작용함)
엉덩이통증(천장관절증후군).골반(장골능)통증,하부요통과 동반하여 상부요통, 등통증(背痛), 어깨,
목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좌골신경통(요각통/ 방광경 line),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 또한 합병될
수 있음 ],(* 블로그 內 만성고관통증/ 좌골점액낭염/ 좌골신경통문건 참조)
(* 인체 방어기전의 결과로서, 전신적인 체형의 비틀림(변형)이 유발될 수도 있음 )
以上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요통, 배가 땡기는 복통, 사타구니(서혜부)통증, 천장관절 부위의 통증은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을 가지고서, 相互(상호) 복합적으로 유발되어 집니다.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습관적으로 허리를 굽히는(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과사용,overuse)
사람들은, 허리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이 나타나서, 상부요추(체간)는 과다신전된 요추전만증
(lumbar lorsis), 하부요추는 一字형태(일자허리,straight), 골반(천골상단)은 전방경사, 천골하단은
후방경사[*오리 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서 요근(psoas muscle)이 손상(injury)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지고/ 상,하 요추부위의 다열근,회선근 tendon(건,힘줄)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
(단축,신장)구축됨으로 복통(배땡김,배불편함),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고,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단축,신장)구축됨으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사타구니통증(*치골대퇴인대 단축구축)이
유발되며,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천극인대가 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됨으로 요통과 엉덩이(엉치)내측통증
(천장관절증후군), 꼬리뼈통증(미골통)이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장력(긴장)의 분배선- 역학적 연계선(dynamic connection line)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보상적 구축)
: 고관절 ↔ 허리관절,무릎관절,천장관절/ 천장관절 ↔ 허리관절,미골,무릎관절후부(오금) ]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