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추후만증(버섯증후군/ 거북등)과 등(어깨,날개쭉지)통증, 목, 어깨통증

연계성(Connection) 





주로 앉아서 고정된 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 현대인들은 근육(근막)의 경직과

구축(굳어짐,

contracture)으로 인해서  근골격계 통증질환이 자주 나타납니다.


그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또한

연계되어서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로서 (특히 어깨쭉지), 어깨, 목

통증
을 유발시키는 척추변형(strain)인 흉추후만증[* 버섯증후군 = 등(흉추)부위가
버섯 모양과 같이 툭

불거져 올라와서 굳어져있고(거북등), 甚(심)한 경우에는 피부까지
굳어져 있는 증상/ 일반적으로는

Round Shoulder(굽은, 둥근어깨)된 경우가 많음]
 
원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상부경추의 과다신전(head forward자세, 거북목)에 의한 경우

 

- 정신적 스트레스(부정적인 감정), 머리(목을)를 앞으로 빼서 배를 굽히는 자세(복직근 단축),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자세등의 원인에 의해서 상부경추 부척추근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어 상부경추가

   과다신전 되면, 하부경추와 상부흉추는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되어서 흉추후만증(거북등)이

   나타납니다.


2. 과사용(overuse)에 의한 경우

 

- 어깨를 굽히는 고정된 자세로 업무를 과도하게 하여 누적된 반복적인 긴장(VDT증후군)이 상부흉추

  부척추근과 능형근, 견갑거근의 신장구축을 유발하게되어 흉추후만증이 나타납니다.


3. 체형의 비틀림(변형, strain)으로 인한 경우

 

- 발목이나 무릎, 골반의 비틀림이 일어나게 되면 신체의 안정성(stability), 상쇄적인 균형(balance)을

   이루기 위해서 척추극돌기와 흉곽이 이동하게 된 결과로 흉추 부척추근과

능형근, 견갑거근의 신장구축이

   일어나게 되어 흉추후만증이 나타납니다.


위와같은 원인들에 의해서 나타난 흉추후만증은 가슴쪽에 있는 소흉근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어서,

견갑골의 오훼돌기를 전하방 내측으로 당겨서 나타나게 되는또 다른 신체상부
체형(골격)변형인 견갑골의


전방경사 (* Wing Scapula, 굽은 등 = 견갑골 하각이 날개와 같이 들려있음)와도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블로그內“목통증검색,관련문건들 참조]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목 운동장애의 원인이 되는 근육(근막),건(힘줄)들의 구축(굳어짐)형태

 

 

 

 

 

 

 

서 있는 자세에서의 목의 굴곡과 신전운동은 목 상부와 하부에서 다르게 작용을 합니다.

 

겉에 있는(천층) 목 근육인 흉쇄유돌근(SCM)과 목의 심부 근육인 경장근(longus colli), 두장근

 

(longus capitis), 사각근(scaleni)은 共히 상부경추의 굴곡과 하부경추(상부흉추)의 신전에 작용을

 

하게 됩니다.

 

위의 개념을 토대로 목 운동장애(disorder) 中에

 

1. 목의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장애의 원인에 대해 먼저 말씀드립니다.

 

첫번째로, 상부경추 굴곡의 장애(상부 경추의 과다신전으로 인함)와 하부경추(상부흉추) 신전의 장애

 

[흉추후만증 형태(버섯증후군)]는 앞 부위 근육에서는 흉쇄유돌근과 경장근,

두장근, 전체 사각근의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이 원인이 되고 뒷 부위 근육에서는 

상부경추 부척추근들의 단축구축과 하부경추

 

(상부흉추) 부척추근 건(힘줄)들의 구축(굳어짐)이 원인인 것으로 정리됩니다.

 

두번째로, 위의 경우과 반대되는 동작인

상부경추 신전의 장애(상부경추는 一字(straight, 일자목) 형태)와

 

하부경추(상부경추)굴곡의 장애(상부흉추는 一字(straight)등 형태)는 위의 원인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정리됩니다.

 

2. 목의 회전(옆으로 돌리는 동작, rotation)장애의 원인

 

① 초기 15 ˚ 장애 : 후두하근 건(힘줄)의 구축(굳어짐)

 

② 중기 각도 장애 : 회전하는 쪽 견갑거근(Levator Scapulae)건의 구축(회전하는 반대쪽

견갑거근은

 

                             단축구축)과 중, 후 사각근의 단축구축

 

③ 마지막 30 ˚ 장애 : 회전하는 반대쪽 승모근(상부),

흉쇄유돌근 건의 구축(회전하는 쪽 승모근(상부),

 

                               흉쇄유돌근은 단축구축)

 

3. 목의 측굴(옆으로 기울이는 동작, lateral flexion)장애의 원인

 

측굴하는 쪽 전체 사각근 건(힘줄)의 구축과 측굴하는 반대쪽 전체 사각근의 단축구축이 원인이 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골반의 전방경사(Anterior Tilt)와 내측회전(Medial Rotation)에 관여하는 근육들

 

 

 

 

우리는 생활을 하면서 몸의 앞 부위에 있는 내장기관(visceral organ)들을 보호(방어)하기 위한 자세(동작)

로서 몸의 앞쪽 근육들을 수축시키는 반사패턴(Reflex Pattern)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 놀랬을때, 슬플때 등 모든 부적정직 감정들은 몸의 굴곡자세로 표현되는 것이 진화적으로 우성의 동작으로

    고착됨)

 

이러한 반사패턴은 고관절 굴곡근의 수축자세를 많이 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 인체 상부에서는 상부경추굴곡근의 수축자세를 많이 하는 결과) 고관절 굴곡근이 역학적 스트레스

(압박)를 받고 손상(injury)이 되면 고관절 굴곡근 중의 요근(Psoas)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어

[* 인체 상부에서는 경장근(longus colli)이 단축구축 됨]요추를 과다신전[* 인체 상부에서는 상부경추의

과다신전(head forward자세, 거북목)] 시키게 됩니다. (요추 전만증, Lordosis)

 

요추가 과전만 되면, 천골下端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고(엉덩이가 뒤로 빠짐, 오리엉덩이(궁둥이)형태)

천골上端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되므로 결국 골반 (Pelvis)의 전방경사](Anterior Tilt)일으킵니다.

(* 인체 상부에서는 흉추후만증(버섯증후군)을 일으킵니다)

 

그리고 골반의 내측회전(Medial Rotation)은 골반에서 장골(ilium)의 구조물인 전상장골극(ASIS)에

부착하고 있는 근육들인 장골근(iliacus), 내복사근, 봉공근(sartorius)이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되면

전상장골극(ASIS)을 몸의 내측으로 잡아당겨서 골반의  내측회전을 일으킵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