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통증(장애), 안면(얼굴)통증(마비), 두통,(뒷)목통증(땡김, 뻣뻣, 뻐근함), 요통

(허리통증)의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上記한 제목의 통증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되는데,
턱관절

통증/장애
(TMJ - Pain,Disorder)을 병기(病機)의 시발점으로 하여, 다른 부위의 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되는


기전을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의 관점으로 정리합니다.

 
① 음식물을 씹을때나 턱을 벌릴때, 찬바람에 노출 되었을때,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때 등에 유발되는

    턱관절통증(장애)의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인 교근(masseter muscle)근막
(힘줄)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은 그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서
안면(얼굴)통증(facial pain)과

    얼굴이 내살 같지 않고, 무딘 느낌인 안면
둔마감(지각이상), 마비(마목)감(numbness)을 유발

    시킵니다.(*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② 교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턱관절 통증을 유발하는 또 다른 연부조직(soft tissue)인 측두근

    (temporalis muscle) 근막건(힘줄)구축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측(편)두통(* 긴장성, 신경성 두통)이
나타나고, 턱관절외측인대
(lateral ligament)와 관절낭

   (joint capsule)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턱관절 통증이 방사, 확산되어 측(편)두이 유발되고, 또한

   귀(귓속)가 아픈 통증인
耳痛(이통, ear ache)과 귀가 멍멍하게 울리는 증상인 耳鳴(이명, 귀울림)이

   유발됩니다.

 

   (* 上記한 교근, 측두근 근막과 건이 구축됨에 의한 방사통 또는 잇몸과의 근막적 연계성으로 인해,

      
잇몸통증(치은염, 치통)도 나타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③ 측두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측두두정근 → 후두근 → 두반극근 → 후두하근근막

    (myofascia)과 (힘줄, tendon)들(* 귀 윗부위와 후두골(뒷골), 상부경추(C1, C2)에
위치함)의 보상적

    (이차성) 구축이 유발되어
두정통(정수리 통증)과 후두통
(뒷골통증, 땡김, 무거움)이 나타납니다.

 

    [* 환추(제1경추)와 축추(제2경추)/ 후두골(후두과)의 관절(joint)을 이어주는 환추축추관절낭/ 환추후두

 

         관절낭의 구축은  만성 후두통유발시킴]


④ 후두하근(suboccipital muscle)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경추(목)의 심층 부척추근(횡돌극근)인

    다열근, 회선근의 건(힘줄),근막과 경추후관절(facet joint)의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의 보상적 구축이 유발되어
(뒷)목통증(땡김, 뻣뻣, 뻐근함, 무거움 ,답답함  /

   항통, nuchal pain)이 나타납니다.

 

   (* 통증이 방사,확산되어 어깨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될 수 있음)

 

   (* 후두하근과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중)사각근도 구축되어 목, 어깨통증을 유발 할 수 있음)

 
⑤ 경추의 다열근, 회선근의 건, 근막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은 하부로 주행하여 요추(허리)의 同一한

    조직으로
근막적 연계(fascial net)를 이루어서 보상적 구축을 유발한 결과,
요통(허리통증)이 나타나고,

    또한, 후두하근(상두사근)의 부착부(bony station)인
1번 경추(C1) 횡돌기에 연결되어 주행하는 경장근

    (longus colli muscle)은
경추체(頸推體)에도 부착되어
전종인대 → 요추체 → 요근 順으로 근막적 

   연계
를 이루어서
요근(腰筋, psoas muscle)의 근막과 건의 보상적 구축을 유발하므로, 요통

    허리통증)이
나타납니다.

 

   (* 경추의 다열근, 회선근의 건,근막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이 허리로의 주행하는 line선상에 있는, 흉추의

        同一한 조직도  보상적 구축을 일으키므로, 등(어깨쭉지, 견갑골)통증
동반하여 유발될 수 있음 )

 
⑥ 이어지는 病機로서, 요근근막과 소장간막(mesentery of small intestine)은 근막적 연계이루고

    있으므로, 장막(tunic)이 요근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압박되어 손상(injury)된
결과로,
이차성(속발성)

    구축이 유발되어, 소화장애(indigestion)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以上, 설명드린 근막 연계성 이라는 관점 外로, 체형의 변형(비틀림,strain)이라는, 다른 측면의 병기

       (病機)
로서 살펴보면은
 현대인들이, 업무특성상, 습관적으로 목(머리)을 앞으로 빼고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head forward 자세(거북목(일자목)증후군,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많이함(overuse)

      
(자세 불균형, 불량)으로 인해서, 안면부와 목의 연부조직들이 과긴장,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


      
의해, 손상(injury)을 받아 구축되어서, 안면부(얼굴, 턱관절)통증 두통,뒷골,(뒷)목통증 연계,


      동반
하여 유발 된다고도 해석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턱(악)관절염(통증)과 기능장애(dysfunction)의 근막이론적 해석

(fascial interpretation)





음식물을 씹을때나, 입을 벌릴때, 찬바람을 쐬거나, 스트레스를 받을때, 몸이 피로(곤)할때 등에 귀(젖)

앞쪽(前方)의 뺨 부위에 위치하여
측두골(temporal bone)과 하악골(아랫턱뼈, mandible)을
이어주는

관절인
턱(악)관절(측두하악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이 아픈 증상턱(악)관절염(통증, Pain)은



턱관절 주위에서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저작근, 咀嚼筋, muscles of mastication)들인

 

내.외 익상근(medial, lateral pterygoid muscle)

 

˙ 교근(masseter muscle)

 

˙ 측두근(temporalis muscle)의 

 

근막(myofascia)들이  음식물을 씹는 동작의 불균형(불량) - 한쪽으로만 음식물을 씹는것 / 턱관절의

과사용
(overuse) - 이를 악무는 습관, 딱딱(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자주 먹음,
이갈기, 껍씹기등 /

교합 부조화(occlusal disharmony), 정신적 스트레스등에 의하여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 contracture)

됨으로 인해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이 나타난 결과 유발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근막이론적 해석

입니다.

   (*上記 조직들의 건(힘줄)이 압박,자극됨에 의해서도 유발됨)

 

이 통증이 慢性化(만성화)가 되면 上記 근육들의 tendon(건, 힘줄) 턱(악)관절을 연결(join)

해주며,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외측인대(lateral ligament)와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

[* 굳어짐, contracture / 턱(악)관절낭염(capsulitis)]이 일어나서 음식물을 씹을때나

 

(* 딱딱(단단)하고 질긴 음식물을 먹을시는 더욱 甚함) 입을 벌릴때 이 조직들이 압박, 자극되어 

턱(악)관절 통증
이 유발되며, 

退行化(퇴행화)가 되었을때는 턱관절 주위에서 완충작용을 하는

연골인 

관절원판
(articular disc)이
마모(磨耗, 닳아서)되어 음식물을 씹거나, 입을 벌릴시에

턱관절이 

충격(impact)을 받고,
자극되어져서 통증이 유발됩니다.

 

(* 턱관절의 외측인대와 관절낭의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이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교근, 측두근, 후두하근 tendon, 경추후관절의 관절낭에 역학적인 힘(장력)을

전달하면

- 장력의 분배(분산) - 보상적(이차성) 구축을 일으켜서,얼굴(안면부)통증/얼굴이 내 살 같지
않고,

  무딘 느낌의
둔마(지각이상), 마비(마목)감과 (만성)측(편)두통 - (관자놀이 통증) -

(긴장성, 신경성

  두통),

후두통(뒷골통증,땡김,무거움), (뒷)목통증(땡김, 뻣뻣, 뻐근함), 치통(齒痛, 잇몸통증, 치은염)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음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턱관절의 외측인대와 관절낭의  구축압력으로 인해, 통증이

  안면부

(얼굴)와 머리로  방사,

    확산(방사통)되어
 
안면부(얼굴)통증 두통 유발한다고도 해석할 수 있음)
    (* 근막통증증후군 )


턱(악)관절 통증(TMJ - Pain)이 나타나면, 턱관절이 비껴져서 어긋나게 맞추어진 상태인
아탈구

(subluxation), 고정(fixation)
으로 인해
입을 벌리거나  모을때(음식물을 씹을때)

관절에서 소리

(마찰음, crepitus, clicking sound)가

날 수 있으며, 음식물을 씹을때(입을 다무는 하악골 거상동작 - 교근, 

측두근, 내익상근이
관여함)나 입을 벌릴때(하악골 하인동작 - 외익상근(이복근)이 관여함)에
완전하게

입(턱)이 다물어 지거나, 벌어지지 않는(아관긴급, 牙關緊急) 턱(악)관절 기능장애(TMJ - dysfunction)도



동반
하여 유발됩니다.

 

또한 앞에서 설명드린 내.외 익상근, 교근, 측두근 근막(myofascia)들과 턱관절의 외측인대, 관절낭의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이
귀로도 방사, 확산되어

귀(귓속)가 아픈 통증인

耳痛
(이통, earache)과  귀가 무겁고, 답답하며,
멍멍하고, 울리는 증상인 耳鳴(이명, 귀울림,

tinnitus)과

어지러움증인 眩暈(현훈) 
- (* 메니에르 증후군) - 도 합병될 수 있습니다.

 

(* 以上, 설명드린 근막 연계성 이라는 관점 外로,

 

    체형의 변형(비틀림,strain)이라는, 다른 측면의 병기(病機)로서 살펴보면은, 현대인들이, 업무특성상,

    습관적으로 목(머리)을 앞으로
빼고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head forward 자세(거북목(일자목)증후군,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많이함(overuse)

 

   

(자세불균형,불량)으로 인해서,안면부와 목의 연부조직들이 과긴장,역학적 스트레스 (과부하)의해,

   
손상(injury)을 받아 구축되어서, 上記한  턱관절통증과 더불어서,
안면부(얼굴),뒷골,(뒷)목통증,두통

    등의
증상이 연계, 동반하여 유발 된다고도 해석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턱(악)관절>
 

 

 

 

 

<

* 그림출처 - 인체해부학(Human Anatomy, 현문사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