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기룡한의원/ 근막통증(섬유근통)증후군 치료]((뒷)목통증(땡김),어깨(관절),등(뼈)통증(쑤심,결림),견갑골(어깨뼈,쭉지),팔(꿈치),전완부(아랫팔)통증(땡김,저림)의 역학적 연계성(dynamic c..
(뒷)목/머리(뒷골)통증 2013. 5. 8. 16:21(뒷)목통증(땡김),어깨(관절),등(뼈)통증(쑤심,결림),견갑골(어깨뼈,쭉지),팔(꿈치),
전완부(아랫팔)통증(땡김,저림)의역학적연계성(dynamic connection)
(뒷)목통증(neck pain, 항강증, 경항통)이 있는 사람들은 병증이 진행됨에 따라 어깨와 등(견갑골 상각,
내(외)측연, 어깨(날개)쭉지)통증이 나타나고 이어서 팔(견관절, 상완부), 가슴, 엘보우(주관절, 팔꿈치)
통증이 나타나며, 심(甚)해지면 전완부(아랫팔 → 손목, 손등, 손바닥, 손가락)까지도 저리거나 아픈 통증
(pain)이 뻗쳐서(퍼져, 확장되어)나타나는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해당부위와 연관된 근막과 건(힘줄)의 구축(굳어짐)으로 유발되는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에 의해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일 수도 있지만, 병증이 만성화되면, 인체 관절을 보호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관절 주위를 감싸고 있는 심부(深部)인대나 관절낭(joint capsule)들의 역학적 연계성
(connection)에 의해서도 통증(pain)이 확산되어 (퍼져서, 뻗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풀어서 말씀드리면, 아픈쪽 부위(痛處) - 원발성 - 에 힘을 덜 실어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역학적
연장선상에 있는 다른부위에 힘을 쓰게되어, 장력(tensional force)이 걸리므로 안아팠던 부위도 - 속발성 -
으로
아프게 되는 원리입니다.
(* 역학적인 힘(긴장, 장력)의 전달에 의한 보상적(방어적, 이차성, 속발성) 인대, 관절낭의 구축과 방사통 )
목(경추)뼈를 연결(join)시켜주는 관절, 즉 관절돌기간 관절(후관절, facet joint)을 감싸고, 보호하고 있는
경추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으로
① (뒷)목통증(경항통,항강증,neck pain / (뒷)목 땡김, 뻣뻣, 뻐근함, 무거움, 답답함)이 나타나는
(특히 C7~T1, 경흉추연접부, 척추만곡 이행부)것을 병기(病機)의 시발점으로 하여,
②
견갑골 상연과 견갑골극으로 역학적인 힘(긴장, 장력)이 전달되면 이 부위를 주행하는 후사각근, 극상근
건(힘줄)과 근막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어깨통증이 나타납니다.
(* 견통, 肩痛, shoulder pain / 어깨 무거움, 뻐근함, 뭉침, 결림, 쑤심)
③ 최장근, 장늑근 부위 / 견갑골 상각, 내측연, 극하와, 견갑골 하각, 외측면으로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이부위에 부착하는 최장근, 장늑근, 견갑거근, 능형근, 극하근, 광배근, 대원근, 소원근 근막과 건(힘줄)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견갑골(어깨뼈)통증과 등통증(背痛, 배통, dorsalgia) - 다열근, 회선근 tendon
구축에 의해 등뼈가 아픈 통증(bone pain)인 흉추통과 그 구축압력이 등 부위로 방사되어, 등통증도
나타날 수 있음 - 이 유발됩니다.
(* 능형근과 부착부가 인접하여 있어서,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전거근 건에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옆구리가 결리면서 아픈 증상인 옆구리통증(脇痛)도 나타날 수 있음)
(*내,외 늑간근의 tendon 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도 등통증과 옆구리 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④ 견(어깨)관절로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ⅰ) 견관절을 감싸고 있는 인대인 오훼상완인대, 관절상완인대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견(어깨)관절통증과
가슴이 뻐근하게 조이면서 아픈 증상인 가슴통증이 나타나며
ⅱ) 또한 이 인대들보다 심부(深部)에서 견관절을 감싸고 있는
견관절낭(shoulder joint capsule)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견관절의 운동장애(특히, 외회전의 장애,오십견의 형태)까지도 동반하는 甚
한(만성) 견
(어깨)관절통증(관절염)이
유발됩니다.
⑤ 상완부로 견관절낭의 구축압력(힘)이 전달되면 상완부(팔)로 저리거나 아픈통증(방사통,
referred pain)이 뻗쳐(확장되어, 퍼져)내려갑니다.(* 비통, 臂痛, arm pain)
(* 어깨관절 아래의, 팔(상완부)이 무겁고,저리고,결리고,뻐근하며,쑤시는 통증)
⑥ 주관절(엘보우, 팔꿈치)로 역학적인 힘이 전달되면 팔꿈치의 인대와
주관절낭(elbow joint capsule)의
보상적 구축에 의해, 팔꿈치 관절이 무겁고, 부드럽지 않고, 뻣뻣(뻐근)하게 되며, 팔꿈치통증(저림)이
유발됩니다.
⑦ 전완부(아랫팔 → 손목, 손등, 손바닥, 손가락)로 주관절낭의 구축압력(힘)이 전달되면 전완부(아랫팔)로
저리거나 땡기고 아픈통증(방사통)이 뻗쳐 내려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