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기룡한의원/ 근막통증(동통)증후군]턱관절통증(장애),안면(얼굴)통증(마비),두통,(뒷)목통증(땡김,뻣뻣,뻐근함),요통(허리통증)의 근막적 연계성
얼굴(안면)/잇몸통증 2013. 3. 20. 15:24턱관절통증(장애), 안면(얼굴)통증(마비), 두통,(뒷)목통증(땡김, 뻣뻣, 뻐근함), 요통
(허리통증)의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上記한 제목의 통증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되는데, 턱관절
통증/장애(TMJ - Pain,Disorder)을 병기(病機)의 시발점으로 하여, 다른 부위의 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되는
기전을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의 관점으로 정리합니다.
① 음식물을 씹을때나 턱을 벌릴때, 찬바람에 노출 되었을때,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때 등에 유발되는
턱관절통증(장애)의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인 교근(masseter muscle)근막과 건(힘줄)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은 그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서 안면(얼굴)통증(facial pain)과
얼굴이 내살 같지 않고, 무딘 느낌인 안면의 둔마감(지각이상), 마비(마목)감(numbness)을 유발
시킵니다.(*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② 교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턱관절 통증을 유발하는 또 다른 연부조직(soft tissue)인 측두근
(temporalis muscle) 근막과 건(힘줄)의 구축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측(편)두통(* 긴장성, 신경성 두통)이 나타나고, 턱관절의 외측인대(lateral ligament)와 관절낭
(joint capsule)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턱관절 통증이 방사, 확산되어 측(편)두통이 유발되고, 또한
귀(귓속)가 아픈 통증인 耳痛(이통, ear ache)과 귀가 멍멍하게 울리는 증상인 耳鳴(이명, 귀울림)이
유발됩니다.
(* 上記한 교근, 측두근 근막과 건이 구축됨에 의한 방사통 또는 잇몸과의 근막적 연계성으로 인해,
잇몸통증(치은염, 치통)도 나타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③ 측두근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측두두정근 → 후두근 → 두반극근 → 후두하근의 근막
(myofascia)과 건(힘줄, tendon)들(* 귀 윗부위와 후두골(뒷골), 상부경추(C1, C2)에 위치함)의 보상적
(이차성) 구축이 유발되어 두정통(정수리 통증)과 후두통(뒷골통증, 땡김, 무거움)이 나타납니다.
[* 환추(제1경추)와 축추(제2경추)/ 후두골(후두과)의 관절(joint)을 이어주는 환추축추관절낭/ 환추후두
관절낭의 구축은 만성 후두통을 유발시킴]
다열근, 회선근의 건(힘줄),근막과 경추후관절(facet joint)의 관절돌기간 관절낭(capsule of
zygapophyseal joint)의 보상적 구축이 유발되어 (뒷)목통증(땡김, 뻣뻣, 뻐근함, 무거움 ,답답함 /
항통, nuchal pain)이 나타납니다.
(* 통증이 방사,확산되어 어깨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될 수 있음)
(* 후두하근과 근막적 연계성이 있는 (중)사각근도 구축되어 목, 어깨통증을 유발 할 수 있음)
⑤ 경추의 다열근, 회선근의 건, 근막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은 하부로 주행하여 요추(허리)의 同一한
조직으로 근막적 연계(fascial net)를 이루어서 보상적 구축을 유발한 결과, 요통(허리통증)이 나타나고,
또한, 후두하근(상두사근)의 부착부(bony station)인 1번 경추(C1) 횡돌기에 연결되어 주행하는 경장근
(longus colli muscle)은 경추체(頸推體)에도 부착되어 전종인대 → 요추체 → 요근 順으로 근막적
연계를 이루어서 요근(腰筋, psoas muscle)의 근막과 건의 보상적 구축을 유발하므로, 요통
허리통증)이 나타납니다.
(* 경추의 다열근, 회선근의 건,근막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이 허리로의 주행하는 line선상에 있는, 흉추의
同一한 조직도 보상적 구축을 일으키므로, 등(어깨쭉지, 견갑골)통증도 동반하여 유발될 수 있음 )
⑥ 이어지는 病機로서, 요근근막과 소장간막(mesentery of small intestine)은 근막적 연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장막(tunic)이 요근의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압박되어 손상(injury)된 결과로, 이차성(속발성)
구축이 유발되어, 소화장애(indigestion)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以上, 설명드린 근막 연계성 이라는 관점 外로, 체형의 변형(비틀림,strain)이라는, 다른 측면의 병기
(病機)로서 살펴보면은 현대인들이, 업무특성상, 습관적으로 목(머리)을 앞으로 빼고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head forward 자세(거북목(일자목)증후군,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를 많이함(overuse)
(자세 불균형, 불량)으로 인해서, 안면부와 목의 연부조직들이 과긴장,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에
의해, 손상(injury)을 받아 구축되어서, 안면부(얼굴, 턱관절)통증과 두통,뒷골,(뒷)목통증이 연계,
동반하여 유발 된다고도 해석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얼굴(안면)/잇몸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기룡한의원/ 만성통증(관절) 치료]턱관절통증(장애),얼굴(안면)통증(마비,떨림),눈통증(떨림),두통,치통(잇몸통증)의 근막적 연계성 (0) | 2013.03.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