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골점액낭염'에 해당되는 글 6건

  1.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좌골신경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뻣뻣함),요각통(腰脚痛/ sciatica)의 정의와 원인
  2.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허벅지 뒷부위(뒤쪽/ 대퇴후부/ 뒷다리/ 햄스트링)통증(땡김,뻣뻣함,경직,저림)과 종아리땡김(통증,뻣뻣함,경직)의 원인들..
  3.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좌골신경통(요각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뻣뻣함,무거움)의 정의,유주경로의 부..
  4. 2013.06.25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허리통증 치료]엉덩이(엉치,골반,고관절)뼈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꼬리뼈통증(미골통)의 부위별 분류와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의 구축(..
  5. 2013.06.11 [염기룡한의원/ 난치성, 만성 고관절,엉덩이(골반)통증 치료전문]만성 고관절통증과 엉덩이통증(*좌골점액낭염,천장관절증후군),골반통증,허리통증(*요통),등통증,좌골신경통((*허벅지,다리- ..
  6. 2013.01.18 [염기룡한의원/ 근막통증증후군/ 난치성,만성통증(관절) 치료]인체는 근막경선을 따라서 통증을 일으킨다 - 근막통증(동통)증후군/ 섬유근통증후군

좌골신경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뻣뻣함),

 

요각통(/ sciatica)의 정의와 원인





인체의 엉덩이(엉치, 골반, 좌골) 밑(deep)부위를 지나가는 큰 신경인 좌골신경(sciatic nerve)주행경로

(line)
따라서 엉덩이(엉치), 고관절,
대퇴후부(햄스트링부위, 허벅지 뒷부위), 오금(슬괵, 슬관절후부), 

종아리(정강이),
아킬레스건, 발뒷꿈치,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땡기거나 저리고 아픈 증상 형태를 

좌골신경통(요각통- )/ sciatica)이라고 합니다.

 

[* 병명(질환명)이 아니고  증상명(형태)을 의미함 ]

 

 

[* 허리/ 엉덩이와 다리통증 (lumbago/ buttock and leg pain- 허리/ 엉덩이(엉치), 허벅지, 다리

 

    (대퇴부,하퇴부)가 무겁고, 저리고, 찌릿하고, 시큰거리며, 땡기며, 뻐근한 통증) 통합적인 명칭

 

   으로서 通用(통용)됨 ]

 


(* 좌골신경(sciatic nerve)은 오금 (上部)윗부위에서 (下部)발바닥까지 가는 경골신경(tibial nerve)과

    발등까지 가는 비골신경(peroneal nerve)으로 갈라짐 )

 

 
이 증상(*좌골신경통)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경근(nerve root) 자극증상

 

- 척추질환(*허리(요추) 디스크)에 의해 좌골신경의 상위 신경인 L3 ~ S1 신경이

눌려서(압박되어) 나타

 

   나는  경우

 

 

2. 이상근에 의한 좌골신경 압박(compression), 폐색(entrapment)

 

- 엉덩이(엉치)근육인 이상근의 구축(굳어짐, 근막유착)으로 인해 이 근육의 밑(deep)을

지나가는

  
좌골신경의 압박과 폐색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

 

 

3. 근막통증 증후군[*소둔근(이상근)증후군]

 

- 엉치근육인 소둔근과 이상근의 구축(근막유착)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에 의한 경우

 

 

* 요근 증후군(Psoas Muscle  Syndrome)

   

  요근(psoas muscle)의 경직과 구축(굳어짐)으로 인한 디스크(Disc)의 압박과 폐색 의한 경우에도

 

  허리통증(요통)을 동반하면서 신경근 자극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4. 골반의 비틀림(변형, strain)

- 엉치(골반)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골반이 비틀어지고(* 발목관절, 슬관절의 비틀림에서도 보상적

  (방어적)
골반 비틀림이 올 수 있음)이로인해 인체 근막의 주행경로(근막경선) 따라서
역학적인 힘[방어적/ 


  보상적 근육(근막)구축]이 전달되어

좌골신경통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허리와 사타구니(서혜부), 무릎에도 영향을 주어서 요통, 사타구니(서혜부)통증,

무릎통증을 합병하는

    경우도 종종 유발됨)

 

 

 5. 골반주위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 대퇴방형근, 햄스트링, 대내전근 tendon(건,힘줄)/ 천골결절인대, 후천장인대,

 

    장요인대의 구축압력(굳어진압력)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좌골신경통이  나타나는 경우

 

    

 

좌골신경통(요각통)증상의 주행경로는 "2가지" line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번째로, 엉덩이(엉치,고관절,골반)가운데 부위부터 시작하여 신체의 뒷부위를 따라서

대퇴후부

(햄스트링 semi, 허벅지부위
) → 오금(슬괵, 슬관절후부) → 종아리(장딴지) → 아킬레스건 → 발뒤꿈치

발바닥까지 통증이

이어지는 line(경로)이 있고

[* 대내전근 → 햄스트링의 semi → 슬와근 → 비복근 → 가자미근 → 후경골근 구축에 의한 방사통 경로를

     공유함 ]

 

 


두번째로, 엉덩이(엉치,고관절,골반)측면부위부터 시작하여

신체의(후)외측을 따라서 고관절



대퇴(후)외측 → 무릎(후)외측 → 하퇴(종아리)(후)외측 → 정강이 → 발목 → 발등까지통증이 이어지는 line

(경
로)이 있습니다.

 

[* 대퇴근막장근(장골,좌골 대퇴인대/ 고관절낭) → 대퇴이두근, 외측광근→  비골근, 장지신근 전경골근

    구축
에 의한 방사통 경로를
공유함 ]

(* 블로그 內 좌골신경통, 고관절통증 他문건들 참조)

 

 

(* 위에 열거한 2가지 경로(line)들은 인체근막계의 연결 line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의 

   
역학적인 힘의 전달로도 해석될 수 있음)

 

 
[* 천장관절통증(엉덩이내측통증)과 하부요통을 일으키는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구축(굳어짐)이

    甚(심)해져서 bulging(팽윤)되어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
 (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
허리(허리윗부위)와  등,
뒷다리, 무릎관절후부 장력(힘)을 분배(분산)시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구축을 유발시킨

    결과로,
엉덩이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동반하여  요통(허리통증), 등통증(背痛)이 유발될 수 있으며,

   
좌골신경통(요각통/ 방광경 line), 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 또한 합병될 수 있음 ]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의 구축(굳어짐)이 만성화되면,허리(등),옆구리,배(복부),다리(무릎,

발목)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걸어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동반되어
이부위들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고관절통증, 좌골신경통 문건들 참조)

 

[* 고관절낭 부착부(bony station): 관골구연(비구연/ 테두리)과 대퇴골두,대퇴골경 ]

 

 

[* 블로그 內 좌골신경통(요각통/ 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 통증,땡김,저림)의

 

     정의, 유주경로의 부위별 분류와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문건 검색참조 ]

 

 

 

 

< * 그림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허벅지 뒷부위(뒤쪽/ 대퇴후부/ 뒷다리/ 햄스트링)통증(땡김,뻣뻣함,경직,저림)과

 

종아리땡김(통증,뻣뻣함,경직)원인들- 근막이론적 해석(*좌골신경통,요각통)

 

 

 

 

 

 

 

우리가 매스컴이나 신문등에서 운동선수들 이야기를 통해 흔히 들어왔던 근육인 햄스트링

 

(hamstring muscle, 슬굴근)은  무릎을 굴곡 시켜주며(굽혀줌), 고관절신전 시켜주는

 

(펴주는) 근육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햄스트링 근육이 위치하고 있는 대퇴후부(허벅지

 

뒷부위/ 뒷다리)가 땡기거나 저리고 뻣뻣하며 경직되어 아픈 통증은 척추질환(디스크 등)에

 

의한 신경근(L3~S1, nerve root)의 압박과 자극증상으로서 나타날 수도 있지만, 

 

근막(근육)이론적인 연부조직(soft tissue)의 측면으로서  살펴보면은...

 

 

 

ⅰ. 햄스트링 근육 자체의 손상(injury)으로 인한 구축(굳어짐,근막유착),(*대내전근, 대퇴

 

      방형근 구축에 의해서도 활성화 될 수 있음)에 의해 종아리(장딴지)부위까지도 확장되어서

 

      (퍼져서) 종아통증(shin pain)과 함께 동반되어 나타나는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으로서의 방사통(referred pain)인 경우

 

 

ii. 스트링 근육의 심부(深部)에 위치하고,대퇴골조선(linea aspera)에 부착하여 근막적

 

     속성(연계성)있는 대내전근대퇴이두근 단두 근막과 tendon(건,힘줄)이

 

     자세불량(불균형)이나 과사용(overuse/ 과부하) 등으로 손상되어 구축(굳어짐,con

 

    tracture)됨에 의해 대퇴후부(허벅지뒷부위)안쪽(內側)과 바깥쪽(外側)땡김(뻣뻣

 

    함/ 경직)통증나타나고, 그 구축압력(굳어진압력)이 하퇴의 종아리, 발목으로 전달

 

     되어 해당부위의 연부조직인 후경골근근막과 tendon(건,힘줄)/ 발목관절의 인대와 관절낭

 

     에 이차성구축유발

하여 종아리와 발목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ⅲ. 햄스트링 근육의 上部(윗부위)에 있는 엉덩이(엉치)근육인 소둔근(後部)과 이상근의

 

      경직과 구축(굳어짐, 근막유착)으로 인해 엉덩이(엉치, 골반)통증동반되어 나타나고

 

      또한 좌골신경통(sciatica) line(경로) 따라서

대퇴후부(허벅지 뒷부위)

통증이 이어지는

 

      근막통증증후군으로서의 방사통인 경우

 

 

iv.  이상근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해 이 근육 밑(deep)을 지나가는 좌골신경(sciatic nerve)이

 

     압박(compression), 폐색(entrapment)되어 나타나는 좌골신경통으로

 

     좌골신경(sciatic nerve)의 주행 line(경로) 따라서 엉덩이(엉치)부터 시작된

 

     대퇴후부(허벅지뒷부위)땡김이 오금(슬괵, 슬관절후부)~ 종아리(장딴지)

 

     ~ 발목, 발등, 발바닥까지 이어지는 경우로 정리됩니다.

 

 

※ 위에 열거한 경로들은 인체 근막체계의 연결 line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의

 

    역학적인 힘의 전달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골반주위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

 

 - 햄스트링 근육과 근막적으로 연계(fascial connection)되어 있는 좌골대퇴인대후부

 

    고관절낭/ 대퇴방형근, 대내전근 tendon(건,힘줄)/ 천골결절인대, 후천장인대, 장요인대의

 

    구축압력(굳어진압력)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으로도

대퇴후부(허벅지부위)종아리 땡김뻣뻣함통증 나타날 수 있음.

 

   [*근막체계(fascial net)로서의 관점 ]

 

 

[* 블로그 內 ~ 좌골신경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 통증,땡김,저림),요각통

 

 

 

    (sciatica)의 정의와 원인/

 

 

 

    좌골신경통(요각통/ 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 허벅지,다리- 통증,땡김,저림)의 정의, 유주

 

    경로의 부위별 분류와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문건 검색참조]

 

 

 

 

< * 그림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좌골신경통(요각통/고관절,골반,엉덩이,엉치/허벅지,다리,종아리- 통증,땡김,저림,

 

뻣뻣함,무거움)의 정의,유주경로의 부위별 분류와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좌골신경통(sciatica)은 좌골신경의 유주경로(line따라서 나타나는

신경압박(자극)증상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요각통(腰脚痛)의 범주로서 허리 →

고관절(엉덩이,골반) → 대(다리)  슬관절(무릎,오금)

 

→ 정강이(종아리) 발목관절 → 발등(발바닥) 발가락관절 (순)(* 逆順으로의 병기로도 유발될 수 있

 

)으로 병증이 방사(emanation), 확산(diffusion)되어 나타나는 허리,엉덩이와 다리통증[* Buttock, leg

 

pain/ 엉덩이(엉치)와 다리(대퇴부,하퇴부)가 무, 저리고,찌릿하고,시큰거리며,땡기며,뻐근한(뻣뻣한)

 

통증] 합적인 명칭으로通用(통용)됩니다.(*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좌골신경통(요각통)은 그 유주경로상에서인체에서 연접(junction)되는 부위인

관절(joint)부하(load)

 

많이 받기 때문에, 고관절(엉덩이, 골반) → 슬관절(무릎) → 발목관절 → 발가락 관절 順으로 역학적인 힘(

 

, 긴장)전달, 분배되어 관절주위연부조직t

endon(건,힘줄),深部인대,관절낭(joint capsule)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contracture)됨에 따라 관절주위에서 통증이 유발되므로, 관절부위(joint region)

 

主된 病巢(병소)가 됩니다.

 

 

 

따라서,관절들 사이 위치하고 있는 대퇴부(다리), 무릎(오금), 정강이(종아리), 발등(발바닥)통증은,

 

관절주위 연부조직구축압력으로 인하여 통증이 방사,확산(퍼져서,뻗쳐서)되서 나타나는 방사통

 

(referred pain)으로 해석됩니다.

 

 

좌골신경통(요각통)은  同一한 인체부위 內에서도 다소 편차가 있게 나타나므로,

 

부위별분류하고, 원인이 되는 해당 연부조직(soft tissue)구축(contracture)

 

정리 합니다.

 

 

- 통증 유주경로의 시작점고관절 주위 연부조직으로 규정하고서 설명드립니다.

 

   (* 逆順으로의 병기로서 발가락 관절이 시작점이

 될 수도 있음)         

 

 1. 사타구니(서혜부),허벅지/ 대퇴내측,중앙(가운데,前部)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내측과 중앙

 

    (前部) line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 원인 :

고관절 인대 中 장치융기(iliopubic eminence)의  외(내)측면 ~ 폐쇄능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치골대퇴인대(pubofemoral ligament)(* 폐쇄능의 외측면에서 치골대퇴인대

 

           와 근막적으로 유합되어있는 치골근tendon의 구축도 사타구니통증에 일부 영향을 줌),            A.I.I.S(전하장골극) 직하방의 관골구(acetabulum)전(테두리, margin)부착하는

 

           장골대퇴인대(iliofemoral ligament)와 그 밑(deep)에 위치하는 관절낭(joint capsule)

 

           – 前部 고관절낭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에 의해 병증 line을 형성함.

 

          (*

고관절 내전근들인 대내전근/ 장,단내전근,박근 tendon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도

 

              대퇴내측면 통증이 유발될 수 있음)

 

   

 

2. 엉덩이 외측(고관절 외측부)/ 대퇴외측(넓적다리,허벅지의 옆부위,바깥쪽) - 膽經line – 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외측(外側) line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원인 : 전자간선(intertrochanteric line)에 부착하는 장골대퇴인대와 그 밑(deep)

            위치하고 있으며 대퇴골경(neck)의 前面 테두리에 부착하는 관절낭(joint capsule)

 

           – 中部 고관절낭 – 과 외측광근 tendon 구축압력에 의해 병증line을 형성함.

 

 

 

3. 엉덩이 후부의 외측(고관절 후부)/ 대퇴후외측(허벅지 뒷부위의 바깥쪽) - 膀胱經 中

 

     햄스트링의 대퇴이두근line 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후외측(중앙) line

 

     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 원인 : 고관절 인대 中 관골구 후면(posterior region)에 부착하는

             좌골대퇴인대(ischiofemoral ligament), 그 밑(deep)에 위치하는             관절낭(joint capsule) –後部 고관절낭(*대퇴골경의 後面 테두리에도 부착함)-/

 

            좌골조면(ischial tuberosity/ 앉아있을때 엉덩이가 바닥에 닿는 부위)외측면

 

       과 후면에 부착하고 있는 대퇴방형근, 대퇴이두근 장두 tendon/ 대퇴골조선(linea

 

            aspera)의 외순(lateral lip)에 부착하는 대퇴이두근 단두 tendon의  구축압력에 의해

 

            병증 line형성함.[* 좌골점액낭염(엉덩이 아랫부위통증)- ischial bursitis ]

 

 

 

        

 

 

4. 엉덩이 후부의 내측(천장관절,장골능(골반)부위)/ 대퇴후내측(허벅지 뒷부위의 안쪽)

 

 

       - 膀胱經 中 햄스트링의 semi line – 에서 시작하여 上記한 부위들의 후내측 line을 따라 

 발가락 관절까지 유주하는 통증경로(line)

 

 (* SLR test시 뒷다리가 땡기는 R.O.M장애가 유발될 수도 있음 )

 

• 원인 : 장골능(iliac crest/ 바지가 걸쳐지는 부위)과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엉덩이 안쪽)

 

            에 부착하고 있는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골반(장골능)통증, 천장관절증후군]/

 

            좌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천골결절인대햄스트링의 semi 근육(*반건양근,반막양

          

            근tendon/ 관절(hip joint)의 내측관절을 형성을 형성하면서 좌골조면과 좌골지

 

            (ischial ramus),대퇴골조선(대내전근 중부섬유 부착, 대퇴이두근 단두 tendon

 

            

근막적으로 연계됨)부착하고 있는  대내전근(햄스트링 semi근육의 深部에 위치함)

 

             tendon 구축압력에 의해 병증 line을 형성함.

 

           [* 좌골점액낭염(엉덩이 아랫부위통증)- ischial bursitis] 

 

 

[* 로그 (장골능)통증/ 천장관절증후군/ 좌골점액낭염 문건들 참조 ]

 

 

 

 

 

[* 천장관절통증(엉덩이내측통증)과 하부요통을 일으키는 후천장인대와 장요인대

 

    구축(굳어짐)이 甚(심)해져서 bulging(팽윤)되어 부담을 느끼게되면, 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 (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허리(허리윗부위)와  등, 뒷다리,

 

    무릎관절후부 장력(힘)을 분배(분산)시켜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구축을 유발시킨 결과로,

 

    엉덩이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동반하여  요통(허리통증), 등통증(背痛)이 유발될 수 

 

    있으며, 좌골신경통(요각통/ 방광경 line), 무릎관절후부(오금)통증 또한 합병될 수 있음 ]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의 구축(굳어짐)이 만성화되면,허리(등),옆구리,배(복부),다리(무릎,

 

    발목)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걸어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동반되어

 

    이부위들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블로그 內 고관절통증, 좌골신경통

 

    문건들 참조)

 

[* 고관절낭 부착부(bony station): 관골구연(비구연/ 테두리)과 대퇴골두,대퇴골경 ]

 

 

以上과 같이, 부위별로 나뉘어진 유주경로로서 분류가 될 수 있으나, 인체(人體)

 

근막계(fascial net)라는 통합적인 그물망 형태로 유기적으로 연계(connection)되어

 

있기 때문에, 관절주위연부조직(soft tissue)이라는 側面(측면)에서 모두다 연결(join)되어,

 

서로에게 장력(tensional force)을 전달하며,분배하고 있습니다.(*상호(相互) 압박(력)을 가함)

 

따라서, 좌골신경통(요각통)의  부위와 유주경로(line)들은  복합적으로 동반(합병)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엉덩이(엉치,골반,고관절)뼈통증(*천장관절증후군)과 꼬리뼈통증(미골통)

부위별

분류와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contracture)





업무상 오래 앉아서 생활을 많이하거나  허리를 굽히는 자세나  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를

 

많이하는 사람들이 앉아 있을때나, 앉았다 일어날때, 특정동작시등 엉덩이(엉치)뼈부위에 힘이

 

加(가)해질때에  통증이 나타나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고관절(엉덩이관절), 사타구니(서혜부), 엉덩이

 

하부(아랫부위)통증(*좌골점액낭염), 요통(허리통증), 좌골신경통(요각통)과 유기적인 연계성(connection)

 

을 가지고서, 동반하여 종종 유발되는, 엉덩이뼈(엉치뼈,臗骨,골반) 통증 - hip bone pain - 의 원인이 되는

 

연부조직(soft tissue)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 연부조직이 압박,자극(* 재손상)될때,잠재성 구축이 활성화(activation)되어 통증이 나타남)

 

[* 앉아있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펼시에,허리통증(요통)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1. 장골부위 통증(무명골 통증,ilium pain)


바깥쪽(外側) 통증(측둔부 통증/ 고관절통증,고관절염)

 

 

 i ) 장골(腸骨,무명골)의 외측면에 부착하고있는 중.소둔근 건(힘줄,tendon)과 좌골대퇴인대,

    
그 밑(deep)의 후부(後部) 고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굳어짐)으로 통증이 나타남

    

(* 소둔근 증후군)

ii ) 장골대퇴인대와 그 밑(deep)의 중부(中部) 고관절낭의 구축으로인해 고관절을 움직일시에

,측둔부에

     힘(압력)이 들어가서(걸려서) 통증이 나타남

 
[*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의 구축(굳어짐)이 만성화되면,허리(등),옆구리,배(복부),다리(무릎, 발목)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을 전달하여(걸어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동반되어
이부위들의

    
땡김(뻣뻣함)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 ],
(* 블로그 內 고관절통증,좌골신경통 문건들 참조)


안쪽(內側) 통증(장골능 후부(뒷부위)통증/ 골반통증)

 
i) 바지가 걸쳐지는부위인 장골능(iliac crest)후부의하연,외측연/ 장골의 후외측연/ 천골(선골)

   
후외측면/ 미골의 외측에 부착하고있는 대둔근(이상근)건(힘줄)의 구축으로 통증이 나타남

    (* 이상근 증후군)

 
ii) 장골능후부의 상연(上緣),내측연(內側緣)에 부착하고 있는 장요인대(iliolumbar ligament)

구축으로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며, 그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엉덩이뼈(안쪽) 부위로
통증이 방사되어,

    엉덩이 안쪽(內側) 통증동반
(* 요방형근 tendon 구축은 장골능 외측통증의 원인이 됨) 

 
 
iii)

요천추 연접부(L5-S1 junction 부위)에 위치하는 다열근(multi m), 회선근(rotator m) 

    
tendon(건,힘줄)의 구축으로, 허리뼈가 아프게 느껴지는 통증(bone pain)인 요추통그 부위에
요통
 
     유발되며,
 
그 구축압력으로, 엉덩이뼈(안쪽) 부위로

통증이 방사되어

엉덩이 안쪽(內側) 통증동반

 
iv) 요천추 관절을  감싸서 보강하고 있는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으로 그 부위에

요통이 유발되며,

    
그 구축압력으로, 엉덩이뼈(안쪽) 부위로 통증이 방사되어
엉덩이 안쪽(內側) 통증동반

 

v) 장골조면(iliac tuberosity), 후상장골극(P.S.I.S), 후하장골극(P.I.I.S)에 부착하고 있는

후천장인대

   (posterior sacroiliac ligament)의구축으로 엉덩이 안쪽(內側)통증이 유발되며,
그 구축압력으로
인하여,

   허리부위로 통증이 방사되어 요통(허리통증)도 동반

 
vi) 후상장골극,후하장골극(외측면)에 부착하는 천골결절인대(sacrotuberous ligament)의

구축으로

     통증이 나타남


(*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의 구축(유착)이 甚(심)해지면 肥厚(비후)된 결과,대둔근이 부착하고 있는 

  
장골능후부의 하연(아래 테두리),외측연과 장골의 후외측연,천골(선골)의 후외측면으로
bulging

  
(팽윤)되어,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대둔근 tendon(건,힘줄)과 유합되어
있음) 

    대둔근 부착부(엉덩이 內側中에서도 바깥쪽) 주위통증과  중,소둔근부위
까지로도 방사되는
 

   
엉덩이 내측(안쪽)통증- 엉덩이 내측中의 바깥쪽통증이 유발됨 )

(* boundary line(경계선) : 장인대 외측경계는  대좌골공의 내측경계와 거의 일치함 )

 
(* 구축이 심해져서 bulging(팽윤)된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가 부담을 느끼게되면,조직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전(defense mechanism)으로써, 상부허리와 등/ 뒷다리, 무릎후부

장력(힘)을

    분배
(분산)시켜 -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분배되어진 해당 연부조직의
이차성(속발성,보상적)

    구축을 유발시킨결과로,요통(허리통증)과  배통(등통증),좌골신경통
(방광경 line),

무릎관절후부

   (오금)통증
 나타나게 됨 
)



2. 천골부위 통증(천골통, 엉치등뼈 통증, sacrodynia)


가운데(中央) 통증(천골극돌기뼈 통증)

 

    천골의 횡결절과 극돌기에 부착하고 있는 다열근(multifidus muscle) tendon(건, 힘줄)의 구축으로,

    미골(꼬리뼈) 위로, 엉덩이 정중앙(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천골극돌기(通常,
S2 부위까지)가 아프게

    느껴지고(bone pain), 손으로 눌러봐도 통증이 나타남


안쪽통증(內側面) 통증(천장관절증후군/ 통증)

 
ⅰ) 천골(骨, 엉치등뼈)의 외측 천골능에 부착하고 있는 천골결절인대의 구축으로 통증이 나타남

 

  ⅱ) 천골의 횡결절(transverse tubercle)에 부착하고있는 후천장인대구축으로 통증이 나타남

       [* 천장관절통증(증후군,관절염) -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 주로 (오래) 앉아 있을때 구축된 후천장인대가 압박,자극되어 천장관절통증이 나타남

]


 바깥쪽(外側面) 통증(천골 후외측면 통증)

 

    후천장인대의 구축으로 인한 방사통으로 유발됨.

(* 대둔근 tendon이 부착하고 있는 천골의 후외측면 부위로 후천장인대가 bulging되어 대둔근(이상근)

    tendon과 유합하여

nodule을 형성하고, 대둔근 부착부 주위통증을 유발함)



3. 미골부위 통증(미골통, 꼬리뼈 통증(무지근함)/ coccygodynia)

 

   미골(尾骨,꼬리뼈)에 부착하고 있는 천미골인대, 외후측천미인대, 천극인대(sacrospinous ligament)의

   구축으로
꼬리뼈 통증(미골통)이 나타남


[* 

(오래) 앉아 있거나 꼬리뼈부위에 힘이 들어가는 동작을 할때에,구축된(굳어진)천극인대압박,

    자극되어 
꼬리뼈 통증(미골통)나타남 ]

(

* 천극인대의 천층에 위치한 대둔근 tendon(건,힘줄)의 구축에 의해서도, 앉아있을때 등에 

    
이 건(힘줄)이 압박,자극되어 미골통이 유발될 수 있음)



4. 좌골조면(결절)부위 통
(엉덩이 아랫(하부)뼈 통증/ 좌골점액낭염)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앉을때 닿

는부위의 뼈인 좌골조면(결절/ ischial tuberosity)부위의 통증



   좌골조면(결절)과 그 외측연에 부착하고 있는 햄스트링 tendon, 천골결절인대/
대내전근,

   대퇴방형근
 
tendon(건,힘줄)의 구축으로 인해 앉아있을때 등에 이 조직들이 압박, 자극되어 통증이

   나타남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습관적으로 허리를 굽히는(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과사용,overuse)



사람들은,

허리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이 나타나서, 상부요추(체간)과다신전된 요추전만증

(lumbar lorsis), 하부요추는 一字형태(일자허리,straight), 골반(천골상단)전방경사,
천골하단은

후방경사[*오리 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서
요근(psoas muscle)
손상(injury)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지고/
상,하 요추부위의 다열근,회선근 tendon(건,힘줄)과 관절돌기간 관절낭
손상을 받고

(단축,신장)구축
으로 복통(배땡김,배불편함),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고,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

손상을

받고(단축,신장)구축됨으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사타구니통증(*치골대퇴인대 단축구축)



유발되며,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천극인대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됨으로 요통엉덩이(엉치)내측통증



(

천장관절증후군), 꼬리뼈통증(미골통)이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장력(긴장)의 분배선- 역학적 연계선(dynamic connection line)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 → 보상적 구축)

 

: 고관절 ↔ 허리관절,무릎관절,천장관절/ 천장관절 ↔ 허리관절,미골,무릎관절후부(오금) ]

 

 

 

< * 그림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고관절통증과 엉덩이통증(*좌골점액낭염,천장관절증후군),골반(장골능)통증,

 

허리통증(*요통),등통증,좌골신경통(*허벅지,다리- 통증,땡김,저림,뻣뻣함,무거움)

 

근막적(역학적) 연계성

 

 

 

 

 

인체의 골반과 다리를 연결해주는 고관절(hip joint/엉덩이관절)의 통증만성화되어 장기간 지속되면

 

사타구니(허벅지)통증/배,옆구리,등땡김(통증)/엉덩이,골반(장골능-바지가 걸쳐지는 부위/iliac

 

crest),허리통증나타나는 것 뿐만 아니라, 앉아있을때 엉덩이가 바닥에 닿는부위의 뼈인 좌골조면

 

(결절)에 부착하고 있는 연부조직(軟部組織)이 구축(굳어짐/contracture)됨으로 인해 엉덩이 아랫부위

 

(하부)통증 -좌골점액낭염- 동반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고관절통증 자세불량(불균형)이나 과사용(overuse/ 과부하) 등으로 인해 고관절 주위의 연부조직

 

(soft tissue)인 고관절인대와 고관절낭(capsule of hip joint)이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 됨으로 인해

 

유발되어 집니다.[*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이러한 고관절통증이 잘낫지 않고 장기간 지속 -만성 고관절통증(chronic hip joint pain)- 되어지면

 

고관절 주위의 연부조직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좌골조면(결절)에 착하고 있는 연부조직인 천골결절인대

 

햄스트링(슬굴근/ 반건양근,반막양근,대퇴이두근), 대내전근,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 muscle)의

 

건(힘줄/ tendon)에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전달되어 -역학적인 힘(장력)의 분배(분산)- 해당 연부조직

 

긴장(緊張)과 경직(硬直), 이차성구축(拘縮/굳어짐)을 유발시킨 결과로 엉덩이 아랫부위(下部)통증

 

-좌골점액낭염(ischial bursitis)- 이 나타나게 됩니다.

 

(*고관절주위 연부조직의 구축압력이 장력을 유발시킴)

 

 

[* 좌골조면에 부착하는 연부조직의 원발성구축(原發性拘縮)은 앉는자세의 불균형(불량)이나  과사용

 

    (overuse/ 과부하받았거나 앉아있는 자세를 많이 함) 등으로 인해 손상을 받아 유발됨 ]

 

[* 엉덩이 아랫부위(下部)통증 -좌골점액낭염- 원발성으로 만성화되어, 고관절통증

 

    이차성(속발성)으로 동반하여 나타나는 역병기(逆病機)도 가능함 ]

 

 

엉덩이 아랫부위(하부)통증앉아있을때나 앉았다(누웠다)일어날때,서있을때,걸을때 등에 굳어져

 

(구축되어) 있는 상태로 좌골조면(결절/ ischial tuberosity)에 부착하고 있는 上記한 연부조직이 역학적인

 

(스트레스)을 받아 압박, 자극된 결과나타나게 됩니다.

 

(* 특히 딱딱한 바닥에 앉아있을때 통증이 심하게 나타남)

 

 

엉덩이 아랫부위(하부)통증장기간 지속(만성화)되면,

 

좌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연부조직과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을 가지면서 다리로 유주

 

하고 있는 대내전근,햄스트링,대퇴사두근 건(힘줄)과 근막(myofascia)의 긴장과 경직을 유발시켜 허벅지

 

(대퇴내측)와 허벅지 부위(대퇴후부)와 넓적다리(대퇴전부,외측)가  땡기거나 저리며 뻣뻣하고 무겁고

 

아프며

 

[* 甚(심)하면 평소에 고관절 부위와 다리가 오그라든 느낌이 들어 답답하고 무겁고 불편하며, 걸을때(서있

 

     을때) 다리가 짧게 느껴지는 뻐정다리(*고관절을 펴는 신전의 장애)가 되거나 다리에 힘이 안  들어가서

 

    (빠져서) 잘걷지 못하는 보행장애(跛行,파행/ 걸을때 절룩거림)만성 고관절통증과 연계되어 나타남]

 

(* 블로그 內 만성 고관절통증문건 참조)

 

 

이어지는 근막적 연계성으로 무릎(관절),오금(슬관절후부)과 하퇴부인 종아리,정강이,발목(관절),발등,

 

발바닥(발가락)의 연부조직들 에도 긴장(tension)과 경직(spasticity)유발하여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이

 

무겁고 뻣뻣하며/ 오금, 종아리, 정강이, 발등, 발바닥(발가락) 까지 땡기거나 저리며 뻣뻣하고 무겁고 아픈

 

증상인 좌골신경통(*요각통- / sciatica)나타나게 됩니다.(* 방사통- referred pain)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앉아있을때나 누웠다(앉았다)일어날때,서있을때,걸을때 등의 동작(활동)시에 좌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연부

 

조직에 힘(긴장)이 들어가 압박,자극되어 엉덩이 아랫부위(하부)통증나타나게 되면,반사적으로

 

안아프게 하여 몸을 보호하려는 인체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몸을 비틀게 되어, 체형의 변형

 

(strain)과 동반하여 엉덩이 중간과 윗부위, 골반(장골능), 허리, 등, 어깨, 목의 연부조직에 긴장을 주고,

 

 

또한 좌골조면에 부착하고 있는 천골결절인대(*천골근막에 의해)와 근막적으로 연계되어져 있는上記한

 

부위의 연부조직들인 후천장인대, 장요인대대둔근, 중둔근, 요방형근의 건(힘줄), 척추후관절(facet joint)

 

을 보강해주는 관절돌기간 관절낭역학적인 힘(장력,긴장)전달되어 -역학적인 힘(장력)의 분배(분산)-

 

경직과 이차성구축(굳어짐/contracture)을 유발시킨 결과로,

 

덩이 중간과 윗부위통증 -천장관절증후군(sacroiliac joint syndrome)- 골반(장골능- 바지가

 

걸쳐지는 부위/ iliac crest)통증, 허리통증(*요통)/ 등통증(땡김)/ 어깨통증, 목통증 까지도 나타나게

 

니다.(* 블로그 內 천장관절통증문건 참조)

 

 

 

 

      < * 그림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인체는 근막경선을 따라서 통증을 일으킨다 - 근막통증(동통)증후군/ 섬유근통증후군




 

 

 

인체 근막(筋膜)은 혈관과 같이 전신을 걸쳐 퍼져있고 서로 연계(link,network)되어,

한의학의 경락(經絡)과도

 

같은  근막의 주행경로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근막경선 

전신

의 섬유성 결합조직 연속체인 근막계(fascial net)를 형성하며,​ 근막계는 인체 장력(역

 

     학적인 힘,긴장) 전달체계 됨 ]

 

한 부위의 근막이 굳어있어 근골격계 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인체 근막경선을 따라서 다른부

도미노 현

 

과 같이 영향을 받고(역학적인 힘의 전달) 굳어져 나가서(긴장,경직/구축) 근골격계 통증(pain)이 나타나게

 

됩니다.[* 보상적(방어적)/ 속발성(이차성) 근막구축]

 

 

 

예를 들어 컴퓨터 앞에서 안좋은 자세로 무리하게 장기간  업무(사무)가 누적되면, 목(경추)과 어깨부위

 

연부조직(근육,근막,건,인대)이 손상을 받고 구축(굳어짐/ 뭉쳐짐)이 일어나서 아프되며, 목과 어깨부위의

 

통증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목(경추)과 어깨부위 연부조직의 구축압력(*굳어있는 힘)이 인체 근막경

 

따라

~ 등(흉추) ~ 옆구리 ~ 허리(요추) ~ 엉덩이(엉치, 골반, 고관절)로 전달되어 긴장과 경직(구축)

 

을 일으킨 결과로, 해당부위가 아프게 됩니다.

 

[* 구축압력

의 전달은 풍선의 한쪽 면을 누르면, 다른쪽 면에 쨍쨍한 긴장이 들어가는 것과 같은 원리임 ]​        

 

이는 좌골신경통(sciatica)으로 이어져 사타구니, 허벅지, 다리(대퇴부, 하퇴부)통증, 무릎, 오금, 종아리,

 

발목, 발가락, 발바닥통증을 으키게 됩니다.

 

 

또한, 목(경추),어깨부위에서 인체의 근경선을 따라 ~ 견(어깨)관절 팔꿈치(*골프엘보) ~ 손목 ~ 손가락

 

으로 구축압력이 전달되어, 해당부위가 부드럽지 않고 뻣뻣하게 되며 동작장애(disorder)와 더불어 저리고

 

아픈 통증이 유발됩니다.

 

 

[* 인체조직의 구축에 의한 역학적인 힘(장력,긴장)의 전달(분배)- 블로그內 관련문건들 참조]

 

 

< 근막통증(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섬유근통증후군 이란? >

 

- 근육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근섬유 가닥들을 각각 싸고있는 막인 근막(筋膜,myofascia)들과 근막계

 

  (근막과 같은 성분의 교원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성 걸합조직/ fascial net) 연부조직들인  건(힘줄), 인대,

 

  점액낭, 관절낭이 안좋은 생활자세(자세불량)와 과사용 등의 역학적 스트레스로 인해 손상을 받고 유착

 

 

(조직섬유 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음) 변형(비틀림)이 일어나 구축됨(굳어짐/ 뭉쳐짐)으로써, 해당 연부     조직에서 통증나타나는 증상 말합니다.(*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참고문헌 : Anatomy Trains(근막경선 해부학)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