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건막)염]발바닥(발뒤꿈치)통증 - 족저근막(건막)염 - 의 부위별 분류와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 

 

 

 

 

 

 

 

습관적인 생활자세의 불량으로 체형(골격)이 불균형(unbalance)해지고, 종아리와 발바닥에 무리(과부하)가

 

가는 생활을 많이 하는(과사용, overuse)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나며, 오래 서있거나 걸을때 유발되는 발바닥

 

(발뒤꿈치) 통증 - plantar(foot heel) pain - 바닥(발뒷꿈치) 조직자체의 손상(injury)에 의한 구축

 

(굳어짐)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지만(* 종골조면을 덮고 있는 지방체(fat pad)의 구축),

 

골반이나 무릎관절의 비틀림(변형, strain)으로 인해 역학적인 힘의 균형(balance)과 안정성(stability)유지를

 

위한 발목 관절의 비틀림, 족궁(foot arch)의 변형이 유발되어 발바닥(발뒤꿈치) 주위 조직의 손상과 구축

 

(굳어짐)이 일어남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고

 

한, 골반이나 무릎관절 주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의 구축(굳어짐)으로 인해 인체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 따라서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이 발바닥(발뒤꿈치)으로 전달되어 주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

 

들인 근육(근막), 건(힘줄), 인대들의 긴장과 구축(굳어짐, contracture) 을 유발하여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바닥(발뒤꿈치) 부위별로 나누어서 원인이 되는 근육(근막), 건(힘줄), 인대들을 정리합니다.

 

(* 종아리 근육(근막)의 구축압력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으로 종아리 통증

 

    (땡김)과 아킬레스건염도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음)

 

[* 발목이 잘 안 꺽이게 되는(신전의 장애) 하수족(쳐진발목)이 나타나면,발목뒷부위의 연부 조직에 힘(압박)

 

     이 걸리게 되므로, 발목통증과 동반하여 발뒤꿈치통증이 유발될  있음]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① 발뒤꿈치 내측(안쪽)통증

 

족저근막(건막) - plantar fascia(aponeurosis) -부위의 통증으로 흔히 잘 알려져 있는 족저근막(건막)염

 

-  plantar fasciitis, 블로그 內 문건참조 - 에 의한 통증으로 대표될 수 있는 발바닥 내측통증은 발뒤꿈치

 

(heel) 내측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단지굴근, 모지외전근, 족저방형근 건(힘줄)의 구축에 의한 건(힘줄)성

 

통증장족저인대, 족저종주(스프링)인대 구축의한 인대성 통증 의해 나타납니다.

 

② 발뒤꿈치 통증(foot heel pain)

 

순경의 뒤꿈치(policeman's heel) 통증이라고 부르는 발뒤꿈치 통증(heel pain, 足根通)은

 

ⅰ. 종아리 근육인 가자미근(TrP1)과 후경골근의 구축(굳어짐)(* 종아리통증, 아킬레스건 통증과 동반되어

 

     나타날 수도 있음)

 

ⅱ. 제 3비골근(주로 발 뒤꿈치 바깥쪽(외측)통증), 족저방형근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

 

     (* 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 장족저인대, 후거종인대(아킬레스건 부위의 통증도 일으킬 수 있음) 구축과 아킬레스건의 종골후면에

 

      부착하는 부착부에서의 구축으로 나타납니다.

 

[* 만성적인 발뒤꿈치통증은 심부(深部)조직인 장족저인대의 구축이 주(主)원인이 됨 ]

 

③ 발바닥 후부(뒷부위) 통증

 

장족저인대,족저중족인대와 족저(저측)골간근 tendon(건,힘줄)의 구축에 의해 걸을때나  서있을때등에

 

구축되어 있는 이 조직들이 압박,자극되어 통증이 나타납니다.

 

발바닥 중앙(가운데, 足心) 통증

 

i. 종아리 근육인 비복근(TrP1), 장지굴근, 후결골근의 구축(굳어짐)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과 발바닥 중앙(가운데)를 지나가는(통과하는) 단지굴근, 장지굴근, 후경골근,

 

   족저방형근의 건(힘줄)과 장족저인대의 구축에 의한 건(힘줄)성 통증, 인대성 통증으로 나타납니다.

 

ii. 족저골간근의 근막과 tendon의 구축에 의해 유발됩니다.

 

⑤ 발바닥 전부(앞부위, 중족골두, 중족지절관절) 통증

 

단지굴근, 모지내전근, 후경골근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과 발바닥

 

앞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장지굴근, 단지굴근, 모지내전근의 건(힘줄)과  인대(족저인대, 측부(부행)인대,

 

심횡중족인대), 중족지절관절 관절낭의 구축의해서 나타납니다.

 

(* 서있거나 걸을때등에 구축되어 있는 上記조직들이 압박,자극되어 통증이 유발됨)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종아리(장딴지)통증(땡김,Calf Pain)의 근막이론적 관점(fascial viewpoint) 

 

 

 

 

 

종아리(장딴지) 통(Calf Pain)걸을때나 오래 서 있을때, 쪼그려 앉을때, 발목을 위로 제끼는 동작등

 

종아리에 힘이 加(가)해 질때 통증이 나타나며, 종아리 부위가 땡기면서 아프며, 밤에 잘때 종아리(다리)

 

부위에 쥐가 잘 나며(야간 장딴지 경련 - calf cramps) 오금(무릎후부,뒷부위)통증, 아킬레스건염, 발바닥

 

(발뒤꿈치)통증 - 족저근막(건막)염 - 과도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장기적(만성적)으로 잘 낫지 않고 종아리 통증이 지속되는 만성 종아리(장딴지) 통증(Chronic Calf  Pain)

 

  습관적인 생활자세의 불균형(불량)의 누적과 종아리에 무리가 가는 생활을 많이 하는(과사용, overuse)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나는데,  아래와 같은 원인들로 정리할수 있습니다.

 

   

ⅰ. 발목의 비틀림(변형)으로 인해 종아리 근육들의 근막(myofascia)과 건(힘줄)의 경직과 구축(굳어짐)이

 

     유발되어 만성 종아리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비복근,가자미근,후경골근)

 

 - 발목이 내반(inversion)되어 있는 비틀림이 대부분이며, 골반이나 슬관절의 비틀림으로 인해 상쇄적인

 

    균형(안정성 유지)을 이루기 위해서 발목이 비틀릴 수도 있음.

 

 

 

ⅱ. 발목을 움직여 주는 근육(굴곡근, 신전근들)들의 장력불균형으로 인한 종아리 근육들의 근막과 건

 

     (힘줄,tendon)의 경직과 구축에 의한 경우

 

     (* 주로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에 의한 경우가 많음)

 

 

 

- 종아리 근육들인 발목의 굴곡근들이 신전근들 보다 상대적으로 힘이 강해져 있어서 (신전근들은 약화되어

 

   있음) 발목을 아래로 잡아당겨서 쳐지게(하수되게, foot drop) 하므로 종아리 근육들은 단축구축됨

 

  [* 특히 深部(심부)에 위치한 후경골근 tendon(건)]- 정강이에 있는 발목의 신전근들의 신장구축

 

   (늘어나서 굳어짐, 약화됨)과 종아리에 있는 발목의 굴곡근들의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이 함께 풀려야

 

   만이, 종아리 근육(근막)들의 경직과 구축이 해결됨

 

 

ⅲ. 위의 두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목 주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들인 건(힘줄), 인대, 관절낭(관절을 싸고

 

      있는 인대)들도 보상적(방어적) 비틀림(변형)과 구축이 일어나게 되어 하수된(쳐진) 발목을 아탈구

 

      (subluxation),고정(fixation)시켜서 발목이 위로 제껴지지(꺽이지)않고 발목 꺽이는 부위가 아픈통증도

 

      나타나고,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종아리 근육들의 이완(스트레칭)을 더욱 방해하게 되므로,

 

     종아리 근육들은 더욱 경직되어, 종아리 통증은 더욱더 만성화(장기화) 됩니다.

 

 

ⅳ. 좌골신경통(요각통)에 의한경우:엉치부터 좌골신경통 유주line(대퇴후부,넓적다리 뒷부위) 따라서

 

     역학적인 힘(장력)이 오금(무릎후부,뒷다리), 종아리까지 전달되어 오는 경우

 

    (* 블로그 內 좌골신경통문건 참조)

 

 

ⅴ. 스트링(대퇴후부의 슬굴근/ 허벅지 뒷부위) semi portion과 외측광근 근막과 건(힘줄)의 경직과 구축에

 

     의한 경우(* 방사통, 근막통증증후군)

 

 

vi .무릎 후부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으로 그 압력이 종아리 부위로 방사되어(퍼져서) 만성 무릎통증,

 

    만성 오금(무릎 뒷부위)통증과 동반하여 만성종아리통증(땡김)이 나타나는 경우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vii. 후십자인대,상경비관절 후부인대의 구축압력에의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오는경우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