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습관성)발목관절통증(염좌, 발목삠, 관절염)을 유발하는 발목 관절낭

구축

(굳어짐,contracture) 

 







우리가 발목이 삐었다(접질렸다)고 말하는 발목염좌(捻挫,sprain)에 의해서 주로 나타나는 발목통증

(ankle pain)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의 원인은

 
① 발목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장.단 비골근(외측통증), 제3비골근(전외측통증,구허穴 부위),
장지신근

    (중앙통증),
전경골근(내측통증)의 잠재성 근막발통점(myofascial trigger points)이 압박,
자극되어

   
활성화 됨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발목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
근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② 발목관절 부위를 지나가는 장,단 비골근, 제3비골근, 장지신근/ 전경골근, 후경골근 장지굴근,장모지굴근,


    건(힘줄,
tendon)의 손상에 의한
염증성 구축 (inflammatory contracture,굳어짐)으로 발목을

   움직일시에 건이 압박,자극되어 발목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③ 발목관절(거퇴관절) 측면(側面)에 위치하여, 관절의 측방탈구를 방지해주기 위해 

관절을 보강, 지지하고

    있는
내.외측 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 - 삼각인대 /
전.후거비인대, 종비인대 - 의 손상에 의한

    염증성 구축으로 발목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④ ⅰ) 이분인대라고 불리우는 종골과 주상골을 이어주는 종주인대(bifurcate ligament), 종골과 입방골을

          이어주는 종입방인대와

 

     ⅱ) 발목 중앙 부위에서 거골과 주상골을 이어주는

배측 거주인대(dorsal talonavicular ligament)의

          손상에 의한 염증성 구축에 의해서
발목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이분인대와 배측 거주인대는 횡족근

          관절을 join해줌)

 
以上의 4가지 경우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한번 삔 발목이 완전하게 낫지 않은 상태, 습관적으로 자주 삐며, 평소 생활시에 부드럽지 않고,



뻣뻣(뻑뻑)하며,
오래 걷거나, 높은곳을 오르거나, 그 이후(* 등산 등)에 발목이 붓고, 아픈통증이

주기적으로,장기간 반복되는 만성 발목통증(chronic ankle pain,만성(습관성)발목염좌)은,

발목의 가장

심부(深部)에 위치하여, 발목관절을 감싸서 보강,지지하고 있는 조직인 발목 관절낭(joint capsule)
의 

섬유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어(유착, adhesion) 만성적인 구축(굳어짐, contracture)상태
(*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가
됨으로 인하여 나타납니다.

 

(* ⅰ) 고관절, 무릎관절낭의 구축압력이 역학적인 힘을 발목으로 전달하여 발목관절낭의 보상적 구축

         유발 시킬수도 있음

 

    ⅱ) 통상적으로는 거퇴관절의 관절낭 구축 主원인이고,거골하관절의 외측,골간거종인대구축

         (유착),비후하여 bulging(팽윤)된 
조직상태도
일부 원인이 됨 )


발목관절낭의 구축발목을 아탈구(subluxation),고정(fixation)시켜서 발목을 뻣뻣(뻑뻑)하며
무겁고,

관절에서 소리가 나게 만들며, 발목을 제낄시(족배굴곡, 신전)에 완전한 신전이 안되는 관절 운동장애까지도


동반되게 하며(* 내반.외반의 장애도 동반될 수 있음)

甚(심)해지면, 발목이 아래로 쳐진 하수족

(쳐진발목,foot drop)까지도 유발되어
계단등 높은곳을 오를때에 발이 걸리는(차이는)증상과 발목통증이

나타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발목이 삐었을때  " 인대가 늘어났다 " 는 말을 흔히 듣게 되는데, 이말의 본질적 의미는
발목주위의 근막체계

(fascial net)들이
신장
구축(늘어나서 굳어짐)된 상태를
뜻합니다.

 
(* 발목염좌(機轉)의 기전을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발목주위의 연부조직들인 건(힘줄),인대,관절낭잠재적(素因)으로 굳어(구축되어) 있어 발목관절의
 
    운동(활동)범위가 완전하지
않은 상태, 즉 부드럽지않은 뻣뻣한 상태로 모르고 살고있다가
어느순간,

    갑자기 발목에 충격(힘, 역학적 스트레스/ impact)이
加(가)해지게 되면

발목관절의 지배(조절)가 

    안되기에
발목이 삐게

(발목염좌)되고 삐는순간에, 발목주위에서 잠재적으로 구축되어있던

 

    연부조직들이 압박,자극(* 재손상: 再損傷)을 받고 활성화(activation) 되어 염증성 구축상태가 된 

    결과, 
발목통증이 유발됨

 ) 

   

   (* 잠재성 근막발통점(통증유발점)이 활동성 근막발통점으로 활성화 됨)


이러한 기전은 다른 인체부위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서 우리가 흔히 " 담 "이 결린다, " 담 "이 들었다

말하는 
허리가 삐끗했다,
잠을 잘 못자서 목이 안돌아간다는 증상 등도
급성같아 보이지만, 이미

만성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근막통증증후군)


(* 발목염좌 以後(이후)의 cast(기부스)는 발목을 고정(fixation)하여
발목주위 연부조직들의 경직과 구축

    (굳어짐)을 가중시킴에 의해 만성 발목통증(염좌)을 유발할 수 있음 )


발목관절은 아래와 같이 두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과관절(ankle joint)이라고 일컬어지며 거골(talus,활차)과 하퇴(lower leg, 경골, 비골의
下端)가 이루는

     관절인
거퇴관절(talocrural joint) - 발목의 굴곡, 신전에 관여함

 

족근관절(tarsal joint)이라고 일컬어지는 거골, 종골, 입방골, 주상골이 이루는 관절인 족근중앙관절

   
(횡족근관절, transverse tarsal joint)과 거골하면과 종골상면이 이루는

관절인 거골하관절(거종관절,

      talocalcanean joint) - 발목의 내반.외반에 관여함

 

 

 

 

 

< * 그림 출처 : Ciba Collection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만성 발목관절통증(관절염)을 유발하는 하수족(쳐진발목)근막이론적 관점





발목이 아래로 굴곡,하수(쳐진/ 족저굴곡)된 상태인 하수족(쳐진발목, foot drop)되면, 발목이 위로

잘 
제껴지지(꺽이지)않으며, 발목을 위로 제끼면(꺽으면) 발목 꺽이는 부위가 아프고, 계단을 오를때 발이

계단을 차게 되어
발이 계단에 걸리며, 높은 곳을 오를 때(등산 등)에 발목이 붓고 아픈 만성 발목통증

나타나게 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그 원인을 근막이론적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ⅰ) 평소 생활자세의 불균형(불량)이나 발목관절의 비틀림(변형)으로 발목을 움직여주는 근육들이 긴장,

     되어 손상(injury)을 받고 근막의 변형(비틀림)과
구축(굳어짐)이 일어나면(기부스(cast)를 푼 이후에도

    날수 있음) 발목을
움직여 주는 근육들인  발목의 굴곡근과 신전근들의 장력 불균형이 유발되서,

   의 굴곡근들의 힘이
상대적으로 강해지게 되어 발목이 하수(아래로 쳐짐)되게 됩니다.

 
(* 정강이에 있고 발목을 올려주는 신전근들은 약화(신장구축, 늘어나서 굳어짐)되어 있고 아리에 있는

    을 내려주는 굴곡근들은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힘이 강한 종아리의

    들이 발목을 아래로 잡아당겨서
쳐지게(하수되게)함)

 
ⅱ) 발목을 움직여주는 근막체계 근육인 장지신근과 비골근이 구축(굳어짐)되면 그밑(deep)을 통과하는

      신경(peroneal nerve)의 motor fibers를
entrapment(폐색,압박)할수 있어서  수족을 유발시킵니다.

 
ⅲ) 발목주위의 연부조직(soft tissue)들인 건(힘줄),인대,관절낭(관절을 싸고있는 이중막)의 보상적

     방어적) 비틀림(변형)과 구축(굳어짐)이 유발되면,
하수된(쳐진) 발목관절을 탈구(subluxation),

     고정(fixation)시키므로 발목이 뻣뻣(뻑뻑)해져서 위로 제껴지지 (꺽
이지)않고, 발목이 꺽이는 부위가

     아픈 증상인 만성 발목통증
일으키게 됩니다.


[* 발목이 잘 안 꺽이게 되는(신전의 장애) 하수족(쳐진발목)이 나타나면, 발목 뒷부위의 연부조직에도 

     힘(압박)이 걸리게 되므로,
발뒤꿈치(종아리)통증이 유발될 수도 있음 ]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