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타구니통증(서혜부통증/ Groin Pain)의 원인과 연부조직의 구축(굳어짐)

 

 

 

 

 

앉아 있는 자세의 불균형(불량), 골반주위(사타구니, 허벅지 안쪽) 연부조직(soft tissue)의 과사용(overuse),

 

정신적 스트레스, 골반의 변형(비틀림, strain)등에 의해 유발되고, 通常(통상)고관절의 운동[* 굴곡(다리를

 

굽히는자세/ 앉을때),신전(다리를 펴는자세/ 일어날때),수평내전(다리를 모으는자세),수평외전(양반다리

 

자세)]장애와  동반되어 나타나며, 甚(심)하면 걸을때 시큰시큰 하거나 뜨끔뜨끔 하게 맞치는 통증이 있어

 

절뚝거리며 걷게 되는 跛行(파행,보행장애)까지도 유발할수 있는 사타구니(서혜부)통증 병증의 형성

 

과정상,고관절(엉덩이,골반),좌골조면(결절,엉덩이아랫부위/ 좌골점액낭염),허벅지(대퇴후내측),

 

천장관절(증후군/엉덩이내측)통증,허리통증(요통),무릎통증(슬통),좌골신경통(요각통)과 유기적으로

 

연계(connection)되고 동반하여 자주 나타납니다.

 

[* 블로그 內 고관절(엉덩이,골반)통증문건들 참조]

 

 

아래와 같이 정리됩니다.

 

 

1. 고관절 질환을 유발하는 고관절 충돌증후군과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에 의해 고관절 통증(염)과 

 

    합병되어 사타구니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 내상으로는 脫腸)

 

 

2. 장요근, 장.단 내전근의 경직과 구축(굳어짐, 근막유착)에  의해 음부대퇴신경(genitofemoral nerve)이

 

    압박(폐색, entrapment)되어 나타나는 경우

 

 

3. 고관절 굴곡, 내전시(의자에 앉아 있을때 / 다리를 꼬고 앉아 있을때)에 작용하는 장요근, 대퇴직근, 고관절

 

    내전근들의 건(힘줄)에 압박,자극이 加(가)해져서 오는 경우

 

 

4. 고관절 굴곡근인 장요근(체간의 과다신전, 요추전만증 / Lordosis를 일으킬수 있음)과 고관절 내전근들,

 

    이상근의 단축구축(짧아져서 굳어짐, 근막유착)으로  인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오는 경우

 

   (* 근막통증증후군)

 

 

5. 고관절 외전시(양반다리자세)에 내전근(장.단내전근, 대내전근, 박근, 치골근)들이 단축구축되어있어,

 

    신장(이완)되지 않아서 근육이 땡기면서 통증이 오는 경우

 

 

6. 골반의 비틀림(변형)이 골반주위 근육(근막)들의 보상적(방어적) 비틀림을 유발시켜서 오는 경우

 

   (*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비틀림이 상쇄적인 균형(안정성유지)을 위한 골반 비틀림을  유발시킬 수도 있음 )

 

 

7. 고관절(hip joint) 주위를 감싸고 있는 장골대퇴인대의 상부 부착부, 사타구니 부위에 위치한 

 

   장골치골활액낭(bursa),치골대퇴인대 /그 밑(deep)에 위치한 고관절 관절낭(joint capsule)의 

 

   구축으로 인하여 사타구니에 힘(역학적 스트레스)이 들어가는 동작시에이 조직들이 압박, 자극되어 

 

   오는 경우

 

[* 장골대퇴인대의 上部(상부)와 그 밑(deep)에 위치한 前部(전부)고관절낭(joint capsule)은 A.I.I.S

 

    (전하장골극) 아래(직하방,直下方)의 관골구 전연(장치융기 외측면,관골구 전면)에서 치골대퇴인대와

 

    유합(conjoined)되어있으므로,장골대퇴인대의 상부부착부와 前部고관절구축되면, 치골대퇴인대에

 

    역학적인 힘(긴장,장력)을 전달하여 보상적(이차성)구축을 일으키거나 그  구축압력(contracture 

 

    pressure)이 사타구니(서혜부)로 방사,확산되어 (퍼져서,뻗쳐서) 사타구니(서혜부)통증 유발됨 ]

 

 

 

[* A.I.I.S 직하방의 관골구 테두리(연, margin)에 부착하는 장골대퇴인대, 그 밑(deep)의 前部 고관절낭과 

 

    장치융기의 외(내)측면 ~ 폐쇄능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치골대퇴인대구축  대퇴 (전면)과

 

    內側面(내측면)통증을  유발시킬 수도 있음 (방사통) ]

 

(* 블로그 內 사타구니통증의 다른 문건과 고관절통증,천장관절통증,좌골신경통문건 검색참조)

 

 

부연해서 말씀드리면,

 

습관적으로 허리를 굽히는(엉덩이를 뒤로 빼는)자세(고관절 굴곡자세)로 생활을 많이하는(과사용,overuse)

 

사람들은, 허리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이 나타나서, 상부요추(체간)과다신전된 요추전만증(lumbar

 

lorsis), 하부요추는 一字형태(일자허리,straight), 골반(천골상단)전방경사, 천골하단은 후방경사[*오리

 

엉덩이(궁둥이)형태]가 일어나서 요근(psoas muscle)손상(injury)을 받고  단축구축 되어지고/ 상,하

 

요추부위의 다열근,회선근 tendon(건,힘줄)과 관절돌기간 관절낭손상을 받고 (단축,신장)구축으로 

 

복통(배땡김,배불편함), 요통(허리통증)이 유발되고,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이 손상을 받고(단축,신장)구축

 

됨으로 고관절통증(고관절염)과 사타구니통증(*치골대퇴인대 단축구축)유발되며, 장요인대와

 

후천장인대,천극인대손상을 받고 (신장)구축됨으로 요통과 엉덩이(엉치)내측통증(천장관절증후군),

 

꼬리뼈통증(미골통)이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 그림 출처: Ciba Collection >

 

 

 

 

< * 그림 출처 : Sobotta Atlas of Human Anatomy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사각근 증후군(Scalene Muscle Syndrome)목(경추) 디스크

 

(Disc- 추간판탈출증) 증상과의 상관관계

 

 

 

 

   목에서 크고 두터운 근육이며, 심부(深頸筋)에 있는 사각근(Scalene Muscle)정신적인

 

스트레스, 과도한 업무(과사용, overuse), 자세불량(자세의 불균형)등의 만성화로 인해

 

경직과 구축

(굳어짐, contracture)이 되면,[* 사각근 근막과 건(힘줄)의 유착 ]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방사통(Referred Pain)으로서,

 

목 운동의 장애 , (뒷)목통증(항강증, 경항통 - 뒷목(골)땡김, 뻐근함, 뻣뻣함)더불어서

 

어깨, 등, 팔, 가슴, 견갑골 내측연(어깨쭉지)의 통증과 손목, 손등, 손가락의 통증 등

 

인체 상부(上部)통증질환대부분이 나타나며(* 사각근증후군/ scalene muscle

 

syndrome) 통증의 강도 또한 매우 甚()하게 나타나서,

만성적인 인

상부통증질환의

 

주된 근육(major muscle)됩니다.

 

 

또한, 사각근(근막)의 경직과 구축은 이 근육의 밑(deep)을 지나가는 신경다발(묶음,

 

bundle)인 상완 신경총(brachial plexus)을 압박(폐색, entrapment)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상완 신경총의 분지(branch)이며 팔로 가는 신경인

척골신경(ulnar nerve)이

 

그 영향을 받아

목통증(neck pain)과 더불어, 목(경추) 디스크(Disc,추간판탈출증)

 

와 유사한 증상으로서, 팔과 손가락의 통증이나 저림증도 동반하여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체형(골격)의 변형(비틀림, strain)으로 인한 가성 목(경추 )디스크경장근

 

    (longus colli muscle)의 근막구축의해 유발됨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上肢部(상지부/ 팔,손)저림증,감각이상(numbness)을 유발하는 근육(근막)들





손, 발, 팔, 다리등 신체의 특정부위에 저리거나, 따끔거림, 내살 같지 않은 둔마, 마목(비)감, 감각이상

(지각이상, 이감각증)
- 표현의 편의상 numbness라고 총칭 - 
운동약화(motor weakness)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은

 

·  혈액순환장애 / 신경이상(신경이 놀랬다) / 신경변이(variation)

 

·  척추질환(목(경추), 허리(요추) 디스크)등에 의한 신경차단(neurapraxia) / 신경압박(compression),

  
폐색(entrapment, occlusion)

 

·  근막체계(fascial net)인 건(힘줄)이나 인대의 구축(굳어짐)에 의한 자극증상

 

·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의 방사통

 

·  인체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따라서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의 전달에 의한 자극증상

 

·  불안 신경증(neurosis), 심리적 스트레스(긴장, tension)에 의한 자극증상 등등 복잡 다변하고 수많은

   원인과 기전으로 발현될 수 있으므로
그 병기(pathogenesis)의 분석적 난해함이 있습니다.

 

이 문건에서는 근육(근막)의 구축(굳어짐, contracture)으로 인한 신경압박(compression), 폐색

(entrapment, occlusion)
- (다음 글귀 부터는
편의상 nerve entrapment(신경폐색, 올가미)로 총칭함) -


근막통증증후군
방사통(referred pain) 병기(病機)로서의 인체 上肢部(상지부)의 저림증, 감각이상,

운동약화
 
증상을 정리합니다.

 

(* 인체 下肢部(하지부)는 블로그 內 문건참조)

 

먼저, 근육(근막)의 구축(굳어짐)에 의해 nerve entrapment(신경폐색, 올가미)되어 나타나는 저림증과

감각이상, 운동약화
 
증상을 말씀드립니다.

 
① 흉곽출구(thoracic outlet)인

 

ⅰ)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

 

ⅱ) 쇄골과 제1늑골 사이

 

ⅲ) 소흉근과 흉벽(곽) 사이

 
에서 전사각근, 중사각근과 소흉근의 구축(굳어짐)에 의해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lower trunk 의

medial cord가 entrapment(폐색)되고 그 연결선상에 있는
척골신경(ulnar nerve)이 영향을 받아 손의

척골측부위, 전완, 4.
5번째 손가락의 저림증
나타납니다.

 

(* 근막성 흉곽출구증후군(myofascial thoracic outlet syndrome)이라고 함) - 블로그 內 문건참조 -

 
① - 1 척골관 증후군(cubital tunnel syndrome) - 팔꿈치터널 증후군

 

    전완(forearm)부위에 있는 천지굴근, 심지굴근, 척측수근굴근 구축에 의해 천골신경(ulnar nerve)이

    entrapment
(폐색)되어 上記 증상이 나타납니다.

 
② 흉곽출구인 소흉근과 흉벽(곽)사이에서 소흉근의 구축에 의해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lower

    trunk 의 medial cord가 entrapment(폐색)되고
그 연결선상에 있는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영향을

    받아(* 전.중 사각근 구축에
의해서도 정중신경일부섬유가 영향을 받음) 1.2.3번째 손가락과 4번째

   손가락
절반의 장측면의 저림증이 나타납니다.(* 근막성 흉곽출구증후군)

 
② - 1 수근관 증후군(손목(팔목)터널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장장근, (원)회내근(* 정중신경이 이 근육의 상완두와 척골두의 양두사이로 하여(빠져서) 전완으로

   들어감) 횡수근인대(thansverse carpal lig, flexor retinaculum, 굴근지대)
구축의해 정중신경

   (median nerve)이 entrapment(폐색)되어
손바닥과 손가락의 저림증유발됩니다.


상완 삼두근의 외측두 상완근의 구축에 의해 요골신경(radial nerve)이
외측상완근간중격을 관통해서

    (통하여) musculospiral groove를 빠져나오는 부위,
대략 상완의 중간으로 삼각근융기(deltoid

    prominence) 바로 아래 부위에서
entrapment(폐색) 되고 또한, 단요측 수근신근의 구축에 의해 이

    근육 밑(deep)을
지나가는 요골신경(radial nerve)이 entrapment(폐색) 되어 전완의 배측, 손목, 엄지

    손가락의 배측에
저림증이 나타납니다. 


③ -1 회의근(전완이 최대로 회내되었을 때 가능성이 커짐)과 단요측 수근신근의 구축
의해 요골신경

   (radial nerve)의 deep branch
(motor nerve, 운동신경임)가
entrapment(폐색)되어 손목, 손가락들,

   엄지 손가락의 신전(펴는것)
약화(motor weakness, 운동약화)됩니다.

 
두번째로,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의 방사통(referred pain)으로서의 저림증과

감각이상
증상을 말씀드립니다.

 
사각근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referred pain)으로 엄지손가락의 저림증이 나타납니다.

 
쇄골하근의 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 1.2.3번째 손가락의 배측과 장측면에 저림증이 나타납니다.


손의 골간근 구축에 의한 방사통으로 2.3.4.5번째 손가락의 저림증이 나타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