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장애가 있거나 대변이 마려우면 허리가 아픈이유- 근막이론적 해석

 

 

 

 

 

 

 

소화장애가 있거나 便意를 느끼면 허리가 아프다가 소화장애가 해소되거나 대변을 보고 나면은 허리 아픈

 

통증이 사라진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평소 허리근육이 뻣뻣하고, 경직된 상태에 있어서 생활을 하다가도 간혹 허리통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종종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소화장애가 있거나 대변이 마려울 때는 소장에 gas가 정체되어 있는 상태라고 추론되고 소장의 gas에 의해

 

소장간막(mesentery of small intestine)에 압력(장력)이 가해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소장간막의 압력은 소장간막과 연접해있는 허리근육인 요근(psoas)근막에 그 압력을 전달(역학적인 힘의

 

전달)하게 되며 인체근막계의 주행경로인 근막경선(myofascial meridian)을 따라서 또 다른 허리 근육인

 

요방형근의 근막(fascia)에도 장력이 전달됨에 의해 허리에 통증이 방사(방사통, referred pain)되어 요통

 

일으킵니다.

 

(근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반면에 소화장애가 해소되거나 대변을 보고 나면 그 압력이 해소되므로 허리 아픈 통증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소화장애가 있으면 頭痛(두통)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역학적인 힘(장력, 긴장)이 허리의 근막에서

 

근막경선 따라서 인체상부의 횡격막 ~ 심막(pericardium), 흉막(pleura) - 사각근 - 두반극근(후두하근)

 

으로 이어지고 머리에 있는 근육(후두근, 모상건막, 전두근, 측두근)에 까지 그 장력(역학적인 힘의 전달)이

 

전달 되어서 두통을 일으키게 됩니다.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두통(頭痛/ headache)의 근막이론적 해석(fascial interpretation)

 

 

 

 

자세불량(불균형)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 과로등에 의하여, 연부조직(soft tissue) 들이 손상(injury)을 받아 

 

잠재성 구축(굳어짐, contracture) 상태에 있다가,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甚(심)해 지거나(긴장성,신경성두통)

 

몸이 피로하거나 찬바람을 쐴때 등에 구축된 연부조직이 압박, 자극을 받아 활성화(activation)됨에 의하여

 

유발 (* 잠재성 근막발통점이  활동성 근막 발통점으로 활성화 됨) 되는 두통(頭痛) 근막이론적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1. 경추후부근육(판상근,반극근,다열근,후두하근)들의 경직과 구축(굳어짐/ 뭉쳐짐)으로 인유발되는

 

   두통, 즉 근막유착(근막 가닥들이 서로 들러붙음)과 변형(비틀림)이 되어 나타나는  방사통

 

   [*근막통증(동통)증후군]

 

 

 [*환추(제1경추)와 축추(제2경추)/ 후두골(후두과)의 관절(joint)을 이어주는 환추축추관절낭/ 환추후두

 

    관절낭구축은  만성 후두통유발시킴]

 

 

 

2. 인체 근막의 주행경로(근막경선)를 따라서 

골반 → 허리(요추) → 등(흉추) → 어깨 → 목에 역학적인 힘

 

    (긴장,장력)이 전달 되어서[근육(근막)의 보상적(이차성)구축], 골반 통증(엉덩이 통증), 허리통증(요통),

 

    등 통증(배통), 어깨통증(견비통), 목통증(경항통, 항강증)이 서연계(connection)되어서 나타나고,

 

    또한 경추후부 근육들과 모상건막(두피근막),

측두두정근,측두근,전두근,안륜근 / 턱관절의 외측인대,

 

    관절낭(joint capsule)들도

그 영향(구축압력)을 받아, 경직과 구축이 일어나므로, 두통(뒷골땡김,

 

    무거움), (머리윗부위 통증), 측(편)두통(머리옆부위, 관자놀이 통증), 전두통(이마부위 통증)이 

 

    나타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들 참조)

 

 

 

 

 

 

< * 그림 출처 : Sobotta Atlas of Human Anatomy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

턱관절통증(장애), 얼굴(안면)통증(마비, 떨림), 눈통증(떨림),두통,

치통(잇몸통증)의

근막적 연계성(fascial connection)





음식물을 씹을때나, 입을 벌릴때, 찬바람을 쐴때, 몸이 피로(곤)할때,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때 등에

上記한

 

제목의 안면부 통증, 마비(얼굴통증, 마비, 顔面部痛症,麻痺)는 同一(동일)한 안면부(얼굴)

근막계


 

(fascial net)로서, 유기적으로 연계(connection)되어 동반하여 나타날수 있는데, 통증(증상)의 종류와

원인
근막이론적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턱(악)관절통증,장애(측두하악관절통증,장애/ TMJ - Pain,Disorder)

 

- 음식물을 씹는 동작의 불균형(불량), 턱관절의 과사용(overuse),

교합 부조화(occlusal disharmony),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음식물을 씹는데
관여하는
저작근(咀嚼筋)인 내.외 익상근, 교근, 측두근,

  
근막(myofascia)과
(힘줄, tendon) / 턱(악)관절외측인대(lateral ligament)와 관절낭이 손상을 받아

 

  

구축(굳어짐, contracture)됨으로 인해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이 나타나고 이

   조직들이
압박, 자극
받은 결과, 음식물을 씹을때나, 입을 벌릴때, 찬바람을
쐴때,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때
등에
턱(악)관절 통증 기능(운동)장애(dysfunction)가

유발됩니다.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안면통증, 마비(얼굴통증, 마비, facial pain,numbness),
안면(검)경련[(얼굴, 눈(꺼풀)떨림, facial
  
    (palpebral)myokymia(spasm)]

- 우리가 얼굴(안면)이라고 말하는 뺨 부위눈(썹), 코, 입 주위내 살 같지 않고 무딘 느낌

인, 둔마

  (지각이상)
, 마비
(마목)감(numbness)이
있고, 무겁고,답답하며, 뻐근(뻣뻣)
하고, 얼얼하게 아픈 증상

 

안면(얼굴)통증, 마비(facial pain,numbness)와 뺨(볼, 얼굴)부위와 눈(아래), 눈꺼풀, 입주위의 떨림

  떠는,
실룩거리는)증상

안면(검)경(facial myokymia)

은,

ⅰ) 뺨 부위(하악골, 아랫턱뼈)에 있는 교근(咬筋), 광대뼈 부위(협골, 협골궁)에 있는 협골근(頰骨筋),

    
측두근(側頭筋), 코 부위(비골)에 있는 비근(鼻筋, nasalis m), 상순비익거근(上脣鼻翼擧筋), 눈(썹)

     주위
에 있는 추미근(皺眉筋), 안륜근(眼輪筋), 
입(술) 주위있는 구륜근(口輪筋), 소근(笑筋),

    
협근(頰筋), 하순하제근(下脣下制筋),
이근(), 上記한 근육들의 근막(myofascia)이 과사용

    (overuse)
되거나, 얼굴(머리)을
한쪽으로 기울이는 편향된(치우친)자세, 안면(얼굴) 비대칭

   
(facial asymmetry),
턱관절 장애(TMJ-dysfunction), 정신적 스트레스등에 의해

손상을 받아 구축

  
(굳어짐,
contracture)됨으로

인해 방사통(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이 

나타난 결과

    유발되고,

또한

ⅱ) 얼굴에 있는 뼈 구조물들인 협골(관골, 광대뼈/ zygomatic bone), 협골궁
(관골궁/ zygomatic arch),

     
비골(鼻骨, nasal  bone), 안와

 

(眼窩, orbit)주위, 하악지의 외측면(外側面), 하악각(교근조면) -

      mandibular  ramus, angle
- ,
이융기(mental protuberance)의  골막(periosteum/ 골막염)  

     골막들에
부착(附着)하고 있는 上記 근육들의  tendon(건,힘줄)이 구축(굳어짐)첫줄에서
말씀드린

     상황시에, 골막과 tendon이
압박,자극됨에
의함/ 대부분 nodule(결절)이 형성되어 있음 - 됨에


    
인해서  얼굴 근육(건)의  부착부(bony station) 뼈 주위가 아프게 느껴지는 증상

 안면(얼굴)

   통증
과 안면(검)경련
유발됩니다.

 
 안면(얼굴)주름,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 上記한 안면(얼굴)통증과 안면(검)경련을 유발하는 근막(myofascia)과 (tendon)들의

단축구축

   (짧아져서 굳어짐)
과 신장구축(늘어나서 굳어짐, 약화됨)에 의한
장력 불균형(unbalance)은
얼굴

 
(안면)에 주름(wrinkles)이 생기
하며, 안면신경(facial nerve)을 압박하여 구안와사[口眼斜,
안면신경

   마비(facial nerve falsy)]
유발인자로 작용될 수 있습니다.
 
안통(눈통증), 두통, 치통

 

- 앞에서 이미 설명드린 안륜근(orbicularis oculi muscle)의 근막(건)구축(굳어짐, contracture)은

근막

   fascial net)로
연계되어 있는 안구를

움직여주는 근육의 근막(myofascia)과 안구(眼球, eyeball)조직의

   보상적(이차성)구축을
일으켜서 눈이 침침하고, 피로하고, 뻑뻑하며

아픈 증상안통(통증, 眼痛,

   eyeache)을

유발 시키고, 또한 안륜근의 근막(건)구축(굳어짐)은  전두근(frontalis muscle), 모상건막

  (두피근막),
측두두정근, 측두근,후두근(occipitalis muscle), 두반극근, 후두하근의  근막(건)과도

 

  

연계(connection)되어 보상적(이차성)구축을 일으키므로, 머리가 아픈 증상인 (만성)

두통(頭痛,

   headache)을
유발 시킵니다.(* 긴장성, 신경성 두통)

 

   (* 전두통 - 이마부위 통증, 두정통 - 머리 윗부위, 정수리 통증 / 측(편)두통 - 머리 옆 부위, 관자놀이

       통증 /
후두통 - 뒷골통증,땡김,무거움)

 

  

(* 안륜근 tendond의 구축압력이 방사,확산되어 전두통 유발도 가능)

 

  

(* 턱관절의 외측인대와 관절낭의 구축압력이 방사,확산되어 측(편)두통 유발도 가능)

 

  

(*어지러움증인 眩暈(현훈)도 유발 될 수있음)

 

   그리고, 교근(masseter muscle), 측두근(temporalis muscle)의 근막(건)구축치아(이빨)로의

방사통

   (referred pain) - 근막통증증후군 - 을 일으키고,

또한 이들 근육과 근막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치은

   (잇몸)조직 섬유의
보상적
구축(유착, adhesion)을 일으켜서,

 

  

(* 잇몸이 붓고, 시리고, 아픈 치은염(잇몸염증, 잇몸통증, gingivitis)유발됨)

 

   (* 잇몸조직이 구축되서, 비후(肥厚,두꺼워짐)하여, bulging(팽윤)되어 있음)

 

   (

* 한쪽으로 치우쳐서 음식물을 씹거나, 자극적인 음식물의 과다섭취,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잇몸이 손상되어 구축(굳어짐)될 수 있음)

 

   (

* 잇몸이 위치하는 입주위의 조직들, 잇몸이 비후하여  bulging된 구축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과긴장    
   
       (hypertonia)된 결과로, 
입주위가 부풀어 올라와 있음)

 

   음식물을 씹을때나 찬(뜨거운)물을 먹을때, 찬바람이 입안으로 들어갔을때 등에 이빨과  잇몸이 자극되어

   이빨
(잇몸)이 弱해지고, 시리고, 아픈 통증
치통(齒痛, toothache)을 유발 시킵니다.

 

   (* 以上, 설명드린 근막 연계성 이라는 관점 外로, 체형의 변형(비틀림, strain)이라는, 다른 측면의 병기

      (病機)
로서 살펴보면은,
현대인들이, 업무특성상, 습관적으로 목(머리)을 앞으로
빼고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head forward 자세(거북목(일자목)증후군,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많이함(overuse) -

    
(자세 불균형, 불량)으로 인해서, 안면부와 목의 연부조직들이 과긴장, 역학적 스트레스(과부하)의해,



     손상(injury)을 받아

구축되어서, 上記한 안면부(얼굴), 턱관절통증, 두통 등의 증상과 더불어서,

뒷골,

    (
뒷)목통증

연계, 동반하여 유발 된다고도

해석할 수 있음 
 
     * 블로그 內 관련문건 참조 )

 

 

 


 

 

 

 

< * 그림출처 : 인체해부학 -Human Anatomy, 현문사 >

 

 

 

 

Posted by 염기룡 한의원
,